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 EL (OLED) 용 고분자 소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기 EL (OLED) 용 고분자 소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유기 EL 이란 ?

2. 고분자 재료와 저분자 재료의 장.단점

3. 발광 메카니즘
⑴ Carrier 주입과 전달
⑵ 재결합 및 광자방출
⑶ 소자구조

4. 유기EL-PLED 발광물질
⑴ 공액 고분자의 특성
⑵ Poly(p-phenetlenevinylene) : PPV
⑶ Poly(p-phenylene) : PPP
⑷ Polythiopene : PT
⑸ 단계별 고분자

5. 유기 EL의 응용분야

6. 결론

본문내용

어렵다. 특히 고분자의 경우 용해성을 높이기 위해서 측쇄인 유연한 알킬기가 강직한 주쇄에 붙어 있다 따라서 소자를 제작한 루 구동을 시기면 유연한 알킬기가 진동과 같은 완화 거동을 일으키게 외고 그 결과 가장 안정한 형태인 주쇄는 주쇄끼리, 측쇄는 측쇄끼리 재배치된다. 따라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청색에서 장파장으로 이동하게 되며 효율 등과 같은 모든 특성이 나빠지게 되므로 이러한 본질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녹색 발광 고분자로는 가정 먼저 개발된 PPV가 대표적인 예이다. 그러나 PPV는 수용성 전구체를 이용하여 박막을 제조한 후에 열제거 반응으로 PPV를 만드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이 수용성 전구체는 저온에서 보관하영도 서서히 반응이 진행되어 안정성이 없으며 열제거 반응의 조건에 따라서 특성이 크게 바뀌므로 현재는 부적합한 것으로 결론이 내려졌다. 그러므로 이러한 단점을 가진 불용성인 PPV의 용해성을 높이기 위해서 지방족 측쇄기(aliphatic side group)을 도입한 여러 가지 유도체가 합성되었다.
적색 발광 고분자의 개발은 삼색 중에서 가장 미진한 단계이며 대부분의 시도가 황색 또는 오렌지색에 머무르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단분자 유기EL소자의 적색 발광과 유사한 개념으로 청색 또는 녹색 발광 고분자에 적색 발광 단분자를 소량 혼합하여 밴드 갭이 큰 매질 고분자에서 밴드 갭이 작은 소량의 적색 발광 단분자로의 전달(energy transfer) 에 의해서 적색 발광을 얻는 시도가 있었다.
정공 저지용/ 전자전달용/ 전자주입용 고분자 재료
현재까지 정공저지용, 전자전달용, 전자주입용 고분자가 뚜렷이 구분되어 사용되지 않고 있다. 가장 큰 이유는 용매에 의한 층 파괴 현상 때문에 구현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세가지 기능을 동시에 만족하는 고분자 등은 좋은 후보이다. 하지만 발광층용 고분자가 가용성이라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자 단점이다. 따라서 가용성용 발광층용 고분자 위에 다시 용액 가공을 하는 방식은 반드시 피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4-15 Conjugated polymer materials for the type of PLED
5. 유기EL의 응용분야
유기EL 기술이 제품에 적용될 수 있는 분야는 매우 다양하다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기술의 광범위한 제품기술로서의 가능성에 기인하여 1998년 일본에서 처음으로 상용화가 이루어진 이후 기업의 제품개발 및 생산에 대한 구체적인 추진활동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지금까지 출고되고 있는 제품들은 카오디오, 이동전화단말기의 메인 디스플레이(Main display), 소형문자표시 디스플레이(subdisplay)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 앞으로의 시장규모를 볼 때, Cellular, Telecommunication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다음으로 PDA와 같이 정보통신 단말용 디스플레이, 가정용 AV기기, 차 탑제용 AV 디스플레이 순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것은 유기EL의 최대장점이 고속응답, 경량, 박형, 광시야각으로 활용되어지기 때문이다.[10] 더불어 수율 및 생산성 개선을 통하여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수명 등 기술적 한계의 극복하여 대화면화를 시도함으로써 중대형 시장으로의 진입을 예고하고 있다. 현재 유기EL 시장에서 Pioneer와 Seiko-Epson, Sanyo, Toshiba, Sony 등이 당분간 세계 유기EL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디스플레이 패널 업체들은 유기EL에 관한 개발을 매우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OLED 중장기 시장 전망
그림 5-1 OLED 중장기 시장 전망 [11]
6. 결론
유기 EL은 LCD, PDP에 이어 평판 디스플레이의 3대 기술로 대두되고 있다. LCD는 산업 전반에 걸쳐 기술정립단계이어서 부분적인 신기술 개발, 초거가격제품 등 새로운 제품창출이 과제이다. PDP는 현재도 전력소비 절감, 형광체 개선, 다면탈취 등의 공정 및 장비 기술이 동시에 개선 및 개발이 이뤄져야할 부분이 남아있다. 향후 유기 EL은 3대 디스플레이 시장으로의 성장이 기대되며, 전 제품 분야에서 LCD와의 경쟁이 예상된다. 이의 관건은 부가가치의 차별화이다. 그러나 유기 EL 디스플레이 분야는 아직 많은 숙제가 남아있는데 우선 풀 컬러화와 대형화 개발이 시급하다. 생산효율을 향상하여 저가격화 하는 것도 역시 중요한 과제이다. 그러나 다소 가격이 비싸더라도 오히려 부가가치를 높여 대량 생산여지를 주어 큰 시장점유율을 확보하는 것이 유기 EL이 살아갈 수 있는 길이다.
[ 참고문헌 ]
[1] C. W. Tang and S. A. VanSlyke, Appl. Phys. Lett. 51, 913 (1987)
[2] C. W. Tang, S. A. VanSlyke, and C. H. Chen, J. Appl. Phys. 65, 3610 (1989)
[3] J. H. Burroughes, D. D. C. Bradley, A. R. Brown, R.N. Marks, and A. B. Holmes, Nature 347, 539 (1990)
[4] R. H. Friend, R. W. Gymer, A. B. Holmes. J. H. Burroughes. R. N. Marks, C.Taliani, D. D. C. Bradley, D. A. Dos Santos, J. L. Bredas, M. Logdlund and W. R. Salaneck, Nature 397,121 (1999)
[5] T. Wakimoto, R. Murayama, K. Nagayama, Y. Okuda, H. Nakada, and T. Tohma, SID Digest, 27, 849 (1996)
[6] 전자신문 (http://www. etimesi.com)
[7] Digital Times(http://www.dt.co.kr)
[8] 권수갑, 정보통신기술사 자격대비 핵심정리, 신화전산기획
[9] 전자부품연구원 기술기획팀, 유망 전자부품보고서 ‘Display\'
[10] 주병권, KIST,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11] 권지인, 정보통신산업연구실, OLED의 응용분야 및 시장 전망
  • 가격3,0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10.04.06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70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