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기업선정이유
2. 삼성애니콜 소개
Ⅱ. 본론
1. 휴대폰 시장의 세계동향 및 현황
2. 주요업계의 동향 및 현황
3. 애니콜 마케팅 환경분석
(1) 외부환경분석
(2) 내부환경분석
4.유럽시장 진출 시 애니콜의 SWOT분석
(1) 강점
(2) 약점
(3) 기회요인
(4) 위협요인
5. 삼성 애니콜의 마케팅 믹스(4P)
(1) 제품(Product)
(2) 가격(Price)
(3) 유통(Place)
(4) 촉진(Promotion)
Ⅲ. 결론
-애니콜 유럽시장 진출의 한계점 및 시사점
Ⅳ. 삼성 애니콜 유렵진출관련기사
<참고문헌 & 홈페이지>
1. 기업선정이유
2. 삼성애니콜 소개
Ⅱ. 본론
1. 휴대폰 시장의 세계동향 및 현황
2. 주요업계의 동향 및 현황
3. 애니콜 마케팅 환경분석
(1) 외부환경분석
(2) 내부환경분석
4.유럽시장 진출 시 애니콜의 SWOT분석
(1) 강점
(2) 약점
(3) 기회요인
(4) 위협요인
5. 삼성 애니콜의 마케팅 믹스(4P)
(1) 제품(Product)
(2) 가격(Price)
(3) 유통(Place)
(4) 촉진(Promotion)
Ⅲ. 결론
-애니콜 유럽시장 진출의 한계점 및 시사점
Ⅳ. 삼성 애니콜 유렵진출관련기사
<참고문헌 & 홈페이지>
본문내용
고 당시 70%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던 모토로라와 전면전을 선포하였다.
결국 출시 1년만에 모토롤라를 제치고 업계 1위로 부상하여 한국 휴대폰의 자존심을 지켰다. 삼성은 모토로라를 밀어내고 99년 현재 시장 점유율 55%를 차지하며 2위와의 격차를 넉넉하게 넓혀 놓았다. 정부가 디지털 이동통신 방식을 CDMA(코드분할다중접속)으로 채택한 이후 휴대폰이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로 바뀌면서 삼성전자는 애니콜의 명성을 디지털로 이어 모토롤라를 비롯한 외국 제품을 국내시장에서 몰아내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하였다.
- 성공적인 이미지 구축
삼성전자의 주요 제품들은 각 부문의 대표상품으로 우리에게 인식되고 있다. 대부분의 소비자들이 \'메모리 반도체와 모니터는 삼성제품이 제일이다\'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으며 핸드폰 하면 곧바로 \'애니콜\'을 떠올린다. 삼성의 주요 제품들은 우리들이 자연스럽게 떠올리는 \'이름\'이 되었다.
CDMA의 상용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이끈 삼성전자는 그 기술력을 인정받아 96년 국내 최초로 러시아에 200만불 규모의 CDMA시스템을 수출한 이후 중국 상해의 CDMA 장비 공급업체 선정에서 모토롤라, 루슨트 등 세계 선진업체를 물리치고 공급권을 획득하여 현재는 시범서비스를 추진하고 있다.
- 우수인력 & 독보적인 기술력
삼성이 최근 해외 마케팅분야 전문 경력자를 주요 대상으로 하는 석박사급 인력을 채용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채용한 인력을 글로벌 마케팅실에 배치해 제품의 기획과 개발, 해외시장개척 등을 담당하게 된다.
- 서비스 차별화
복합화되는 휴대폰에 대한 관심이 높은 네티즌 세대를 겨냥하여 삼성전자가 국내 최초로 시작한 애니콜 홈페이지 사이버 마케팅은 제품 정보 제공뿐 아니라, 네티즌의 커뮤니케이션 공간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 지역 서비스 망
다양한 애니콜 단말기를 한눈에 비교 구입할 수 있으며 각 서비스 사업자의 요금 및 부가 서비스 비교 및 가입이 용이하고 휴대폰 액세서리 구입 및 휴대폰 고장 발생시 서비스 센터를 방문하지 않고도 A/S를 받을 수 있는 애니콜 전문매장인 애니콜 플라자를 운영하고 있다.
