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Ⅱ. 본문
1. 여성어의 성립배경 및 변화과정
2. 여성어와 남성어의 비교를 통해 알아보는 여성어의 특징
1) 종조사
2) 경어
3) 인칭대명사
4) 감동사
5) 품사
6) お가 붙은 여성어
7) 한자어의 사용
Ⅲ. 맺음말
-참고문헌
Ⅱ. 본문
1. 여성어의 성립배경 및 변화과정
2. 여성어와 남성어의 비교를 통해 알아보는 여성어의 특징
1) 종조사
2) 경어
3) 인칭대명사
4) 감동사
5) 품사
6) お가 붙은 여성어
7) 한자어의 사용
Ⅲ.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여성어에 대하여」 한국사회언어학회, 1996년
오늘날 여성어에서는 한자어보다 고유일본어를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Ⅲ. 맺음말
고정관념일지 몰라도 여성의 대표적인 이미지는 부드러움이다. 일본의 여성어 역시 남성어에 비하면 상당히 부드러우며 둥근 발음이 많이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성어는 직접적인 표현보다는 한 단계 낮춰 자신의 의견을 전달하는 표현들이 많이 사용되며 존대와 정중한 느낌을 극화하고자 남성어에 비해 お의 사용을 많이 확인해 볼 수 있다. 이에 남성어에 비해 경어 사용이 잦다. 또한 딱딱한 한자식 표현보다 히라가나를 사용하여 보다 유한 표현들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시대가 변해가며 일본의 여성어도 남성어와 혼용되어 사용되는 경우를 간간히 찾아볼 수 있다. 한때 남성만이 사용했던 단어라 할지라도 여성이 강한 뉘앙스로 상대에게 어필하고자 할 때 종종 사용되고 있다. 또 반대로 여성이 사용했던 언어를 남성이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わ」의 경우 주로 여성이 사용하는데 말을 부드럽게 끝내는 의미로 쓰이거나 별다른 의미 없이 여성들이 말을 끝낼 때 붙인다. 자신의 주장을 보다 완곡하게 표현하는 뉘앙스로 주로 여성들이 사용했다. 그러나「わ」는 비단 여성만이 사용하는 종조사는 아니다. 다른 뉘앙스이긴 하나 남성이 자신의 의지를 강조하거나 단정지을 때 역시 사용한다. 이런 내역들을 보면 남성어와 여성어를 규정짓는게 결코 쉽지 않은 일이란 생각이 든다.
-참고문헌
정혜경,「일본의 여성어연구-그 방법과 범위」 동아시아일본학회 일본문화연구 제9집, 2003년
이정희,「종조사에 의한 일본어 여성어 연구」 동의공업대학 논문집, 2000년
임영철,「일본어의 여성어에 대하여」 한국사회언어학회, 1996년
오미선,「일본어의 여성어와 남성어」 경희대학교 부설비교문화연구소, 1996년
오쓰카 가오루, 권경애, 박민영, 「고급일본어활용1」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4년
이경수 외,「일본어문장연습1」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9년
인터넷카페 쭈미, 일본어 남성어와 여성어, 검색일 2009. 9. 16
http://jooeunmi.com/zeroboard/view.php?id=board&no=164
인터넷카페 부엉부엉, 남녀에 따라 다른 종조사 쓰기, 검색일 2009. 9.22 http://blog.naver.com/khs12mar?Redirect=Log&logNo=80046654330
오늘날 여성어에서는 한자어보다 고유일본어를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Ⅲ. 맺음말
고정관념일지 몰라도 여성의 대표적인 이미지는 부드러움이다. 일본의 여성어 역시 남성어에 비하면 상당히 부드러우며 둥근 발음이 많이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성어는 직접적인 표현보다는 한 단계 낮춰 자신의 의견을 전달하는 표현들이 많이 사용되며 존대와 정중한 느낌을 극화하고자 남성어에 비해 お의 사용을 많이 확인해 볼 수 있다. 이에 남성어에 비해 경어 사용이 잦다. 또한 딱딱한 한자식 표현보다 히라가나를 사용하여 보다 유한 표현들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시대가 변해가며 일본의 여성어도 남성어와 혼용되어 사용되는 경우를 간간히 찾아볼 수 있다. 한때 남성만이 사용했던 단어라 할지라도 여성이 강한 뉘앙스로 상대에게 어필하고자 할 때 종종 사용되고 있다. 또 반대로 여성이 사용했던 언어를 남성이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わ」의 경우 주로 여성이 사용하는데 말을 부드럽게 끝내는 의미로 쓰이거나 별다른 의미 없이 여성들이 말을 끝낼 때 붙인다. 자신의 주장을 보다 완곡하게 표현하는 뉘앙스로 주로 여성들이 사용했다. 그러나「わ」는 비단 여성만이 사용하는 종조사는 아니다. 다른 뉘앙스이긴 하나 남성이 자신의 의지를 강조하거나 단정지을 때 역시 사용한다. 이런 내역들을 보면 남성어와 여성어를 규정짓는게 결코 쉽지 않은 일이란 생각이 든다.
-참고문헌
정혜경,「일본의 여성어연구-그 방법과 범위」 동아시아일본학회 일본문화연구 제9집, 2003년
이정희,「종조사에 의한 일본어 여성어 연구」 동의공업대학 논문집, 2000년
임영철,「일본어의 여성어에 대하여」 한국사회언어학회, 1996년
오미선,「일본어의 여성어와 남성어」 경희대학교 부설비교문화연구소, 1996년
오쓰카 가오루, 권경애, 박민영, 「고급일본어활용1」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4년
이경수 외,「일본어문장연습1」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9년
인터넷카페 쭈미, 일본어 남성어와 여성어, 검색일 2009. 9. 16
http://jooeunmi.com/zeroboard/view.php?id=board&no=164
인터넷카페 부엉부엉, 남녀에 따라 다른 종조사 쓰기, 검색일 2009. 9.22 http://blog.naver.com/khs12mar?Redirect=Log&logNo=80046654330
추천자료
2017년 1학기 세계의역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트럼프 당선 이후의 한미 관계)
2017년 1학기 생활과건강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당뇨의 합병증을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
2017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경판본 홍길동전과 박태원 홍길동전 비교)
2017년 1학기 문화통합론과북한문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월북작가 박태원과 정지용문학)
2017년 1학기 부동산법제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분묘기지권을 둘러싼 제반 법적 쟁점)
2017년 1학기 비교행정론 중간시험과제물 E형(중국의 행정체제)
2017년 1학기 인터넷과정보사회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웹 브라우저 점유율, AR 및 VR)
2017년 1학기 세계의음식음식의세계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식습관 형성 과정 등)
2017년 1학기 주거관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K-apt 체계, 하자분쟁조정 등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