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2
멀티플렉서를 이용한 조합논리
■ 실험 목표
이 실험에서는 다음 사항들에 대한 능력을 습득한다.
● 얼티플렉서를 이용한, 비교기 및 패리티 발생기 회로의 구성 및 시험
● N-입력 멀티플렉서 하나를 이용한, 2N개의 입력을 갖는 진리표의 회로 구현
● 시험회로에서의 가상적 결함에 대한 고장진단
■ 사용 부품
74151A 멀티플렉서/데이터 선택기
7404 Hex 인버터
LED 1개
저항: 330 1개, 1.0k 4개
■ 관련이론
멀티플레서(multiplxer) 또는 데이터 선택기(data selector)는 여러 개의 입력 중 원하는 입력을 출력으로 연결한다. 이와 반대로, 한 개의 입력이 여러 개의 출력 중 하나로 연결되는 기능은 디멀티플렉서(demultiplxer)또는 디코더(decoder)라고 불린다. 이러한 정의를 그림 12-1에 나타내었다. 연결 제어는 SELECT(선택) 또는 ADDRESS(주소) 입력이라 불리는 추가의 논리신호에 의해 결정된다. 멀티플레서(MUX)와 디멀티플레서(DMUX)는 디지털 논리에서 널리 응용되고 있다. MUX의 한가지 유용한 응용은 진리표로부터 직접 조합논리 함수를 구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실험 11에서는 그림 12-2(A)의 진리표로 정의되는 오버플로우 오류 감지회로가 필요했다. 1이 들어있는 각각의 출력 줄은 하나의 민텀(Minterm)을 나타낸다.(민텀은 입력변수가 실제 형태로든 반전 형태로든 모두 나타나는 부울 항이다. 예를 들어 4개의 입력 A, B, C, D가 있다면 는 민텀이지만 는 민텀이 아니다.) 이 민텀에 대한 논리가 MUX의 데이터 입력으로 연결되고 또한 데이터의 선택이 입력변수에 의해 제어된다면 이는 해당 진리표가 회로로 직접 구현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림 12-1(B)는 오버플로우 감지기에 대해 이러한 아이디어를 개념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실제적으로는 오버플로우 감지 논리를 구현하는데 8-입력 MUX가 필요하지는
멀티플렉서를 이용한 조합논리
■ 실험 목표
이 실험에서는 다음 사항들에 대한 능력을 습득한다.
● 얼티플렉서를 이용한, 비교기 및 패리티 발생기 회로의 구성 및 시험
● N-입력 멀티플렉서 하나를 이용한, 2N개의 입력을 갖는 진리표의 회로 구현
● 시험회로에서의 가상적 결함에 대한 고장진단
■ 사용 부품
74151A 멀티플렉서/데이터 선택기
7404 Hex 인버터
LED 1개
저항: 330 1개, 1.0k 4개
■ 관련이론
멀티플레서(multiplxer) 또는 데이터 선택기(data selector)는 여러 개의 입력 중 원하는 입력을 출력으로 연결한다. 이와 반대로, 한 개의 입력이 여러 개의 출력 중 하나로 연결되는 기능은 디멀티플렉서(demultiplxer)또는 디코더(decoder)라고 불린다. 이러한 정의를 그림 12-1에 나타내었다. 연결 제어는 SELECT(선택) 또는 ADDRESS(주소) 입력이라 불리는 추가의 논리신호에 의해 결정된다. 멀티플레서(MUX)와 디멀티플레서(DMUX)는 디지털 논리에서 널리 응용되고 있다. MUX의 한가지 유용한 응용은 진리표로부터 직접 조합논리 함수를 구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실험 11에서는 그림 12-2(A)의 진리표로 정의되는 오버플로우 오류 감지회로가 필요했다. 1이 들어있는 각각의 출력 줄은 하나의 민텀(Minterm)을 나타낸다.(민텀은 입력변수가 실제 형태로든 반전 형태로든 모두 나타나는 부울 항이다. 예를 들어 4개의 입력 A, B, C, D가 있다면 는 민텀이지만 는 민텀이 아니다.) 이 민텀에 대한 논리가 MUX의 데이터 입력으로 연결되고 또한 데이터의 선택이 입력변수에 의해 제어된다면 이는 해당 진리표가 회로로 직접 구현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림 12-1(B)는 오버플로우 감지기에 대해 이러한 아이디어를 개념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실제적으로는 오버플로우 감지 논리를 구현하는데 8-입력 MUX가 필요하지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