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실습목표
2.이론적 배경
3.실습기구
4.실습방법
5.신체계측치에 대한 결과 및 판정
6.참고문헌
2.이론적 배경
3.실습기구
4.실습방법
5.신체계측치에 대한 결과 및 판정
6.참고문헌
본문내용
손은 편채로 수평으로 앞으로 올리고 상완의 가운데에 줄자를 팔과 직각이 되도록 대고 잰다. 상완 근육 둘레와 상완 근육 면적을 계산하는 이용된다.
※ 상완근육둘레 = 상완위(㎝) - π[상완 피하지방 두께(㎝)]
피하지방 두께 측정(skin fold thickness) = 피부 두겹집기
caliper를 사용하여 피하지방을 집어 두께를 잰다. 상완배부, 견갑골 하부, 복부 등을 측정 할수 있으나 보통, 상완배부와 견갑골 하부가 가장 많이 이용된다.
ⅰ) 상완배부(triceps) : 팔을 편안히 내리고 앞을 보게 한 후 상완 가운데 뒤를 왼손으로 집고 오른손에 caliper를 들고 1㎝ 가량 들어간 곳을 집는다.
ⅱ) 견갑골 하부 : 어깨 아래 견갑골 하부를 척추와 45°각도로 집 어 낸다.
WHR (Waist Hip Ratio)
허리 둘레와 엉덩이둘레의 비로 고혈압, 동맥경화등 성인병 위험도를 나타낸다.
체지방 분석기를 이용한 신체구성성분 측정
체지방 측정기 ┌ Futrex 5000A
└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Inbody
상완 배부 피하 지방 두께
85% 이상
표준치와 측정치 비교
표준치와 측정치를 비교하는 법
ⅰ 신장 : 장기적인 영양상태의 지표이며 특히 7세 아동의 신장은 영 양상태의 좋은 표이다.
ⅱ) 체중 : 전 연령에 걸쳐 현재 영양상태의 과부족을 나타냄.
┌ 표준체중의 60% 이하, 심한 영양불량.
├ 표준체중의 60 ~ 80% 이하, 중등도 영양불량.
평 가 ├ 표준체중의 80 ~ 90% 이하, 가벼운 영양불량.
├ 표준체중의 110 ~ 120% 미만, 체중과다.
└ 표준체중의 120% 이상, 비만.
ⅲ) 상완 근육 둘레 ; 전 연령에 있어 현재 영양상태의 과부족을 나타냄.
60% 이하 심한 영양불량
60 ~ 90% 중등도 영양불량.
90 ~ 100% 가벼운 영양불량.
ⅳ) 상완 배부 피하 지방 두께
85% 이상 비만
Broca
체중/표준체중 * 100
표준체중
160cm이상 : (신장 -100)×0.9
150~160cm : (신장 - 150) ×0.5 +50
150cm이하 : 신장 - 100
<90% : 체중미달
90~110% : 정상
110~120% : 과체중
>120% : 비만
Quetlet\'s
체중/신장2
신체지방함량을 잘 반영함
우리나라
<18.5:저체중
18.5~23.0 : 이상적인 범위
≥23.0 : 과체중
Rohrer
체중(g)/신장(cm)3 ×100
어린이에게 적용
<2.26 : 심한 영양불량
2.26~2.32 : 중등도 영양불량
2.32~2.85 : 정상
2.85~2.93 : 중등도비만
>2.93 : 비만
kaup
체중(g)/신장(cm)2 × 10
어린이에게 적용
1세미만 1~2세
<15이하 : 영양불량 : <14
15~18 : 정 상 : 14~17
18~20 : 비만경향 : 17~18.5
>20 : 비 만 : >18.5
3.실습기구
캘리퍼, 줄자, 펜
4.실습방법
①신체둘레
-줄자로 0.1cm까지 측정하여 기록한다. 측정기술의 습득을 위하여 각각 3번 측정하고 평균을 낸다.