- 업그레이드 서비스
삼성 애니콜은 애니콜 제품을 구입한 고객들을 위해 고객들이 많이 모이는 서울 신촌, 명동, 종로와 같은 지역에 직접 나가 업그레이드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고객들은 이런 서비스 직원들을 만나는 길가 어디에서나 애니콜의 차별화 된 서비스, 직접 고객을 찾아가는 서비스를 맛볼 수 있다.
강 점
약 점
국제적인 브랜드 파워
최신 기술의 사용
유럽인에게 호평받는 디자인
고객의 요구를 수용하는 경영기법
유럽통합 AS망의 구축
고가격정책
기회요인
위협요인
제 3세대 휴대폰 시장수요의 확대
중국의CDMA/GSM방식경용
경쟁업체들의 경계
4.유럽시장 진출 시 애니콜의 SWOT분석
(1) 강점
① 국제적인 브랜드 파워
- 獨커넥트誌, \"삼성전자 휴대폰이 가장 우수\"(휴대폰의 벤츠로 알려짐)
- 삼성 휴대폰, 美 최고 브랜드로 선정 (-美 \"브랜드 키즈(Brand Keys)\"시장조 사, 휴대폰 부문 최고 브랜드)
- 삼성 휴대폰의 위상 증진(CeBIT에서 노키아 모토롤라와 대등한 수준의 부스크 기)
-삼성 휴대폰 DT 브랜드 파워대상
- 삼성전자, 우크라이나서 휴대폰 1위
- 삼성 해외법인 사회공헌 활동 브랜드 이미지 높임(TIME지 1999년02월23일)
-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견공(犬公)통해 유럽 마케팅
② R&D 투자를 통한 최신 기술의사용
- 국내외R&D 조직을 통한 계속적인 기술의 개발(영국에 GSM 연구소 설립등)
-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단말기WIDE & SLIM
- 스마트폰의 상용화
- 다기능 폴더형 단말기
- 삼성전자, 셀룰라. PCS주파수 겸용 GSM개발
- 인터넷검색기인 웹브라우저를 내장, 인터넷통신을 할 수 있는 유럽형 휴대폰 GSM단말기(SGH_800)를 개발
③ 유럽인에게 호평 받는 디자인
- 삼성 휴대폰, 프랑스서 최고 평가
- 삼성전자 007 휴대폰 `와치폰\' 뉴욕타임즈서 호평
- 바(Bar)형 핸드폰의 출시(SGH-X600)
④ 고객의 요구를 수용하는 경영기법
-소비자의 니즈(needs)를 체계화한 제품기획 프로세스
-다양한 기능, 사용 쉽게 (삼성 휴대전화의 개발전략)
(2) 약점
- 고가격 정책(삼성의 유럽시장 점유율의 상승으로 경쟁사인 노키아가 저가격 정 책을 고려)
(3) 기회요인
- 제 3G(세대) 휴대폰 시장수요의 확대(삼성전자 2004년 5월 보다폰에 유럽식 3세대 폰 수출) - 중국 CDMA. GSM 방식 겸용
- EU, 제3세대 이동통신업체 구제 위해 규제완화
(4) 위협요인
-SK텔레콤이 자체 단말기를 생산 공급함으로써 삼성전자 단말기 사업부문은 매출 의 40%를 상실 통신장비 생산업체로서의 한계 극복을 위해서는 통신사업 진출이 불가피함.
-경쟁업체들의 경계로 삼성전자는 이미 유럽의 통신업체와 GSM방식의 통신 시스템 및 핸드 세트 생산을 위한 10억달러 규모의 기술 및 전략적 제휴를 추진하기로 함
5. 삼성 애니콜의 마케팅 믹스(4P)
(1) 제품(Product)
제품 전략으로는 신제품 개발 기존 제품 보완이라는 두 가지에서 찾을 수 있다.
