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프로젝트 개요서
2. 시스템 구성도
3. 업무 기술서
4. 업무 문서 리스트
5. 논리적 데이터 모델
6. 물리적 데이터 모델
7. 용어 사전
8. 도메인 정의서
9. 테이블 기술서
2. 시스템 구성도
3. 업무 기술서
4. 업무 문서 리스트
5. 논리적 데이터 모델
6. 물리적 데이터 모델
7. 용어 사전
8. 도메인 정의서
9. 테이블 기술서
본문내용
서
개설 강좌 관리
4
개설 강좌 리스트
개설 강좌 관리
5
폐강 강좌 리스트
개설 강좌 관리
개설 과목 리스트(예제)
작성일자 : 2008년 04월 08일
과목코드
과 목 명
구분
학점
담당교수
강의실
시간
A0001
데이터베이스
전선
3
D129
월123
A0002
운영체제
전필
3
D129
화123
A0003
자바프로그래밍
전선
3
D127
목123
위 과목은 현재 개설된 과목을 중점으로 만들어진 리스트이다.
수강 신청을 할 경우 정확한 과목 코드와 과목명을 기재하여야만 수강 신청이 가능하다.
교수 회원 리스트 (예제)
교수코드
소속
전공
이름
연구실
B0001
컴퓨터공학부
CE
D230
B0002
컴퓨터공학부
CE
D450
B0003
컴퓨터공학부
CE
D111
B0004
컴퓨터공학부
SE
D424
학생 회원 리스트 (예제)
학번
소속
학년
이름
등록상태
C0001
컴퓨터공학부
1
재적
C0002
컴퓨터공학부
2
재학
C0003
컴퓨터공학부
3
휴학
C0004
컴퓨터공학부
4
재학
강의 계획서(예제)
교과목명
데이터베이스
교과목 코드
A0001
학 점
3
담당교수
이 수 학 년
3
강의시간
3
홈페이지
교 재 명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구축 (오 세종)
참고 문헌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이 석호)
과목개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이해하고, 설계/분석이 가능하도록 한다.
강의 계획
1주차 : 과목소개
2주차 : 데이터베이스 개념
3주차 : 모델링
4주차 : 관계데이터
5주차 : 정규화
6주차 : MySQL
7주차 : 설계
8주차 : 구현
9주차 : 최종 정리
10주차 : 프로젝트 발표
평가 방법
중간 : 30 기말 : 30 과제물 : 10 출석 : 10 팀 프로젝트 : 20
기 타
5. 논리적 데이터 모델
< E-R Diagram >
1. 정규화 이전의 ERD
2.정규화 이후의 ERD
◈ 정규화 설명
위의 정규화 이전의 ERD를 살펴보면 학생은 복수전공(전공 2개를) 가질수 있으므로 전공코드와 전공명이 두 개씩 들어가게 된다. 하지만 이렇게 정의를 할 경우 두 번째 전공코드와 전공명에는 NULL 값이 들어갈수가 있으므로, 이것은 1차 정규화의 대상이 된다. 그래서 1차정규화의 그림과 같이 엔티티를 따로 생성하여 1 : N의 관계를 맺어주면 된다. 또한 강의에서 사용되는 교재는 1권이 있을수 있고, 여러권이 있을수도 있고, 교재를 사용하지 않을수도 있다. 그러므로 교재 코드와 교재명에 NULL 값이 들어가는 경우가 생기므로 이 또한 제 1정규화의 대상이 된다. 그래서 아래의 그림과 같이 교재 엔티티를 따로 만들어서 1 : N 의 관계를 맺어 주면 된다.
2차 정규화를 해야되는 대상의 기본 전제조건은 키가 복합키로 구성되어져 있을때이다. 여기서 고려해야되는대상은 수강신청 엔티티 즉, 과목코드와 학번의 복합키로 구성된 엔티티이다. 하지만 해당과목의 성적을 알기 위해서는 학번과 과목코드를 알고 있으야만 가능하므로 2차 정규화의 대상이 아니다. 또한 강의 엔티티를 살펴보면 교수코드와 과목코드 두 개를 알아야하니 강의계획서 / 시간 / 강의실을 결정 할수 있으므로 이또한 2정규화의 대상이 아니다. 따라서 2정규화의 대상이 되는것은 없다.
