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재배내력 및 현황
2. 품종과 적지
3. 번식 및 재배, 관리방법
4. 복숭아의 성분 및 효능
5. 복숭아 통조림 제조
6. 가정에서 쉽게 복숭아 통조림을 만들어서 먹는 방법
2. 품종과 적지
3. 번식 및 재배, 관리방법
4. 복숭아의 성분 및 효능
5. 복숭아 통조림 제조
6. 가정에서 쉽게 복숭아 통조림을 만들어서 먹는 방법
본문내용
할 것.
* 수형갱신상 필요한 도장지는 잘 유인해 둘 것
* 과실성숙기의 지나친 도장지 제거작업은 과실품질에 나쁜 영향을 미치므로 주의할것.
3) 정지 진정법
① 수형구성
* 목표수형 : 개심자연형(3본 또는 2본)
* 부주지 만들기
- 2~3개의 원가지에 각각 2개씩 만든다.
- 묘목 심은지 3년째부터 하나씩 만들어 나간다(아래 쪽 발생가지 이용).
* 곁가지 만들기
- 원가지, 부주지에 붙는 가지로서 많은 결과지를 붙인다.
- 항상 부주지 보다 크지 않도록 기부 쪽의 새가지를 대치해 나간다.
② 결과지 전정
* 결과지를 남기는 간격은 보통 장과지는 30~40cm, 중과지는 20~30cm로 두는 것이 좋다.
* 예베지 전정
- 예비지(결과지 근처의 장차 새순이 나올 가지)는 세력이 왕성한 눈 2~3개만 남기고 자른다. 다음해 이미 결실했던 가지와 새로 나온 두개중 한 가지는 자른다.
- 이때 결과지로 이용할 가지는 보통 끝에서 1/3~1/4을 자른다.
* 장초전정
- 30cm이상 된 긴 가지를 그대로 이용하면 착과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 장과지는 과실을 중간 밖으로 착과시키면 가지를 늘어지고 기부쪽에는 새가지가 결과지를 이용하며 이미 결실되었던 부위는 잘라 낸다.
- 기부 쪽에 새가지가 빈약할 때는 수세가 약한 경우이며, 이때는 1년을 더 기다렸다가 기부 쪽에 새 가지가 충실한 것이 자라 나오면 그때 갱신한다.
③ 전정량의 조절
* 복숭아 나무는 대개 전체 꽃눈수의 60~70%범위에서 전정한다.
* 전정량이 많으면 남아있는 눈에 집중되는 양분이 많아지므로, 자기세력이 너무 강해질 염려가 있으므로 잘 조절해 주도록 한다.
4) 수확적기의 결정과 수확방법
* 품종, 토양, 시비조건등에 따라 수확시기가 다르나 일반적으로 만개기로부터 성숙까지의 일수, 착색정도, 맛, 경도, 향기 등을 고려하여 적기를 판정해야 한다.
* 복숭아는 수확기 가까이 되면 갑자기 커지므로 품종 고유의 크기에 도달하면 수확한다.
* 극조생종의 경우 연화가 빨라진다고 해서 너무 일찍 따지 않도록 한다.
* 주지, 부주지의 선단부쪽 과실은 햇볕을 잘 받으므로 빨리 익고, 신초신장이 일찍 정지한 곳도 빨리 익으므로 수확 시 유념하여 수확해야 한다.
* 수확 초기에는 2일 간격, 최성기에는 매일 수확토록 한다.
* 수확은 손바닥으로 가볍게 잡고 과실을 가지 끝 방향으로 들어서 딴다.
* 수확바구니는 압상이 없도록 오므라들지 않는 용기를 사용하며 너무 많이 담지 않도록 한다.
* 수확은 되도록 과실 온도가 낮은 오전 8시 이전에 수확하거나 오후 늦게 수확토록 한다.
* 과실 온도가 높을 때는 호흡작용이 왕성해져서 쉽게 물러지므로 수확 후 곧 서늘한 바람이 부는 곳에서 예냉시킨 후 포장토록 해야 한다.
