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하는 것이 유리하다.
실험 결과 및 논의
①일차 코일의 전류를 변화시켜 2차 코일에 유도되는 전압측정(주파수일정)
(10.00 KHz, 1차,2차 = 1000회)
전류(mA)
5
6
7
8
9
10
11
12
13
14
15
전압(V)
0.57
0.70
0.83
0.96
1.09
1.22
1.35
1.48
1.61
1.75
1.88
-> 주파수가 일정할 시, 전류가 일정하게 증가하면서 전압도 일정하게 증가함을 알 수 있다.
②1차 코일의 주파수를 변화시켜 2차 코일이 유도되는 전압측정(전류일정)
(5.00mA, 1차, 2차 1000회)
주파수(KHz)
5.0
7.5
10.0
12.5
15.0
17.5
전압(V)
0.24
0.39
0.57
0.77
1.05
1.44
-> 주파수가 변화함에 따라 전압이 증가하되, 그 증가량이 주파수가 증가함으로써 더 커짐을 알 수 있다.
③N(감은 횟수) 에 따른 유도전압측정(단면적, 전류, 주파수일정)
- 10.00mA, 10KHz, 단면적의평균 값35.05mm(600회:35.25mm, 1000회:34.90mm, 1500회:35.00mm)
감은횟수(N)
600회
1000회
1500회
전압(V)
1.27
2.45
4.27
->감은횟수가 많을수록 더 큰 전압이 유도되었다.
④단면적에 따른 유도전압 측정(N값, 전류, 주파수 일정)
-10.00mA, 10.00KHz 길이 약 30.00cm
단면적
小(20.85mm)
中(25.90mm)
大(35.25mm)
전압(V)
0.45
0.68
1.27
(감은횟수 : 600회)
(감은횟수 : 1000회)
단면적
小(20.85mm)
中(25.85mm)
大(34.90mm)
전압(V)
0.86
1.29
2.44
->단면적이 넓어질수록 유도되는 전압이 커짐을 알 수 있다.
고찰
결과로는 전류(또는 주파수)를 일정하게 했을 때 주파수(또는 전류)가 증가할수록 유도전압이 강해졌고, 감은 횟수가 많을수록, 단면적이 커질수록 유도전압이 강해졌다.
그래프를 이용해서 변동값에 따른 유도전압의 변화를 쉽게 알기 위해 측정을 많이 한다고 시간이 꽤 많이 필요한 실험이었다. 각 코일의 길이가 조금씩 달랐으나 30cm라는 근사값으로 표시하면서 오차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전류를 일정히 할 때 주파수를 변경하면 전류 또한 조금씩 변화하고 그 반대 또한 그러했다. 여기서 다시 오차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 그 외에는 실험장비가 정교하여 실험하기가 용의하였다.
실험 결과 및 논의
①일차 코일의 전류를 변화시켜 2차 코일에 유도되는 전압측정(주파수일정)
(10.00 KHz, 1차,2차 = 1000회)
전류(mA)
5
6
7
8
9
10
11
12
13
14
15
전압(V)
0.57
0.70
0.83
0.96
1.09
1.22
1.35
1.48
1.61
1.75
1.88
-> 주파수가 일정할 시, 전류가 일정하게 증가하면서 전압도 일정하게 증가함을 알 수 있다.
②1차 코일의 주파수를 변화시켜 2차 코일이 유도되는 전압측정(전류일정)
(5.00mA, 1차, 2차 1000회)
주파수(KHz)
5.0
7.5
10.0
12.5
15.0
17.5
전압(V)
0.24
0.39
0.57
0.77
1.05
1.44
-> 주파수가 변화함에 따라 전압이 증가하되, 그 증가량이 주파수가 증가함으로써 더 커짐을 알 수 있다.
③N(감은 횟수) 에 따른 유도전압측정(단면적, 전류, 주파수일정)
- 10.00mA, 10KHz, 단면적의평균 값35.05mm(600회:35.25mm, 1000회:34.90mm, 1500회:35.00mm)
감은횟수(N)
600회
1000회
1500회
전압(V)
1.27
2.45
4.27
->감은횟수가 많을수록 더 큰 전압이 유도되었다.
④단면적에 따른 유도전압 측정(N값, 전류, 주파수 일정)
-10.00mA, 10.00KHz 길이 약 30.00cm
단면적
小(20.85mm)
中(25.90mm)
大(35.25mm)
전압(V)
0.45
0.68
1.27
(감은횟수 : 600회)
(감은횟수 : 1000회)
단면적
小(20.85mm)
中(25.85mm)
大(34.90mm)
전압(V)
0.86
1.29
2.44
->단면적이 넓어질수록 유도되는 전압이 커짐을 알 수 있다.
고찰
결과로는 전류(또는 주파수)를 일정하게 했을 때 주파수(또는 전류)가 증가할수록 유도전압이 강해졌고, 감은 횟수가 많을수록, 단면적이 커질수록 유도전압이 강해졌다.
그래프를 이용해서 변동값에 따른 유도전압의 변화를 쉽게 알기 위해 측정을 많이 한다고 시간이 꽤 많이 필요한 실험이었다. 각 코일의 길이가 조금씩 달랐으나 30cm라는 근사값으로 표시하면서 오차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전류를 일정히 할 때 주파수를 변경하면 전류 또한 조금씩 변화하고 그 반대 또한 그러했다. 여기서 다시 오차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 그 외에는 실험장비가 정교하여 실험하기가 용의하였다.
추천자료
지구의 자기장 측정(예비, 결과 모두 포함)
전자기 유도
전위차계를 이용한 미지기전력 측정
이중 코일을 이용한 자기유도
[일반물리학실험Ⅱ] 25장. 교류회로 (예비레포트)
(결과) 03. 자기 유도
물리실험보고서 - 페러데이의 법칙
[측정 장치, 지구자기장, 열전도, 염도 및 온도, 가스, 대기오염, 미소거리]지구자기장 측정 ...
[전기전자] 단일코일에서의 자기장 측정 - 여러 종류의 코일에서의 축 방향의 자기장을 측정
07 (예비) 암페어(Ampere)의 법칙 - 전류가 흐르는 도선 주위의 자기장의 분포를 관측하고 전...
전자기학 실험 AC_Tools 예비 + 결과레포트
[일반물리학실험] 패러데이 법칙
전류와 자기장, 지구자기장 (결과보고서)
물리보고서-자기장측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