3차 정규화를 해야되는 것을 살펴보면 우리조가 처음으로 생각한것은 학생 엔티티의 성별/나이가 학번이 아닌 주민등록번호에 의존하고 있어서 제 3 정규화를 시도해야된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학번으로도 학생에 대한 모든정보를 파악 할수 있다고 판단했고, 설령 학번으로 알수 없다서, 주민등록번호 엔티티를 따로 뺀다고해도 , 학생의 학번을 기본키로 하는 엔티티와는 1:1관계를 맺게 되므로 제3 정규화의 대상에 포함 되지 않는다.
또한 강의계획서에 시간/강의실에 의존한다는것을 제3 정규화의 대상으로 생각하였으나, 우리학교 기준으로 할때 강의계획서에는 시간과 강의실이 포함되지 않는다. 그래서 이것또한 제3 정규화의 대상이 아니다. 따라서 제3 정규화의 대상이 되는 것은 없다.
파워 포인트로 ERD를 작성하고 ERWIN으로 관계스키마로 표현해 보니 정규활 대상이 거의 보이지 않았다. 교재하고 전공의 같은 경우도 처음에 엔티티라는것을 바로 생각해 냈더라면 제1정규화의 대상조차 있지 않았을것이다. 억지로 1,2,3정규화가 들어나도록 엔티티를 구성할수도 있지만, 우리가 처음 엔티티와 관계를 구성한대로 모델링 한것을 보였다.
◈ 관계 설명
학부 - 교수 , 학생 - 교수 사이의 관계
여려명의 교수가 학부에 소속되고, 또한 여러명의 학생이 학부에 소속되므로 이들사이의 관계는 즉 학부와 교수 / 학생의 관계는 1: N 이 된다.
학생과 - 장학금 관계
한명의 학생이 여러개의 장학내역이 있을수 있고 또한 장학은 여러명의 학생에게 주어질수 있으므로 카디널리티는 N:M 이 된다. 또한 학생이 장학을 받게 되면 그 장학을 받은 년도하고 학기가 추가적인 속성으로 발생하게 되므로 이 속성들은 관계에 붙게 된다. 이것은 N:M의 관계이므로 교차실체를 정의해서 년도하고 학기를 추가시켜 주면 된다.
교수 - 학생 사이의 관계
한명의 교수는 여려명의 학생을 지도한다. 또한 한명의 학생은 한명의 지도교수를 가지게 되므로 교수와 학생사이의 카디널리티는 N :1이 된다.
학생 - 개설강좌 사이의 관계
한명의 학생의 다수의 개설강좌를 수강신청 할수 있으며, 한 개의 개설강좌는 여러명의 학생을 수강 신청 받기 때문에 카디널리티는 N : M 이된다. 또한 학생의 개설강좌를 신청하게 되면 성적 이라는 추가 속성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것이 관계에 붙게 된다. 이것은 N:M 의 관게이므로 교차실체를 정의해서 그 엔티티에 성적을 포함시키고 1:N 의 관계를 맺어 주면 된다.
교수 - 개설강좌 사이의 관계
한명의 교수는 다수의 개설강좌를 강의할수 있으며, 한 개의 개설강좌는 다수의 교수가 강의할수 있다. 따라서 교수와 개설강좌 사이의 카디널리티는 N : M 이다 교수와 개설강좌 사이의 관계는“강의한다”인데 강의를 할시에는 시간 / 강의실 / 교재 / 강의계획서 와 같은속성들이 추가적으로 발생하게 되므로 관계에 속성(Attribute) 붙게 된다. 관계에 속성이 있을경우에는 대다수 엔티티를 만들어 주어서 관계를
개설 강좌 관리
4
개설 강좌 리스트
개설 강좌 관리
5
폐강 강좌 리스트
개설 강좌 관리
개설 과목 리스트(예제)
작성일자 : 2008년 04월 08일
과목코드
과 목 명
구분
학점
담당교수
강의실
시간
A0001
데이터베이스
전선
3
D129
월123
A0002
운영체제
전필
3
D129
화123
A0003
자바프로그래밍
전선
3
D127
목123
위 과목은 현재 개설된 과목을 중점으로 만들어진 리스트이다.