5) 숙기촉진을 위한 비닐하우스 재배법
① 재배조건
* 조생종의 안정생산이 유리한 남부지방에서 속기촉긴을 주목적으로 할 때.
* 노동력 분산으로 경영의 효율화를 꾀하고 경영규모 확대가 곤란한 농가의 집약관리가 요구될 때.
* 온도, 관수관리가 쉬운 평탄지, 경사지는 10도 이하, 바람이 적고 일조가 좋은 남향 또는 동향이 유리하다.
* 움푹 들어간 낮은 지대, 사질 또는 중점토보다는 배수 양호한 비옥지가 적지.
* 관수는 1회에 10a당 5~7톤을 5~7일 사이에 줄 수 있는 곳(점적관수 시설지 유리함).
* 4년생 이상으로 수관점유율이 60% 이상 된 저수고의 나무가 좋다,
② 품종과 작형(作型)
* 조생계통의 사자조생, 월봉조생, 창방조생, 대화조생들이 유리하며, 수분수혼식에 유의한다.
* 유도계통의 하우스 재배는 열과 방지와 산미감소 효과가 있으므로 유리하다.
③ 재식
* 하우스용으로 재배코자 할 때에는 2본주지형(Y자형)으로 밀식한다.
* 재식열의 방향은 남북이 유리하다.
④ 생육기의 주요관리.
* 관수와 습도조절
- 관수시각은 기온이 낮을 때는 오전 10시경, 기온이 높을 때는 오후 1시경이 좋다.
- 수확 2주전부터는 관수를 중단하고, 빗물이 하우스 안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관리한다.
* 신초관리
- 도장지가 될 가지와 밀생지는 솎아 준다.
* 결실 관리
- 개화기에는 과습되지 않도록 하며 꿀벌의 이용 등 인공수분을 준비한다.
* 토양관리와 시비
- 초생, 부초재배는 지온 상승에 방해되고, 청경재배는 하우스 내 보습에 유리하다.
- 과실착색을 위한 반사멀칭의 착색기 이용효과가 크다.
- 시비량은 유실량이 적으므로 노지재배시보다 적게 한다.
* 병해충 방제
- 하우스 안은 습도가 높으므로 특히 잿
* 수형갱신상 필요한 도장지는 잘 유인해 둘 것
* 과실성숙기의 지나친 도장지 제거작업은 과실품질에 나쁜 영향을 미치므로 주의할것.
3) 정지 진정법
① 수형구성
* 목표수형 : 개심자연형(3본 또는 2본)
* 부주지 만들기
- 2~3개의 원가지에 각각 2개씩 만든다.
- 묘목 심은지 3년째부터 하나씩 만들어 나간다(아래 쪽 발생가지 이용).
* 곁가지 만들기
- 원가지, 부주지에 붙는 가지로서 많은 결과지를 붙인다.
- 항상 부주지 보다 크지 않도록 기부 쪽의 새가지를 대치해 나간다.
② 결과지 전정
* 결과지를 남기는 간격은 보통 장과지는 30~40cm, 중과지는 20~30cm로 두는 것이 좋다.
* 예베지 전정
- 예비지(결과지 근처의 장차 새순이 나올 가지)는 세력이 왕성한 눈 2~3개만 남기고 자른다. 다음해 이미 결실했던 가지와 새로 나온 두개중 한 가지는 자른다.
- 이때 결과지로 이용할 가지는 보통 끝에서 1/3~1/4을 자른다.
* 장초전정
- 30cm이상 된 긴 가지를 그대로 이용하면 착과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 장과지는 과실을 중간 밖으로 착과시키면 가지를 늘어지고 기부쪽에는 새가지가 결과지를 이용하며 이미 결실되었던 부위는 잘라 낸다.
- 기부 쪽에 새가지가 빈약할 때는 수세가 약한 경우이며, 이때는 1년을 더 기다렸다가 기부 쪽에 새 가지가 충실한 것이 자라 나오면 그때 갱신한다.
