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신라시대교육(신라교육) 기관 국학
1. 등장발달
2. 교육목적
3. 교육철학
4. 교육제도
5. 교육방법
6. 교육내용
7. 교육적 의의
Ⅲ. 신라시대교육(신라교육) 기관 화랑도
Ⅳ. 신라시대교육(신라교육) 제도 독서출신과(독서삼품과)
Ⅴ. 신라시대교육(신라교육) 사상가 원효
1. 생애
2. 사상
Ⅵ. 신라시대교육(신라교육) 사상가 설총
1. 교육목적
2. 교육방법
3. 교육사상
Ⅶ. 신라시대교육(신라교육) 사상가 고운 최치원
참고문헌
Ⅱ. 신라시대교육(신라교육) 기관 국학
1. 등장발달
2. 교육목적
3. 교육철학
4. 교육제도
5. 교육방법
6. 교육내용
7. 교육적 의의
Ⅲ. 신라시대교육(신라교육) 기관 화랑도
Ⅳ. 신라시대교육(신라교육) 제도 독서출신과(독서삼품과)
Ⅴ. 신라시대교육(신라교육) 사상가 원효
1. 생애
2. 사상
Ⅵ. 신라시대교육(신라교육) 사상가 설총
1. 교육목적
2. 교육방법
3. 교육사상
Ⅶ. 신라시대교육(신라교육) 사상가 고운 최치원
참고문헌
본문내용
채찍질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원효는 아라야식의 覺義에 의하여 자성청정한 覺의 상태로 환멸한 후의 본각에 대하여 그 특징을 自利와 利他의 두 가지 면으로 강조하여 心源에 도달한 覺者는 깨달은 상태에 안주하지 말고 중생교화를 위하여 적극 노력해야 함을 역설한다. 이것은 眞 속에서 俗으로 돌아와 중생과 더불어 호흡을 같이함을 의미하는 것이니 바로 不化衆生이다.
그의 이러한 自利利他의 겸수, 즉 진속불이의 사상은 그의 역저이며 <<기신론>>의 이론을 많이 인용하고 있는 <<金剛三昧經論>> 전편에서 누누이 강조하고 있는 不住涅槃 바로 그것이다.
Ⅵ. 신라시대교육(신라교육) 사상가 설총
1. 교육목적
1) 군왕 훈계교육을 강조
2) 도덕정치
3) 왕도정치
2. 교육방법
1) 비유법에 따른 교육 전개
2) 고사성어를 예로 들어서 교육
3) 이두문자를 정리하여 계몽교육을 전개
3. 교육사상
1) 교육적 인간상을 정직인에 둠
2) 군왕에게 바른말을 할 수 있는 사람
Ⅶ. 신라시대교육(신라교육) 사상가 고운 최치원
역사를 바라보는 입장이 단순히 옛것을 숭상하고 맹종하기만한다면 그것은 가치가 없는 것이다. 12세의 어린나이에 중국에 들어가 문장으로 이름을 세계에 떨쳤다는 점은 신분적인 한계를 뛰어 넘어 자기 개발에 그가 얼마나 투철했으며 국가의 위상을 높이기 위하여 얼마나 신고했는지를 말해 주는 좋은 예가 된다고 하겠다. 자기 개발을 위해서 성실했던 자세, 우리 민족의 문예적인 우수성을 몸소 보여준 최치원의 역량을 우리는 현대적으로 계승해야 하겠다. 오랫동안 유학을 했으면서도 외국 문화에 매몰되지 않고 우리 사상의 우수성과 특징적인 체계를 찾아냈다는 점을 중시해야 한다. 아무리 아름답고 현란한 문화와 사상도 그 자체가 우리 민족의 구체적인 삶에 도움이 될 수 없다는 점을 깨닫고 풍류도라는 우리의 사상에 대해 이론적인 체계를 갖추어 그 우수성은 설명했다는 점에서 또 하나의 그 위대성을 발견할 수 있다. 그리고 최치원은 우리 사상이 갖는 원융성(圓融性), 그리고 보편성과 특수성을 일찍이 증명하여 우리가 세계문화에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예견하였다. 현대 우리 민족이 종교의 시장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세계의 각종 종교사상을 수용하고 있으며 이념적으로도 자본주의, 사회주의라는 대립적인 두 사상을 동시에 수용하고 있는 실정인데 장차 이를 변증법적으로 통합하여 새로운 종교와 사상을 창조함으로써 인류가 당면한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근거도 제 사상을 아우를 수 있는 우리 사상의 원융성에서 찾을 수 있다. 최치원이 보여준 주체적인 사상은 민족의 정기를 바로 세움은 물론 세계적, 인류적인 과제를 해결하는 데에도 커다란 시사점을 던져 준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국내에서나 국외에서, 정치에 나아가거나 물러나거나 어떤 상황에 처하든지 최치원은 거기에 맞게 대응하였다. 외국에 나가서는 이국의 문물을 배우는 것은 물론 국가의 위상을 높이기 위하여 혼신의 힘을 다했고, 귀국해서는 나라의 정치를 바로 잡기 위하여 선정을 펴고 정무를 처리했다. 정치 현실에 나아가서는 현실의 개혁을 위하여 애썼고 물러나와서도 자기 스스로의 독선적 세계를 흔들리지 않고 견지해 나갔다. 결국 최치원은 자기가 처한 시간적 상황, 공간적 상황에 합당한 삶을 살았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김형효(2000) - 원효에서 다산까지, 청계
김승찬(1994) - 최치원, 한국문학 사상론, 세종출판사
민족문학사연구소(1997) - 민족문학사 강좌 상, 창작과비평사
이광수 - 원효대사, 星韓
이기영 - 원효의 사상과 생애
이재운(1999) - 최치원 연구, 백산자료원
최영성(2001) - 최치원의 철학사상, 아세아문화사
마지막으로 원효는 아라야식의 覺義에 의하여 자성청정한 覺의 상태로 환멸한 후의 본각에 대하여 그 특징을 自利와 利他의 두 가지 면으로 강조하여 心源에 도달한 覺者는 깨달은 상태에 안주하지 말고 중생교화를 위하여 적극 노력해야 함을 역설한다. 이것은 眞 속에서 俗으로 돌아와 중생과 더불어 호흡을 같이함을 의미하는 것이니 바로 不化衆生이다.