수강 신청을 할 경우 정확한 과목 코드와 과목명을 기재하여야만 수강 신청이 가능하다.
교수 회원 리스트 (예제)
교수코드
소속
전공
이름
연구실
B0001
컴퓨터공학부
CE
D230
B0002
컴퓨터공학부
CE
D450
B0003
컴퓨터공학부
CE
D111
B0004
컴퓨터공학부
SE
D424
학생 회원 리스트 (예제)
학번
소속
학년
이름
등록상태
C0001
컴퓨터공학부
1
재적
C0002
컴퓨터공학부
2
재학
C0003
컴퓨터공학부
3
휴학
C0004
컴퓨터공학부
4
재학
강의 계획서(예제)
교과목명
데이터베이스
교과목 코드
A0001
학 점
3
담당교수
이 수 학 년
3
강의시간
3
홈페이지
교 재 명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구축 (오 세종)
참고 문헌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이 석호)
과목개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이해하고, 설계/분석이 가능하도록 한다.
강의 계획
1주차 : 과목소개
2주차 : 데이터베이스 개념
3주차 : 모델링
4주차 : 관계데이터
5주차 : 정규화
6주차 : MySQL
7주차 : 설계
8주차 : 구현
9주차 : 최종 정리
10주차 : 프로젝트 발표
평가 방법
중간 : 30 기말 : 30 과제물 : 10 출석 : 10 팀 프로젝트 : 20
기 타
5. 논리적 데이터 모델
< E-R Diagram >
1. 정규화 이전의 ERD
2.정규화 이후의 ERD
◈ 정규화 설명
위의 정규화 이전의 ERD를 살펴보면 학생은 복수전공(전공 2개를) 가질수 있으므로 전공코드와 전공명이 두 개씩 들어가게 된다. 하지만 이렇게 정의를 할 경우 두 번째 전공코드와 전공명에는 NULL 값이 들어갈수가 있으므로, 이것은 1차 정규화의 대상이 된다. 그래서 1차정규화의 그림과 같이 엔티티를 따로 생성하여 1 : N의 관계를 맺어주면 된다. 또한 강의에서 사용되는 교재는 1권이 있을수 있고, 여러권이 있을수도 있고, 교재를 사용하지 않을수도 있다. 그러므로 교재 코드와 교재명에 NULL 값이 들어가는 경우가 생기므로 이 또한 제 1정규화의 대상이 된다. 그래서 아래의 그림과 같이 교재 엔티티를 따로 만들어서 1 : N 의 관계를 맺어 주면 된다.
2차 정규화를 해야되는 대상의 기본 전제조건은 키가 복합키로 구성되어져 있을때이다. 여기서 고려해야되는대상은 수강신청 엔티티 즉, 과목코드와 학번의 복합키로 구성된 엔티티이다. 하지만 해당과목의 성적을 알기 위해서는 학번과 과목코드를 알고 있으야만 가능하므로 2차 정규화의 대상이 아니다. 또한 강의 엔티티를 살펴보면 교수코드와 과목코드 두 개를 알아야하니 강의계획서 / 시간 / 강의실을 결정 할수 있으므로 이또한 2정규화의 대상이 아니다. 따라서 2정규화의 대상이 되는것은 없다.
