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검사 소변검사 Lab 의의와 정상치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혈액검사 소변검사 Lab 의의와 정상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일반혈액검사
1.적혈구 수(RBC)
2.헤모글로빈(Hb)과 헤마토크릿(Hct . Ht)
3.백혈구 수(WBC)
4. 혈소판 수(Platelet)
5. 전해질 검사

지질 검사
6. 고지혈 검사
7. IRON(철분)/TIBC(철분결합력)
8.Ferritin
9. 췌장 검사(Amylase)

당검사
1.FBS (공복 시 혈당검사)
2. HBA1C(글리코헤모글로빈)

간기능검사
1. 간기능 효소 (GOT, GPT)
2. ALK✐Phosphatase (알칼라인 포스파타제)
3. γ-GT(감마 GT)
4. 빌리루빈(Bilirubin)
5. 총 단백(Total protein)

신장기능검사
1. 혈액 뇨소질소 (BUN)
2. 크레아티닌(Creatinine)

종양 표시자 검사
1. AFP(α-페토프로테인)
2. CEA(암 태아성 단백 항원)
3. CA19-9
4. CA125
5. PSA

갑상선 기능검사
1. Free-T4, TSH
간염표시자 검사
1. B형 간염 S항원·항체 (HBsAg/Anti-HBs)
2. B형간염 C항체(Anti-HBc)
3. C형 간염 항체(Anti-HCV)

관절염 검사
1. RA(류마티스 관절염 인자)
2. CRP(C-반응성단백)

소변검사

요산검사

본문내용

일반혈액검사
1.적혈구 수(RBC)
정의
적혈구란 혈액의 주요 성분 중 하나로서 폐에서 받은 산소를 체내의 세포에 공급하고, 세포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회수하는 역할을 한다.
적혈구의 수가 감소되면 세포에 공급되는 산소량이 적어지므로 세포가 산소 결핍상태가 되는데 이를 \"빈혈\"이라고 하며, 적혈구 수가 증가되면 혈액의 흐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를 \"적혈구 증가증\"이라 하며, 이러한 경우 혈관이 막히기 쉽다.
참고치
남성 420만 ~ 630만 개/㎣, 여성 400만 ~ 540만 개/㎣
관련 질환
적혈구 수는 주로 감소할 때는 빈혈을, 증가할 때는 적혈구 증가증을 의심할 수 있다.
2.헤모글로빈(Hb)과 헤마토크릿(Hct . Ht)
정의
헤모글로빈이란 헴(heme)이라는 색소와 글로빈이라는 단백질의 복합 단백질로서, 적혈구의 산소 운반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적혈구 내의 물질.
참고치
헤모글로빈의 정상치 : 남성 13~17g/㎗, 여성 12~16g/㎗
헤마토크릿의 정상치 ; 남성 39~ 52%, 여성 36~ 48%
관련 질환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릿이 모두 참고기준치보다 낮은 경우 \"빈혈\", 높은 경우는 \"적혈구 증가증\" 이라한다.
3.백혈구 수(WBC)
정의
백혈구란 체내에 균이나 이물질이 침입하면 자신의 수를 늘려 균이나 이물질을 잡아서 소화 분해시킵니. 즉, 백혈구의 증가는 체내의 어딘가에 염증이 생겼음을 의미 .
참고치
4,000 ~ 10,000개/㎣
백혈구 수는 운동이나 목욕, 식사 등, 스트레스에도 영향을 받아 수치가 증가하므로 정상치에 여유가 있다는 것.
관련 질환
백혈구 수의 증가 원인으로는 주로 편도선염이나 폐렴, 담낭염, 급성 충수염 등 세균에 의한 감염을 나타내며 이외에도 백혈병인 경우는 3만 ~ 5만개, 심하면 10만 개에서 수십만 개로 증가.
백혈구 수의 감소는 백혈병의 초기, 재생 불량성 빈혈, 약제의 부작용, 만성 간질환 관련 등을 의심할 수 있으며, 인체 방어 능력의 저하로 잦은 질병에 걸리게 된다.
Neutrophilia
-감염, 독성, 자극, 괴사, 출혈, 용혈, 혈액학적 관찰, 고형암
Neutropenia
-myeloid hypoplasia, infective granulocytosis, decreased survival, pseudoneutropenia.
Eosinophilia
-allergy, 피부질환, 기생충 감염.
Basophilia
-allergy, CML, PV, acute basophilic leukemia, myeloid metaplasia.
Monocytosis
-감염후 회복기, subacute bacterial endocarditis,혈액 질환 및 일부 악성종양
4. 혈소판 수(Platelet)
정의
혈소판이란 상처가 생겨서 출혈이 있다을 때, 피딱지를 만들어 지혈을 해주는 역할을 한다 .
즉, 혈소판 수가 감소하거나 기능 저하가 생기면 쉽게 출혈이 생기고 출혈도 잘 멎지 않는다.
혈소판 수란 혈액 1㎣ 속에 얼마나 있는지를 조사하는 검사.
참고치
13만 ~ 40만개/㎣
관련 질환
혈소판이 감소하는 대표적인 질병인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병\"은 피하나 코, 잇몸 등에서 출혈이 일어난다. 또한, 다른 병이 원인으로 작용하여 혈소판이 감소하는 \"이차성 혈소판 감소증\"은 재생 불량성 빈혈, 백혈병, 간경변, 교원병 등의 질병, 항암제나 항생물질 등의 약제 영향이 원인이라 생각되고 있다.
5. 전해질 검사
정의
전해질은 신경 자극의 전달, 지혈, 근육의 수축 등과 같은 생리 작용에 관여하고 있다. 건강한 상태에서는 전해질의 체액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어떤 질병에 걸리게 되면 체액의 전해질 농도가 변화하게 된다. 즉, 전해질의 농도를 측정하여 질병이나 장기의 장애 등을 진단할 수 있다.
참고치
나트륨 135 ~ 145mEq/ℓ
칼륨 3.5 ~ 5.5mEq/ℓ
칼슘 8.8 ~ 10.5㎎/㎗
관련 질환
나트륨이 증가되는 경우 구토나 설사, 발한 등으로 인한 탈수, 당뇨병성 혼수, 쿠싱 증후군, 요붕증,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식염의 대량 섭취 등이 의심된다. 감소되는 경우에는 급성만성 신부전이나 당뇨병성 산증, 신증후군, 애디슨병, 갑상선 기능 저하증, 심부전 등이 의심된다.
칼륨이 증가되는 경우에는 급성

키워드

cbc,   ua,   혈액검사,   소변검사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0.04.09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78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