2004년 세계 휴대폰 시장을 보면,
<휴대폰 출하실적>
(단위 : 백만대)
회사명
2004년
2003년
1/4분기
4/4분기
3/4분기
2/4분기
1/4분기
노키아
44.7
55.3
45.5
41.0
38.0
모토롤라
25.3
22.4
20.2
15.8
16.7
삼 성
20.1
16.0
15.0
12.0
13.2
지멘스
미발표
15.2
11.3
8.1
8.0
소니에릭슨
8.8
8.0
7.1
6.7
5.4
LG전자
8.75
8.9
7.6
5.3
5.6
으로 노키아가 꾸준히 1위를 고수하고 있으며 삼성과 모토로라의 2위 경쟁이 치열한 것을 알 수가 있다. 앞으로 삼성이 나아가기 위해서는 유럽 시장에 대한 매출 확대가 변수로 작용 할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기존 CDMA에 있어서는 삼성이 1위를 하고 있지만, GSM 유럽 방식에서는 그렇지 못하기
결국 출시 1년만에 모토롤라를 제치고 업계 1위로 부상하여 한국 휴대폰의 자존심을 지켰다. 삼성은 모토로라를 밀어내고 99년 현재 시장 점유율 55%를 차지하며 2위와의 격차를 넉넉하게 넓혀 놓았다. 정부가 디지털 이동통신 방식을 CDMA(코드분할다중접속)으로 채택한 이후 휴대폰이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로 바뀌면서 삼성전자는 애니콜의 명성을 디지털로 이어 모토롤라를 비롯한 외국 제품을 국내시장에서 몰아내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하였다.
- 성공적인 이미지 구축
삼성전자의 주요 제품들은 각 부문의 대표상품으로 우리에게 인식되고 있다. 대부분의 소비자들이 \'메모리 반도체와 모니터는 삼성제품이 제일이다\'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으며 핸드폰 하면 곧바로 \'애니콜\'을 떠올린다. 삼성의 주요 제품들은 우리들이 자연스럽게 떠올리는 \'이름\'이 되었다.
CDMA의 상용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이끈 삼성전자는 그 기술력을 인정받아 96년 국내 최초로 러시아에 200만불 규모의 CDMA시스템을 수출한 이후 중국 상해의 CDMA 장비 공급업체 선정에서 모토롤라, 루슨트 등 세계 선진업체를 물리치고 공급권을 획득하여 현재는 시범서비스를 추진하고 있다.
- 우수인력 & 독보적인 기술력
삼성이 최근 해외 마케팅분야 전문 경력자를 주요 대상으로 하는 석박사급 인력을 채용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채용한 인력을 글로벌 마케팅실에 배치해 제품의 기획과 개발, 해외시장개척 등을 담당하게 된다.
- 서비스 차별화
복합화되는 휴대폰에 대한 관심이 높은 네티즌 세대를 겨냥하여 삼성전자가 국내 최초로 시작한 애니콜 홈페이지 사이버 마케팅은 제품 정보 제공뿐 아니라, 네티즌의 커뮤니케이션 공간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 지역 서비스 망
다양한 애니콜 단말기를 한눈에 비교 구입할 수 있으며 각 서비스 사업자의 요금 및 부가 서비스 비교 및 가입이 용이하고 휴대폰 액세서리 구입 및 휴대폰 고장 발생시 서비스 센터를 방문하지 않고도 A/S를 받을 수 있는 애니콜 전문매장인 애니콜 플라자를 운영하고 있다.
- 업그레이드 서비스
삼성 애니콜은 애니콜 제품을 구입한 고객들을 위해 고객들이 많이 모이는 서울 신촌, 명동, 종로와 같은 지역에 직접 나가 업그레이드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고객들은 이런 서비스 직원들을 만나는 길가 어디에서나 애니콜의 차별화 된 서비스, 직접 고객을 찾아가는 서비스를 맛볼 수 있다.