3차 정규화를 해야되는 것을 살펴보면 우리조가 처음으로 생각한것은 학생 엔티티의 성별/나이가 학번이 아닌 주민등록번호에 의존하고 있어서 제 3 정규화를 시도해야된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학번으로도 학생에 대한 모든정보를 파악 할수 있다고 판단했고, 설령 학번으로 알수 없다서, 주민등록번호 엔티티를 따로 뺀다고해도 , 학생의 학번을 기본키로 하는 엔티티와는 1:1관계를 맺게 되므로 제3 정규화의 대상에 포함 되지 않는다.
또한 강의계획서에 시간/강의실에 의존한다는것을 제3 정규화의 대상으로 생각하였으나, 우리학교 기준으로 할때 강의계획서에는 시간과 강의실이 포함되지 않는다. 그래서 이것또한 제3 정규화의 대상이 아니다. 따라서 제3 정규화의 대상이 되는 것은 없다.
파워 포인트로 ERD를 작성하고 ERWIN으로 관계스키마로 표현해 보니 정규활 대상이 거의 보이지 않았다. 교재하고 전공의 같은 경우도 처음에 엔티티라는것을 바로 생각해 냈더라면 제1정규화의 대상조차 있지 않았을것이다. 억지로 1,2,3정규화가 들어나도록 엔티티를 구성할수도 있지만, 우리가 처음 엔티티와 관계를 구성한대로 모델링 한것을 보였다.
◈ 관계 설명
학부 - 교수 , 학생 - 교수 사이의 관계
여려명의 교수가 학부에 소속되고, 또한 여러명의 학생이 학부에 소속되므로 이들사이의 관계는 즉 학부와 교수 / 학생의 관계는 1: N 이 된다.
학생과 - 장학금 관계
한명의 학생이 여러개의 장학내역이 있을수 있고 또한 장학은 여러명의 학생에게 주어질수 있으므로 카디널리티는 N:M 이 된다. 또한 학생이 장학을 받게 되면 그 장학을 받은 년도하고 학기가 추가적인 속성으로 발생하게 되므로 이 속성들은 관계에 붙게 된다. 이것은 N:M의 관계이므로 교차실체를 정의해서 년도하고 학기를 추가시켜 주면 된다.
교수 - 학생 사이의 관계
한명의 교수는 여려명의 학생을 지도한다. 또한 한명의 학생은 한명의 지도교수를 가지게 되므로 교수와 학생사이의 카디널리티는 N :1이 된다.
학생 - 개설강좌 사이의 관계
한명의 학생의 다수의 개설강좌를 수강신청 할수 있으며, 한 개의 개설강좌는 여러명의 학생을 수강 신청 받기 때문에 카디널리티는 N : M 이된다. 또한 학생의 개설강좌를 신청하게 되면 성적 이라는 추가 속성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것이 관계에 붙게 된다. 이것은 N:M 의 관게이므로 교차실체를 정의해서 그 엔티티에 성적을 포함시키고 1:N 의 관계를 맺어 주면 된다.
교수 - 개설강좌 사이의 관계
한명의 교수는 다수의 개설강좌를 강의할수 있으며, 한 개의 개설강좌는 다수의 교수가 강의할수 있다. 따라서 교수와 개설강좌 사이의 카디널리티는 N : M 이다 교수와 개설강좌 사이의 관계는“강의한다”인데 강의를 할시에는 시간 / 강의실 / 교재 / 강의계획서 와 같은속성들이 추가적으로 발생하게 되므로 관계에 속성(Attribute) 붙게 된다. 관계에 속성이 있을경우에는 대다수 엔티티를 만들어 주어서 관계를
추천자료
MS ACCESS 를 이용한 자바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
소프트웨어시스템 실험 데이터베이스 개요
데이터베이스 구축 계획서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과 SQL
[특허][이중출원][웹데이터베이스][표준화][진보성]특허의 개념, 특허의 분류, 특허의 요건, ...
방통대-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의 특징
데이터베이스 report
[MFC] 일정관리 프로그램 (다이어리) 데이터베이스
인터넷 정보검색효율의 측정방법, 인터넷 정보검색효율과 최적화, 인터넷 정보검색효율과 인...
DBMS[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관리와 실습 MS SQL Server 2008(연습문제4장_mssql결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