②신체 피부두겹두께
-피부두겹두께 측정은 집히거나 접힌 피부에 있는 피하지방조직의 두께이다. 피부를 집어서 측정하고 피하조직은 왼손엄지와 집게 손가락으로 약 1cm 거리로 근육을 잡아당긴다. 이 부위에 칼리퍼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접힌 곳은 견고하게 집어야 하고 측정하는 동안 꽉 쥐어야 한다. 칼리퍼는 손가락 약 1cm 밑에 두고 압박된 곳은 칼리퍼나 손가락으로도 움직이지 않도옥 한다.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 적어도 2~3번 정도 측정한다. 만약 잡힌 곳이 아주
두꺼웠다면 칼리퍼로 압박한 후 3초 동안에 측정하도록 한다.
22세 여대생
2009년 5월6일
구분
측정부위
측정결과
1회
2회
3회
평균
신체둘레
(cm-0.1cm
까지측정)
팔둘레
26.0
26.0
26.5
26.1
허리둘레
64.5
65.0
64.6
64.7
팔꿈치둘레
23.0
23.2
23.0
23.0
허벅지둘레
44.0
44.0
44.5
44.1
엉덩이둘레
92.0
92.2
92.0
92.0
손목둘레
13.9
14.0
14.0
13.9
장딴지둘레
35.0
35.1
35.1
35.0
피부두겹두께
삼두근
1.7
1.8
1.8
1.8
가슴
1.1
1.1
1.2
1.1
견갑골하부
1.4
1.5
1.4
1.4
장골상부
1.9
1.9
1.9
1.9
복부
1.5
1.4
1.6
1.5
허박지
3.0
3.0
2.9
3.0
장딴지
1.3
1.3
1.2
1.3
5.신체계측치에 대한 결과 및 판정
신장(cm)
체중(kg)
161
53
1)신체둘레
①손목둘레
r=H/C
r:신장과 손목둘레의 비
H:신장(cm)
C:오른쪽 손목둘레의비
r=161/13.9
r=11.5 (작은체격)
체격크기
r값 여자
남자
작은체격
>10.9
>10.4
중간체격
10.9~9.9
10.4~9.6
큰체격
<9.9
<9.6
②허리둘레와 엉덩이 둘레의 측정비 (WHR, waist-hip ratio)
먼저 허리 둘레를 갈비뼈 아래와 배꼽 위 사이의 가장 가는 부분의 둘레를 측정하여 똑바로 선 상태에서 복근을 편안히 풀고 팔을 옆으로 늘어뜨린 다음 양발을 모은 상태에서 측정하였다.
WHR은 성별에 따라 특징적인 분포를 나타내는데 남성은 상체비만이 많고 여성은 하체비만이 많다. 남자의 경우 0.95이상, 여자는 0.8이상을 위험수치로 판정한다. 또한 허리와 엉덩이 비율이 남성의 경우 0.95, 여성의 경우 0.6이상이 되면 비만으로 심혈관 질환, 고혈압, 당뇨병의 위험도가 높아진다. 체지방이 신체의 분포되어 있는 상태에 따라 남성형과 여성형으로 나누고 있다.
(대사합명증의 위험이 증가되는 허리둘레의 참고치)
성별
증가
극도로 증가
남자
90cm
102cm
여자
80cm
88cm
허리둘레=64.7
엉덩이둘레=89
WHR= 64.7/89
=0.7(20~24세 여성의 경우 평균 0.78)
정상임
③장딴지둘레
장딴지둘레는 탁자 위에 앉거나 발을 약 25cm 정도 벌리고 서서 체중을 양발에 고루 분산시킨 후, 장딴지의 가장 큰 둘레를 줄자로 돌려 측정하였다.
상완 둘레와 마찬가지로 장딴지 둘레와 장딴지피부두겹두께의
※ 상완근육둘레 = 상완위(㎝) - π[상완 피하지방 두께(㎝)]
피하지방 두께 측정(skin fold thickness) = 피부 두겹집기
caliper를 사용하여 피하지방을 집어 두께를 잰다. 상완배부, 견갑골 하부, 복부 등을 측정 할수 있으나 보통, 상완배부와 견갑골 하부가 가장 많이 이용된다.
