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물의 량과 질의 현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 물의 량과 질의 현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우리나라의 수(水)자원
(1) 우리나라 강수의 특성
(2) 우리나라의 평균 강수량
(3) 우리나라 물의 양과 이용
2. 우리나라 물의 질
⑴ 수질오염의 역사
⑵ 우리나라의 수질현황
⑶ 수질악화의 원인과 형태
3. 수(水)처리 과정과 방법
(1) 폐수처리의 목적
(2) 정수처리 과정
(3) 수(水)처리 방법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증식형태에 따라서 현탁증식법(suspended process)과 부착증식법 (attached process)으로 분류된다.
㈀ 활성슬러지공법(activated sludge process)
활성슬러지공법은 1914년 영국에서 개발된 이후, 국내외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생물학적 폐수처리의 하나이다. 활성슬러지공법은 1차 처리된 폐수의 2차 처리를 위하여 또는 1차 처리를 하지 않은 폐수를 호기성으로 생분해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활성슬러지공법의 구조]
공기 혹은 산소
유입폐수
포기조
침전지
처리수
반송슬러지
잉여슬러지
㈁ 살수여상법(trickling)
살수여상법은 1차 침전지의 유출수를 미생물막으로 덮인 자연물인 자갈 등의 쇄석이나 인위적인 매재(media) 위에 뿌려 줌으로써 매재 위에 덮인 미생물들의 분해작용에 의해 폐수를 정화시키는 방법이다. 살수여상의 구조는 매재, 하부배수시설, 회전식분배기로 이루어져 있다. 매재는 미생물이 부착하여 잘 자랄 수 있는 표면과 폐수와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 회전원판법(rotating biologcal contactor : RBC)
회전원판법은 1960년 서독에서 처음으로 설치된 이후, 여러 나라에서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다. 주로 BOD로 대표되는 유기물의 제거와 질산화를 위해 설치되어 왔다. RBC는 플라스틱으로 된 원판을 여러 개로 묶어 일부는 수중에 잠기게 하고, 나머지는 대기 중에 노출시키고 회전시킴으로서 원판에 부착된 미생물막에 의해 폐수내의 유기물을 제거시키는 호기성 생물막공법의 하나이다.
㈃ 산화지(oxidation pond)
농촌지역이나 일부 소도시의 가정하수의 경우에는 적정 규모의 못을 만들어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호기성, 임의성, 또는 혐기성의 생물학적 분해과정에 의해서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연못을 안정지(stabillization pond), 늪(lagoon), 또는 산화지(oxidation pond)라고 부른다.
산화지에서의 처리원리는 세균과 조류(algae)의 특별한 관계인 공생에 있다. 세균이 유기물을 섭취 분해하여 자체세포를 합성하고, 이산화탄소와 질소, 인 등의 영양물질을 발생시키면 조류는 이들 화합물과 햇빛을 이용하여 새로운 세포와 산소를 생산한다. 이렇게 생산된 산소는 다시 호기성 세균에 의해 재사용되는 순환과정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것이다. 이러한 미생물간의 공생관계에 의해서 수질적으로 정화되는 것이다.
산화지는 일반 폐수처리장보다 최초의 투자비가 적고, 유지관리비 또한 저렴하며, 유출수의 방출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방류수계의 하천유량이 적을 경우 오염방지를 위해 방출을 중지할 수 있고, 지하수나 우수의 유입이 있더라도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차지하는 토지의 요구량이 크고 냄새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고농도의 공장폐수인 경우에는 적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Ⅲ. 결론
사회가 발달함에 따라 물의 수요는 계속해서 증가할 것이다. 그렇지만 계속되는 수질오염의 확대와 이상기후로 인한 홍수 등으로 깨끗하고 값싼 물을 필요할 때 충분히 공급하기가 더욱 어렵게 될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여름에 집중되는 강수로 인해서 물을 저장해 놓고 사용해야 하는 특수한 상황에 빠져 있으므로 효율적인 물 관리가 더욱 절실하다.
수질오염의 경우 토양오염이나 대기오염에 비해 비교적 철저하게 관리가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토양의 경우 한번 오염되면 되돌리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대기의 경우는 좁은 지역에서 발생한 오염 물질이 수십, 수백 배 넓은 지역으로 퍼져나가 피해지역을 크게 확산시키기가 쉽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효율적인 물 관리와 더불어 수자원이 오염된 경우 빠른 대처가 가능한 처리 시설의 확충과 새로운 처리 방법의 개발 또한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수자원 확보를 위한 해결 방안들을 생각해보면, 먼저 하천을 포함한 주변 환경을 식물을 이용해 녹화시키고, 하천의 적절한 부분에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만들어 사계절 내내 비교적 일정한 양의 물이 흐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두 번째로 우리나라는 물의 가격이 다른 나라에 비해 비교적 낮아 물 사용에 대한 경각심이 낮은 편이므로 표어나 공익광고를 통한 물 절약의 중요성을 국민들에게 널리 알리는 것이 좋을 것이다. 또한 댐 건설을 통하여 여름에 집중되는 강수를 저장해 놓을 수 있는 양을 늘려야 할 것이다. 물론 댐건설은 수장지역이 생기고 환경을 파괴하는 등의 문제가 있지만 우리나라 기후의 특성상 피해를 감안하면서도 건설해야 할 것이라 본다. 물론 최소한의 피해로 최대한의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최적의 장소를 찾는 노력을 부단히 해야 한다.
수질 관리를 위한 방법으로는 첫째, 가정의 하수나 공장의 폐수를 미리 처리하여 적당한 한도로 깨끗해지고 난 다음 흘려보내는 것은 수질 관리의 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적절한 양의 세제 사용 등을 통해 애초에 물이 조금이라도 덜 오염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두 번째로 처리되기 전의 하수나 처리하고 나서도 질이 조금 낮은 하수의 경우는 관개용수나 공업용수로 사용하도록 하여 강으로 방류되는 하수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수질 관리를 위한 법적인 규정을 철저하게 만들고 관리 기구를 설치하여, 그 관리와 조사가 잘 이루어지도록 꾸준한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이런 방법 외에도 많은 방법들이 존재할 것이다. 자료를 찾고 해결 방안들을 생각하면서 매일같이 사용하면서 그 귀중함을 알지 못했던 ‘물’에 대하여 다시한번 생각해보는 기회가 되었던 것 같다.
Ⅳ. 참고문헌
◎ 옥치상 등, 수질 및 수자원 관리(1999), 대학서림
◎ 아태환경-경영연구원 (1994), 합성세제의 환경영향 및 안전성 평가를 위한 조사연구, 155~227
◎ 정회성, 북한의 환경문제와 남북 환경협력의 추진방안, 한국환경기술개발원, KETRI /1995
◎ http://www.kwater.or.kr/ 한국수자원공사
◎ http://www.me.go.kr/ 환경부
◎ http://www.ilovewater.or.kr/ 물사랑홈페이지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04.06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67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