강 점
약 점
국제적인 브랜드 파워
최신 기술의 사용
유럽인에게 호평받는 디자인
고객의 요구를 수용하는 경영기법
유럽통합 AS망의 구축
고가격정책
기회요인
위협요인
제 3세대 휴대폰 시장수요의 확대
중국의CDMA/GSM방식경용
경쟁업체들의 경계
4.유럽시장 진출 시 애니콜의 SWOT분석
(1) 강점
① 국제적인 브랜드 파워
- 獨커넥트誌, \"삼성전자 휴대폰이 가장 우수\"(휴대폰의 벤츠로 알려짐)
- 삼성 휴대폰, 美 최고 브랜드로 선정 (-美 \"브랜드 키즈(Brand Keys)\"시장조 사, 휴대폰 부문 최고 브랜드)
- 삼성 휴대폰의 위상 증진(CeBIT에서 노키아 모토롤라와 대등한 수준의 부스크 기)
-삼성 휴대폰 DT 브랜드 파워대상
- 삼성전자, 우크라이나서 휴대폰 1위
- 삼성 해외법인 사회공헌 활동 브랜드 이미지 높임(TIME지 1999년02월23일)
-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견공(犬公)통해 유럽 마케팅
② R&D 투자를 통한 최신 기술의사용
- 국내외R&D 조직을 통한 계속적인 기술의 개발(영국에 GSM 연구소 설립등)
-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단말기WIDE & SLIM
- 스마트폰의 상용화
- 다기능 폴더형 단말기
- 삼성전자, 셀룰라. PCS주파수 겸용 GSM개발
- 인터넷검색기인 웹브라우저를 내장, 인터넷통신을 할 수 있는 유럽형 휴대폰 GSM단말기(SGH_800)를 개발
③ 유럽인에게 호평 받는 디자인
- 삼성 휴대폰, 프랑스서 최고 평가
- 삼성전자 007 휴대폰 `와치폰\' 뉴욕타임즈서 호평
- 바(Bar)형 핸드폰의 출시(SGH-X600)
④ 고객의 요구를 수용하는 경영기법
-소비자의 니즈(needs)를 체계화한 제품기획 프로세스
-다양한 기능, 사용 쉽게 (삼성 휴대전화의 개발전략)
(2) 약점
- 고가격 정책(삼성의 유럽시장 점유율의 상승으로 경쟁사인 노키아가 저가격 정 책을 고려)
(3) 기회요인
- 제 3G(세대) 휴대폰 시장수요의 확대(삼성전자 2004년 5월 보다폰에 유럽식 3세대 폰 수출) - 중국 CDMA. GSM 방식 겸용
- EU, 제3세대 이동통신업체 구제 위해 규제완화
(4) 위협요인
-SK텔레콤이 자체 단말기를 생산 공급함으로써 삼성전자 단말기 사업부문은 매출 의 40%를 상실 통신장비 생산업체로서의 한계 극복을 위해서는 통신사업 진출이 불가피함.
-경쟁업체들의 경계로 삼성전자는 이미 유럽의 통신업체와 GSM방식의 통신 시스템 및 핸드 세트 생산을 위한 10억달러 규모의 기술 및 전략적 제휴를 추진하기로 함
5. 삼성 애니콜의 마케팅 믹스(4P)
(1) 제품(Product)
제품 전략으로는 신제품 개발 기존 제품 보완이라는 두 가지에서 찾을 수 있다.
2004년 세계 휴대폰 시장을 보면,
<휴대폰 출하실적>
(단위 : 백만대)
회사명
2004년
2003년
1/4분기
4/4분기
3/4분기
2/4분기
1/4분기
노키아
44.7
55.3
45.5
41.0
38.0
모토롤라
25.3
22.4
20.2
15.8
16.7
삼 성
20.1
16.0
15.0
12.0
13.2
지멘스
미발표
15.2
11.3
8.1
8.0
소니에릭슨
8.8
8.0
7.1
6.7
5.4
LG전자
8.75
8.9
7.6
5.3
5.6
으로 노키아가 꾸준히 1위를 고수하고 있으며 삼성과 모토로라의 2위 경쟁이 치열한 것을 알 수가 있다. 앞으로 삼성이 나아가기 위해서는 유럽 시장에 대한 매출 확대가 변수로 작용 할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기존 CDMA에 있어서는 삼성이 1위를 하고 있지만, GSM 유럽 방식에서는 그렇지 못하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