ⅰ) 상완배부(triceps) : 팔을 편안히 내리고 앞을 보게 한 후 상완 가운데 뒤를 왼손으로 집고 오른손에 caliper를 들고 1㎝ 가량 들어간 곳을 집는다.
ⅱ) 견갑골 하부 : 어깨 아래 견갑골 하부를 척추와 45°각도로 집 어 낸다.
WHR (Waist Hip Ratio)
허리 둘레와 엉덩이둘레의 비로 고혈압, 동맥경화등 성인병 위험도를 나타낸다.
체지방 분석기를 이용한 신체구성성분 측정
체지방 측정기 ┌ Futrex 5000A
└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Inbody
상완 배부 피하 지방 두께
85% 이상
표준치와 측정치 비교
표준치와 측정치를 비교하는 법
ⅰ 신장 : 장기적인 영양상태의 지표이며 특히 7세 아동의 신장은 영 양상태의 좋은 표이다.
ⅱ) 체중 : 전 연령에 걸쳐 현재 영양상태의 과부족을 나타냄.
┌ 표준체중의 60% 이하, 심한 영양불량.
├ 표준체중의 60 ~ 80% 이하, 중등도 영양불량.
평 가 ├ 표준체중의 80 ~ 90% 이하, 가벼운 영양불량.
├ 표준체중의 110 ~ 120% 미만, 체중과다.
└ 표준체중의 120% 이상, 비만.
ⅲ) 상완 근육 둘레 ; 전 연령에 있어 현재 영양상태의 과부족을 나타냄.
60% 이하 심한 영양불량
60 ~ 90% 중등도 영양불량.
90 ~ 100% 가벼운 영양불량.
ⅳ) 상완 배부 피하 지방 두께
85% 이상 비만
Broca
체중/표준체중 * 100
표준체중
160cm이상 : (신장 -100)×0.9
150~160cm : (신장 - 150) ×0.5 +50
150cm이하 : 신장 - 100
<90% : 체중미달
90~110% : 정상
110~120% : 과체중
>120% : 비만
Quetlet\'s
체중/신장2
신체지방함량을 잘 반영함
우리나라
<18.5:저체중
18.5~23.0 : 이상적인 범위
≥23.0 : 과체중
Rohrer
체중(g)/신장(cm)3 ×100
어린이에게 적용
<2.26 : 심한 영양불량
2.26~2.32 : 중등도 영양불량
2.32~2.85 : 정상
2.85~2.93 : 중등도비만
>2.93 : 비만
kaup
체중(g)/신장(cm)2 × 10
어린이에게 적용
1세미만 1~2세
<15이하 : 영양불량 : <14
15~18 : 정 상 : 14~17
18~20 : 비만경향 : 17~18.5
>20 : 비 만 : >18.5
3.실습기구
캘리퍼, 줄자, 펜
4.실습방법
①신체둘레
-줄자로 0.1cm까지 측정하여 기록한다. 측정기술의 습득을 위하여 각각 3번 측정하고 평균을 낸다.
②신체 피부두겹두께
-피부두겹두께 측정은 집히거나 접힌 피부에 있는 피하지방조직의 두께이다. 피부를 집어서 측정하고 피하조직은 왼손엄지와 집게 손가락으로 약 1cm 거리로 근육을 잡아당긴다. 이 부위에 칼리퍼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접힌 곳은 견고하게 집어야 하고 측정하는 동안 꽉 쥐어야 한다. 칼리퍼는 손가락 약 1cm 밑에 두고 압박된 곳은 칼리퍼나 손가락으로도 움직이지 않도옥 한다.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 적어도 2~3번 정도 측정한다. 만약 잡힌 곳이 아주
두꺼웠다면 칼리퍼로 압박한 후 3초 동안에 측정하도록 한다.
