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학대강에서 역사과정표준으로 -중국교육과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역사교학대강에서 역사과정표준으로 -중국교육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역사교학대강에 따른 중등학교 역사과정의 변천

3. 지방성과정인 상해시 역사과정표준(1991/1992)의 제정과 시행

4. 전국성과정인 역사과정표준(2001/2003)의 제정과 시행

5. 최근 개정된 상해시 역사과정표준(2004년)의 분석

6. 맺음말

본문내용

역사교학대강에서 역사과정표준으로
- 최근 중국의 역사교육과정 개혁 -
1. 머리말
한국과 마찬가지로 중국에서도 역사교육과정은 역사교육을 위한 지도성 문건으로 역사교과서의 내용을 규정한다. 1912년 이후 ‘과정표준’이라는 용어가 40년간 사용되었다가 1952년 이후 ‘교학대강’으로 바꾸어 사용하였는데, 이것은 신중국이 구소련의 교육모델을 모방한 하나의 중요한 표시였다. (一綱一本)
1980년 중국은 개혁개방으로 속에서 1988년 교과서 발행제도가 통편제(한국의 국정제)에서 심정제(한국의 검정제)로 바뀌었으며, 그에 따라 지역별로 특색 있는 교과서가 다양하게 편찬되었다. 하지만 교육과정은 통일 되어있는 이른바 一綱多本 (하나의 교육과정과 여러종류의 교과서)체제로 바뀌었다.
그러다가 1991년과 1992년 상해시에서 [구년제의무교육과정표준], [전일제고급중학과정표준(초안)]을 반포하였는데 이것은 신중국 성립 이후 처음으로 지방의 교육행정분야에서 제정한 지방성 과정이다.
이처럼 다수의 지방성 교육과정이 출현한 것은 중앙집권적이던 중국교육사상 획기적인 일로 특히 상해시의 과정표준은 미국 등이 채택하고 있는 국가과정표준(National Standards)의 형식을 따른 것으로, 이것은 신중국이 미국식 교육모델을 학습하기 시작한 하나의 중요한 표시였다. 이때부터 ‘과정표준’이라는 용어가 다시 사용되게 되었다.
2001년 중국은 21세기의 달라진 시대적 수요에 대처하고 소질교육을 전면 추진하기 위한 교육과정 개혁 작업에 착수하여, 국가과정-지방과정-학교과정의 3급 과정 관리체계를 확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역사교학대강과는 별도로 전국성 과정으로 역사교육대강과 역사과정표준이라는 복수의 교육과정체계가 마련된 것이다. 이제 중국은 多綱多本(다수의 교육과정과 여러 종류의 교과서)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결국 1980년대 중국 교육개
  • 가격2,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3.31
  • 저작시기2009.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54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