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역사교학대강에 따른 중등학교 역사과정의 변천
3. 지방성과정인 상해시 역사과정표준(1991/1992)의 제정과 시행
4. 전국성과정인 역사과정표준(2001/2003)의 제정과 시행
5. 최근 개정된 상해시 역사과정표준(2004년)의 분석
6. 맺음말
2. 역사교학대강에 따른 중등학교 역사과정의 변천
3. 지방성과정인 상해시 역사과정표준(1991/1992)의 제정과 시행
4. 전국성과정인 역사과정표준(2001/2003)의 제정과 시행
5. 최근 개정된 상해시 역사과정표준(2004년)의 분석
6. 맺음말
본문내용
역사교학대강에서 역사과정표준으로
- 최근 중국의 역사교육과정 개혁 -
1. 머리말
한국과 마찬가지로 중국에서도 역사교육과정은 역사교육을 위한 지도성 문건으로 역사교과서의 내용을 규정한다. 1912년 이후 ‘과정표준’이라는 용어가 40년간 사용되었다가 1952년 이후 ‘교학대강’으로 바꾸어 사용하였는데, 이것은 신중국이 구소련의 교육모델을 모방한 하나의 중요한 표시였다. (一綱一本)
1980년 중국은 개혁개방으로 속에서 1988년 교과서 발행제도가 통편제(한국의 국정제)에서 심정제(한국의 검정제)로 바뀌었으며, 그에 따라 지역별로 특색 있는 교과서가 다양하게 편찬되었다. 하지만 교육과정은 통일 되어있는 이른바 一綱多本 (하나의 교육과정과 여러종류의 교과서)체제로 바뀌었다.
그러다가 1991년과 1992년 상해시에서 [구년제의무교육과정표준], [전일제고급중학과정표준(초안)]을 반포하였는데 이것은 신중국 성립 이후 처음으로 지방의 교육행정분야에서 제정한 지방성 과정이다.
이처럼 다수의 지방성 교육과정이 출현한 것은 중앙집권적이던 중국교육사상 획기적인 일로 특히 상해시의 과정표준은 미국 등이 채택하고 있는 국가과정표준(National Standards)의 형식을 따른 것으로, 이것은 신중국이 미국식 교육모델을 학습하기 시작한 하나의 중요한 표시였다. 이때부터 ‘과정표준’이라는 용어가 다시 사용되게 되었다.
2001년 중국은 21세기의 달라진 시대적 수요에 대처하고 소질교육을 전면 추진하기 위한 교육과정 개혁 작업에 착수하여, 국가과정-지방과정-학교과정의 3급 과정 관리체계를 확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역사교학대강과는 별도로 전국성 과정으로 역사교육대강과 역사과정표준이라는 복수의 교육과정체계가 마련된 것이다. 이제 중국은 多綱多本(다수의 교육과정과 여러 종류의 교과서)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결국 1980년대 중국 교육개
- 최근 중국의 역사교육과정 개혁 -
1. 머리말
한국과 마찬가지로 중국에서도 역사교육과정은 역사교육을 위한 지도성 문건으로 역사교과서의 내용을 규정한다. 1912년 이후 ‘과정표준’이라는 용어가 40년간 사용되었다가 1952년 이후 ‘교학대강’으로 바꾸어 사용하였는데, 이것은 신중국이 구소련의 교육모델을 모방한 하나의 중요한 표시였다. (一綱一本)
1980년 중국은 개혁개방으로 속에서 1988년 교과서 발행제도가 통편제(한국의 국정제)에서 심정제(한국의 검정제)로 바뀌었으며, 그에 따라 지역별로 특색 있는 교과서가 다양하게 편찬되었다. 하지만 교육과정은 통일 되어있는 이른바 一綱多本 (하나의 교육과정과 여러종류의 교과서)체제로 바뀌었다.
그러다가 1991년과 1992년 상해시에서 [구년제의무교육과정표준], [전일제고급중학과정표준(초안)]을 반포하였는데 이것은 신중국 성립 이후 처음으로 지방의 교육행정분야에서 제정한 지방성 과정이다.
이처럼 다수의 지방성 교육과정이 출현한 것은 중앙집권적이던 중국교육사상 획기적인 일로 특히 상해시의 과정표준은 미국 등이 채택하고 있는 국가과정표준(National Standards)의 형식을 따른 것으로, 이것은 신중국이 미국식 교육모델을 학습하기 시작한 하나의 중요한 표시였다. 이때부터 ‘과정표준’이라는 용어가 다시 사용되게 되었다.
2001년 중국은 21세기의 달라진 시대적 수요에 대처하고 소질교육을 전면 추진하기 위한 교육과정 개혁 작업에 착수하여, 국가과정-지방과정-학교과정의 3급 과정 관리체계를 확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역사교학대강과는 별도로 전국성 과정으로 역사교육대강과 역사과정표준이라는 복수의 교육과정체계가 마련된 것이다. 이제 중국은 多綱多本(다수의 교육과정과 여러 종류의 교과서)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결국 1980년대 중국 교육개
추천자료
대학 중국어 교육의 목표와 그 실천 방안 ( 중국어교육 )
(교육학) 중국교육현황
중국어교육 계획
[중국민족][중국인구][중국 행정구역][중국 경제체제][중국 정치제도][중국 지방조직][중국사...
[대학교 중국어교육]대학교 중국어교육과 작문, 대학교 중국어교육과 단기연수, 대학교 중국...
[중국어문법][중국문법]중국어문법(중국문법)의 어순과 허사, 중국어문법(중국문법)의 언어단...
대학교양강좌(대학교양강의)의 의의, 대학교양강좌(대학교양강의)의 서양문학교육과 교양국어...
중국교육사상자
중국의교육제도와개혁방안
[화행][화행 의미][화행 중요성][화행 기준][화행 명제][화행 텍스트유형][화행 중국어교육][...
고등교육(대학교육)의 목적, 기능변화, 고등교육(대학교육)의 확대, 대학정원정책, 고등교육(...
고등교육(대학교육)의 재구조화, 기회확대, 고등교육(대학교육)의 개혁동향, 고등교육(대학교...
한국의 중국어교육
고등교육(대학교육)의 정의, 시장경제, 고등교육(대학교육) 기회확대정책, 재구조화, 고등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