디어 평양영화감상문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디어 평양영화감상문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영화의 시놉시스와 감독의 영화적 배경 분석

Ⅲ. 딸 '영희'의 시선과 외재적 접근법

Ⅳ. 아버지의 시선과 내재적 접근법

Ⅵ. 영화를 바라보는 두가지 시선과 가족애 코드

본문내용

않냐는 솔직한 딸의 질문에, 똑같이 마음을 열고 솔직한 답을 들려주는 아버지의 모습을 마주하며 양영희 감독은 카메라를 통해 아버지에 대한 마음의 문을 열게 된다.
양영희 감독의 아버지는 세 아들이 북한으로 귀국하기 전에 가족사진을 찍은 이후로 다시 한 번 모두 모여 가족사진을 찍고 싶다는 간절한 바람을 간직해 왔다. 그래서 가족은 4년 늦은 아버지의 진갑 잔치를 평양의 ‘옥류관’에서 열기로 한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양영희 감독의 카메라는 2004년의 평양의 일상을 고스란히 담아낸다. 우리가 그 동안 TV를 통해 자주 접할 수 있었던 거대한 김일성 황금동상이나 추체 사상 탑, 매스 게임과 평양 거리의 풍경은 단순히 도식화된 북한의 이미지로서가 아니라, 현실적 입체감을 띄고 친밀하게 관객을 찾아간다. 그것은 생활인으로서 그 안에 살고 있는 오빠들의 가정이 더해져 있기 때문일 것이다. 비록 조금 더 불편한 삶을 살고 있지만 그 곳 역시 우리와 같은 사람들이 같은 행복을 추구하며 살아가고 있는 곳인 것이다. 즉 가족관의 사랑과 더불어서 북한이나 일본, 그리고 한국 모두는 결국 인간으로서 개인이 행복을 추구하는 공간인 것이다.
양영희 감독의 가족은 우리와 같은 핏줄을 가지고 있으나 우리처럼은 살 수 없다. 하지만 결국 이 영화는, 이 세상 모든 가정에 존재하는 희로애락의 정서를 촘촘히 엮어냄으로써 얻어지는 보편성을 지니고 있기에, 영화의 두 가지 접근법의 한계가 존재함에도 가족애라는 코드를 통하여 가족 안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 공감을 전달했다는 측면에서 이 영화를 본 사람들에게 호응을 얻을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03.28
  • 저작시기200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47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