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가족치료의 개념
◆ 가족치료의 발달
1) 1940년대 이전 현황
2) 1950년대 가족치료
3) 1960년대 전문영역 가족치료
4) 1970년대 혁신적 기술개발
5) 1980년대 성장과 전문화
6) 1990대 결합과 통합
7) 한국의 가족치료의 발달
참고자료
◆ 가족치료의 발달
1) 1940년대 이전 현황
2) 1950년대 가족치료
3) 1960년대 전문영역 가족치료
4) 1970년대 혁신적 기술개발
5) 1980년대 성장과 전문화
6) 1990대 결합과 통합
7) 한국의 가족치료의 발달
참고자료
본문내용
)에 이어 P. Dell의 가족정합작용, 공진화, 상보적 코히어런스, S. de Shazer의 양안시적 변화 이론, 단기 가족치료(1982년), B. F. Keeney의 구성주의적 가족치료, 즉흥 치료에 이어 W. C. Nicols &C. A. Everett의 통합적 시스테믹 가족치료
1990년대-현재
사회구성주의, 이야기치료는, 해결 중심 치료 모델, 여권주의의 다문화주의
7) 한국의 가족치료의 발달
한국의 가족치료 발달과정은 주로 미국에서 발달한 이론을 소개하고 보급한 것으로 볼 수 있다. 1970년대에 보급을 시작하였지만 임상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 이었고, 1988년에는 한국 가족치료학회가 창설되었고 활발하게 학회, 워크숍을 하고 학회지를 발간하고 있으며, 각 대학의 가족치료와 관련된 학과에서는 학부와 대학원에 가족치료 학과목을 개설하였고, 상담 실무를 담당하는 실무자들도 가족치료에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고 있다. 한국적 가족관계는 유교적 전통문화 속에서 발달한 체계와 한국동란을 겪은 고통의 상처를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러한 측면에서 한국의 문화에 맞는 적절한 상담기법의 개발 및 이에 대한 교육훈련의 개발, 가족치료의 양성과 치료적 접근이 당면한 과제라고 볼 수 있다.
참고자료
송성자,『가족과 가족치료』, 법문사, 2000.
김규수,『의료사회사업론』형설출판사, 1991.
김득성,윤경자, 전영자, 전영주, 조명희, 현은미 역, 『가족치료』시그마프레스, 2003.
김만두,『가족치료의 이론과 기술』홍익제, 1995.
송성자 외 7인, 『가족치료』시그마프레스, 2004.
1990년대-현재
사회구성주의, 이야기치료는, 해결 중심 치료 모델, 여권주의의 다문화주의
7) 한국의 가족치료의 발달
한국의 가족치료 발달과정은 주로 미국에서 발달한 이론을 소개하고 보급한 것으로 볼 수 있다. 1970년대에 보급을 시작하였지만 임상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 이었고, 1988년에는 한국 가족치료학회가 창설되었고 활발하게 학회, 워크숍을 하고 학회지를 발간하고 있으며, 각 대학의 가족치료와 관련된 학과에서는 학부와 대학원에 가족치료 학과목을 개설하였고, 상담 실무를 담당하는 실무자들도 가족치료에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고 있다. 한국적 가족관계는 유교적 전통문화 속에서 발달한 체계와 한국동란을 겪은 고통의 상처를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러한 측면에서 한국의 문화에 맞는 적절한 상담기법의 개발 및 이에 대한 교육훈련의 개발, 가족치료의 양성과 치료적 접근이 당면한 과제라고 볼 수 있다.
참고자료
송성자,『가족과 가족치료』, 법문사, 2000.
김규수,『의료사회사업론』형설출판사, 1991.
김득성,윤경자, 전영자, 전영주, 조명희, 현은미 역, 『가족치료』시그마프레스, 2003.
김만두,『가족치료의 이론과 기술』홍익제, 1995.
송성자 외 7인, 『가족치료』시그마프레스, 200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