22세 여대생
2009년 5월6일
구분
측정부위
측정결과
1회
2회
3회
평균
신체둘레
(cm-0.1cm
까지측정)
팔둘레
26.0
26.0
26.5
26.1
허리둘레
64.5
65.0
64.6
64.7
팔꿈치둘레
23.0
23.2
23.0
23.0
허벅지둘레
44.0
44.0
44.5
44.1
엉덩이둘레
92.0
92.2
92.0
92.0
손목둘레
13.9
14.0
14.0
13.9
장딴지둘레
35.0
35.1
35.1
35.0
피부두겹두께
삼두근
1.7
1.8
1.8
1.8
가슴
1.1
1.1
1.2
1.1
견갑골하부
1.4
1.5
1.4
1.4
장골상부
1.9
1.9
1.9
1.9
복부
1.5
1.4
1.6
1.5
허박지
3.0
3.0
2.9
3.0
장딴지
1.3
1.3
1.2
1.3
5.신체계측치에 대한 결과 및 판정
신장(cm)
체중(kg)
161
53
1)신체둘레
①손목둘레
r=H/C
r:신장과 손목둘레의 비
H:신장(cm)
C:오른쪽 손목둘레의비
r=161/13.9
r=11.5 (작은체격)
체격크기
r값 여자
남자
작은체격
>10.9
>10.4
중간체격
10.9~9.9
10.4~9.6
큰체격
<9.9
<9.6
②허리둘레와 엉덩이 둘레의 측정비 (WHR, waist-hip ratio)
먼저 허리 둘레를 갈비뼈 아래와 배꼽 위 사이의 가장 가는 부분의 둘레를 측정하여 똑바로 선 상태에서 복근을 편안히 풀고 팔을 옆으로 늘어뜨린 다음 양발을 모은 상태에서 측정하였다.
WHR은 성별에 따라 특징적인 분포를 나타내는데 남성은 상체비만이 많고 여성은 하체비만이 많다. 남자의 경우 0.95이상, 여자는 0.8이상을 위험수치로 판정한다. 또한 허리와 엉덩이 비율이 남성의 경우 0.95, 여성의 경우 0.6이상이 되면 비만으로 심혈관 질환, 고혈압, 당뇨병의 위험도가 높아진다. 체지방이 신체의 분포되어 있는 상태에 따라 남성형과 여성형으로 나누고 있다.
(대사합명증의 위험이 증가되는 허리둘레의 참고치)
성별
증가
극도로 증가
남자
90cm
102cm
여자
80cm
88cm
허리둘레=64.7
엉덩이둘레=89
WHR= 64.7/89
=0.7(20~24세 여성의 경우 평균 0.78)
정상임
③장딴지둘레
장딴지둘레는 탁자 위에 앉거나 발을 약 25cm 정도 벌리고 서서 체중을 양발에 고루 분산시킨 후, 장딴지의 가장 큰 둘레를 줄자로 돌려 측정하였다.
상완 둘레와 마찬가지로 장딴지 둘레와 장딴지피부두겹두께의
추천자료
유아기 체력과 신체 활동
[모성간호] 신생아 신체사정
[스포츠심리]규칙적인 운동을 통한 신체적 자기개념의 측정 및 활용
생체유기화학(신체조절물질구성 및 미량생리활성물질) 1
아동의 신체적 발달을 저해하는 요인 중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하는 요인에 대해 제시하고 그...
아동의 신체적 발달을 저해하는 요인 중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하는 요인에 대해 제시하고 그...
지역사회영양학 4B) 우리나라의 건강증진을 위하여 보건영양정책과 보건소에서 실시되는 생애...
만2~5세 중에서 한 연령을 선택하여 신체발달, 정서발달, 인지발달, 언어발달에 대해 알아보...
[고위험모아간호학 공통] A.고위험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 사정(진단평가,임상증상) 치료 및 ...
보건교육)초중고학생의 신체형(body image)에 대한 보건교육 - 그린의 프리시드-프로시드 (Pr...
[노인복지론] (노인 건강 복지) 노인의 신체적,정신적 특성, 노인복지서비스(노인장기요양보...
[모자보건-영유아보건] 영유아의 성장발달 및 정신발달, 영유아의 신체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
[간호학] 신생아의 신체사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