③ 전정량의 조절
* 복숭아 나무는 대개 전체 꽃눈수의 60~70%범위에서 전정한다.
* 전정량이 많으면 남아있는 눈에 집중되는 양분이 많아지므로, 자기세력이 너무 강해질 염려가 있으므로 잘 조절해 주도록 한다.
4) 수확적기의 결정과 수확방법
* 품종, 토양, 시비조건등에 따라 수확시기가 다르나 일반적으로 만개기로부터 성숙까지의 일수, 착색정도, 맛, 경도, 향기 등을 고려하여 적기를 판정해야 한다.
* 복숭아는 수확기 가까이 되면 갑자기 커지므로 품종 고유의 크기에 도달하면 수확한다.
* 극조생종의 경우 연화가 빨라진다고 해서 너무 일찍 따지 않도록 한다.
* 주지, 부주지의 선단부쪽 과실은 햇볕을 잘 받으므로 빨리 익고, 신초신장이 일찍 정지한 곳도 빨리 익으므로 수확 시 유념하여 수확해야 한다.
* 수확 초기에는 2일 간격, 최성기에는 매일 수확토록 한다.
* 수확은 손바닥으로 가볍게 잡고 과실을 가지 끝 방향으로 들어서 딴다.
* 수확바구니는 압상이 없도록 오므라들지 않는 용기를 사용하며 너무 많이 담지 않도록 한다.
* 수확은 되도록 과실 온도가 낮은 오전 8시 이전에 수확하거나 오후 늦게 수확토록 한다.
* 과실 온도가 높을 때는 호흡작용이 왕성해져서 쉽게 물러지므로 수확 후 곧 서늘한 바람이 부는 곳에서 예냉시킨 후 포장토록 해야 한다.
5) 숙기촉진을 위한 비닐하우스 재배법
① 재배조건
* 조생종의 안정생산이 유리한 남부지방에서 속기촉긴을 주목적으로 할 때.
* 노동력 분산으로 경영의 효율화를 꾀하고 경영규모 확대가 곤란한 농가의 집약관리가 요구될 때.
* 온도, 관수관리가 쉬운 평탄지, 경사지는 10도 이하, 바람이 적고 일조가 좋은 남향 또는 동향이 유리하다.
* 움푹 들어간 낮은 지대, 사질 또는 중점토보다는 배수 양호한 비옥지가 적지.
* 관수는 1회에 10a당 5~7톤을 5~7일 사이에 줄 수 있는 곳(점적관수 시설지 유리함).
* 4년생 이상으로 수관점유율이 60% 이상 된 저수고의 나무가 좋다,
② 품종과 작형(作型)
* 조생계통의 사자조생, 월봉조생, 창방조생, 대화조생들이 유리하며, 수분수혼식에 유의한다.
* 유도계통의 하우스 재배는 열과 방지와 산미감소 효과가 있으므로 유리하다.
③ 재식
* 하우스용으로 재배코자 할 때에는 2본주지형(Y자형)으로 밀식한다.
* 재식열의 방향은 남북이 유리하다.
④ 생육기의 주요관리.
* 관수와 습도조절
- 관수시각은 기온이 낮을 때는 오전 10시경, 기온이 높을 때는 오후 1시경이 좋다.
- 수확 2주전부터는 관수를 중단하고, 빗물이 하우스 안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관리한다.
* 신초관리
- 도장지가 될 가지와 밀생지는 솎아 준다.
* 결실 관리
- 개화기에는 과습되지 않도록 하며 꿀벌의 이용 등 인공수분을 준비한다.
* 토양관리와 시비
- 초생, 부초재배는 지온 상승에 방해되고, 청경재배는 하우스 내 보습에 유리하다.
- 과실착색을 위한 반사멀칭의 착색기 이용효과가 크다.
- 시비량은 유실량이 적으므로 노지재배시보다 적게 한다.
* 병해충 방제
- 하우스 안은 습도가 높으므로 특히 잿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