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프레드 히치콕 감독의 싸이코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의 싸이코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소개
2. 작품 줄거리
3. 작품 분석
4. 감독에 대하여

Ⅱ. 본론
1. 영화의 주요 장면들의 앵글, 쇼트, 음향 효과
2. 영화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몇 가지 상징물들
1) 돈 뭉치2) 박제된 새

Ⅲ. 결론
1. 싸이코를 본 후 우리의 짤막한 느낌들
1)전체적인 면
2) <싸이코> 자체에서

본문내용

그리고 그 비명에 응답이라도 하듯 등장한 노먼. 어머니의 모습으로 분장하고 손엔 칼을 쥐고 있다. 여기서 지하실 백열등의 흔들거림과 음향효과도 공포감에 한 몫 한다.
샘은 불안한 느낌을 받았는지, 언덕 위의 집으로 올라와 노먼을 제지한다. 비명을 지르며 몸부림치는 노먼.
장면은 경찰서로 바뀐다. 심리학자들이 모인 자리에서, 한 심리학자는 이러한 노먼의 행위에 대해 설명하게 된다. 지금까지 노먼이 해왔던 이해할 수 없는 행동들을 심리학적으로 풀이 해주게 된다. 노먼은 10년전, 자신만을 사랑해 주던 어머니에게 애인이 생기자, 이에 강한 질투심을 느껴 어머니와 그 남자를 살해 하게 된다. 그 후, 무덤에서 그의 어머니를 꺼내어 박제를 시킨후, 자신이 살해하였다는 죄책감에, 더더욱 어머니를 잘 모시려는 모습을 보인다. 어머니의 모습으로 변장하는 것 또한 어머니를 되살리고 싶은 노먼의 강력한 욕구를 나타낸다. 자신이 마리온을 살해하면서도, 그는 어머니의 변장을 하고 있었다. 이는 자신의 아들을유혹하려는 마리온을 막으려는 어머니의 입장에서 살해 한 것이다. 정신분열의 증세라고 볼 수 있다. 살해후 에는 다시 자기 자신의 정신으로 돌아와서, 어머니가 살해 했다(사실은 자신이 죽여 놓고)는 사실을 마치 숨겨주려는 듯 뒷처리를 하게 된다.
경찰서에 끌려온 노먼. 의자에 앉아 있다. 카메라는 그를 철저히 중앙에 잡음으로써 다시금 그의 심리를 묘사한다. 화면에 비치는 모습은 노먼 이지만, 흘러나오는 목소리는 어머니의 것이다. “ 왜 이렇게 추워. 담요 좀 줘. 내가 죽인게 아니야. 난 죽이지 않았어. 오해 받기 싫어. 이런 망할놈.” 이제, 노먼이 정신분열증이라는 것은 누구도 의심하지 않게 된다.
마지막 장면. 살해된 마리온의 차를 늪에서 쇠사슬로 끌어내며 매듭짓는다. - 이로서 노먼이 마리온을 살해 했다는 확실한 증거를 관객에게 보이며 막을 내린다.-
2. 영화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몇 가지 상징물들
1) 돈 뭉치
그녀가 훔친 40만 달러는 인간이 지닌 욕심의 실체였고, 그것이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나 그녀를 사지로 몰고 가는 간접적 장치가 된다. 즉 노먼의 대사에도 나왔듯, 마리온의 덫으로 작용한 것이다. 영화 초반에는 40만 달러가 돈의 가치로서, 어떠한 큰 사건을 일으킬 것이라고 기대하지만, 살해후 허무하게 늪에 사장되면서, 이러한 기대는 빗나간다.
2) 박제된 새
새 박제는 영화의 마지막 부분에서 그의 어머니의 박제된 듯한 시체를 의미하는 것이다. 새 박제가 있는 모텔 사무실 안에서 그와 대화를 나누는 마리온이 그의 말을 통해 자신의 과오를 깨닫고 집으로 돌아가려는 장면이 있다. 여기서 그는 다음과 같은 말을 한다. \"누구나 덫에 걸려 있으며 그 덫을 빠져 나올 수는 없다.\" 이 말은 자신이 한적한 모텔을 지키며 이미 죽어 버린 어머니를 부정하면서 살아가는 비참함에서 벗어날 수 없음을 암시하며, 동시에 마리온이 이미 저지른 일의 잘못을 깨달으나 거기에서 벗어날 수 없음을 의미하는 게 아닐까. 40만 달러에의 유혹에 넘어간 건 그녀 자신이 만든 덫이었으며, 그것은 그녀가 바라던 원래의 자신의 성실한 생활이라는 덫에서 벗어나려는 새로운 방법이 아닌 또 다른 덫이었던 것이다.
Ⅲ. 결론
1. 싸이코를 본 후 우리의 짤막한 느낌들
1)전체적인 면
이 번 레포트를 계기로 영화 분석에 흥미를 느꼈고, 영화를 좀더 구체적이고, 분석적인 시각으로 보게 되었다. 하나 하나의 소품에도 의미가 있고, 카메라 앵글, 구도, 쇼트도 상황에 큰 역할을 함을 알게 되었다. 영화의 내용에 치중해서 보던 예전에는 느낄 수 없었던 감독의 의도 까지도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음향 효과 또한 영화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 또한 알게 되었다.
2) <싸이코> 자체에서
노먼에 대해 동정심을 느꼈다. 평범한 사람들에게는 이해되어질 수 없는 정신병자의 심리도 공감할 수 있었다. 노먼이 정신병자가 될 수 밖에 없었던 너무도 고립된 상황이 안타깝다. 어머니와 아들로서 서로에게 집착하는 관계가 형성되지 않도록, 여러 사람과 어우러지는 삶을 살았더라면, 노먼이 정신 분열에까지 이르지는 않았을 것이다.
영화 초반에 부호가“ 돈으로 행복을 살 수는 없지만, 불행을 막을 수는 있다.”는 말은 우리 모두가 공감하게 했지만, 돈 때문에 불행(죽음)을 맞이하는 마리온을 보면서, 사람의 마음이 큰 돈을 가지고 싶어하는 욕망 앞에서 얼마나 나약한지를 여실하게 보여준다. 돈이 삶에서 덫이 될 수 있다는 교훈을 준다.

키워드

싸이코,   히치콕,   감독,   알프레드,   감상문,   영화,   서평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4.06
  • 저작시기200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68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