그의 이러한 自利利他의 겸수, 즉 진속불이의 사상은 그의 역저이며 <<기신론>>의 이론을 많이 인용하고 있는 <<金剛三昧經論>> 전편에서 누누이 강조하고 있는 不住涅槃 바로 그것이다.
Ⅵ. 신라시대교육(신라교육) 사상가 설총
1. 교육목적
1) 군왕 훈계교육을 강조
2) 도덕정치
3) 왕도정치
2. 교육방법
1) 비유법에 따른 교육 전개
2) 고사성어를 예로 들어서 교육
3) 이두문자를 정리하여 계몽교육을 전개
3. 교육사상
1) 교육적 인간상을 정직인에 둠
2) 군왕에게 바른말을 할 수 있는 사람
Ⅶ. 신라시대교육(신라교육) 사상가 고운 최치원
역사를 바라보는 입장이 단순히 옛것을 숭상하고 맹종하기만한다면 그것은 가치가 없는 것이다. 12세의 어린나이에 중국에 들어가 문장으로 이름을 세계에 떨쳤다는 점은 신분적인 한계를 뛰어 넘어 자기 개발에 그가 얼마나 투철했으며 국가의 위상을 높이기 위하여 얼마나 신고했는지를 말해 주는 좋은 예가 된다고 하겠다. 자기 개발을 위해서 성실했던 자세, 우리 민족의 문예적인 우수성을 몸소 보여준 최치원의 역량을 우리는 현대적으로 계승해야 하겠다. 오랫동안 유학을 했으면서도 외국 문화에 매몰되지 않고 우리 사상의 우수성과 특징적인 체계를 찾아냈다는 점을 중시해야 한다. 아무리 아름답고 현란한 문화와 사상도 그 자체가 우리 민족의 구체적인 삶에 도움이 될 수 없다는 점을 깨닫고 풍류도라는 우리의 사상에 대해 이론적인 체계를 갖추어 그 우수성은 설명했다는 점에서 또 하나의 그 위대성을 발견할 수 있다. 그리고 최치원은 우리 사상이 갖는 원융성(圓融性), 그리고 보편성과 특수성을 일찍이 증명하여 우리가 세계문화에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예견하였다. 현대 우리 민족이 종교의 시장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세계의 각종 종교사상을 수용하고 있으며 이념적으로도 자본주의, 사회주의라는 대립적인 두 사상을 동시에 수용하고 있는 실정인데 장차 이를 변증법적으로 통합하여 새로운 종교와 사상을 창조함으로써 인류가 당면한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근거도 제 사상을 아우를 수 있는 우리 사상의 원융성에서 찾을 수 있다. 최치원이 보여준 주체적인 사상은 민족의 정기를 바로 세움은 물론 세계적, 인류적인 과제를 해결하는 데에도 커다란 시사점을 던져 준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국내에서나 국외에서, 정치에 나아가거나 물러나거나 어떤 상황에 처하든지 최치원은 거기에 맞게 대응하였다. 외국에 나가서는 이국의 문물을 배우는 것은 물론 국가의 위상을 높이기 위하여 혼신의 힘을 다했고, 귀국해서는 나라의 정치를 바로 잡기 위하여 선정을 펴고 정무를 처리했다. 정치 현실에 나아가서는 현실의 개혁을 위하여 애썼고 물러나와서도 자기 스스로의 독선적 세계를 흔들리지 않고 견지해 나갔다. 결국 최치원은 자기가 처한 시간적 상황, 공간적 상황에 합당한 삶을 살았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김형효(2000) - 원효에서 다산까지, 청계
김승찬(1994) - 최치원, 한국문학 사상론, 세종출판사
민족문학사연구소(1997) - 민족문학사 강좌 상, 창작과비평사
이광수 - 원효대사, 星韓
이기영 - 원효의 사상과 생애
이재운(1999) - 최치원 연구, 백산자료원
최영성(2001) - 최치원의 철학사상, 아세아문화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