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 이용현황
<Particle Board>
<토양개량재>
<목탄자동차의 이용>
<목재가스에 의한 발전>
<목재 당화액을 사용한 알콜생산>
< 폐목재의 유화>
<목재의 사료화>
<고속퇴비화(Composting)>
<목재의 모양을 변화시키는 가공>
<목재는 강철보다 안전한 방화재료>
<돼지감자를 이용한 메틸알콜>
<목조주택으로서의 기능>
<목재의 재질개선>
<목질 바이오메스>
<목재의 용액화>
<전자파차단 재료로서의 목탄>
<Fiber Board>
<engineer wood>
결론 : 목재자원의 연구개발 방향
참고문헌
본론 : 이용현황
<Particle Board>
<토양개량재>
<목탄자동차의 이용>
<목재가스에 의한 발전>
<목재 당화액을 사용한 알콜생산>
< 폐목재의 유화>
<목재의 사료화>
<고속퇴비화(Composting)>
<목재의 모양을 변화시키는 가공>
<목재는 강철보다 안전한 방화재료>
<돼지감자를 이용한 메틸알콜>
<목조주택으로서의 기능>
<목재의 재질개선>
<목질 바이오메스>
<목재의 용액화>
<전자파차단 재료로서의 목탄>
<Fiber Board>
<engineer wood>
결론 : 목재자원의 연구개발 방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라돈의 방출염 려가 없는 등 그 장점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많다.
따라서 주택재료로서 목재는 그 수요가 급증할 것이나 순수한 목조주택은 목재생산량 의 감소와 맞물려 점점 단가가 상승할 것이므로 목재의 성질을 그대로 살린 내장재의 개 발이 차후의 과제일 것이다.
<목재의 재질개선>
목재이용시 제약조건으로는 강도가 약하고 수분변동에 따른 수축팽창이 생긴다는 점이 다. 이와같은 단점을 개선하는 방법은 대단히 다양하고 앞으로도 끊임없이 연구개발될 것이나, 몇가지 예를들어 보겠다. WPC(wood plastic composite)는 목재속의 공간에 합성 수지를 저분자 상태로 주입하여 목재속에서 반응시켜 고분자로 만드는 방법으로서 저급 목재의 강도를 획기적으로 증가 시키며 흡습량이 감소되고 수축율이 개선되는 재료이다. 이 재료는 비록 현재는 경제성 문제가 있으나 차후의 기술개선에 의한 처리단가 낮추어 진다면 목재와 프라스틱의 장점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재료로서 각광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비슷한 재질개량의 방법으로 석탄산수지를 처리하는 방법, 아세칠화 목재도 앞 으로의 연구성과가 기대된다.
<목질 바이오메스>
현재의 우리들은 석유자원이용의 전성시대에 살고 있으나 20세기 말을 고비로 하여 차 츰 석유자원은 고갈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목질계 바이오메스(biomass)는 재생산이 가능하고 거의 공해가 없으며 국내에서도 생산가능한 재료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 다. 물론 아직은 석유자원과 경쟁이 되지 않으나, 이론적으로는 목재 세포벽의 대부분을 점유하는 다당류(多糖類)에서 현재의 석유화학제품의 95%까지 제조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이중에서 알콜 등 일부 유기화합물은 충분한 경제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앞 으로의 목재공업의 중요한 방향으로 생각된다.
<목재의 용액화>
최근 목재에 간단한 화학반응을 시켜 플라스틱과 같은 성질을 갖는 재료로 변환시키고 가열가압함으로서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가능하며 용제(溶劑)에 녹임으로서 용액화가 가 능한 획기적인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로서 셀룰로우스 아세테이트 등을 플라스틱화 하는 기술과 또한 목재를 액화하여 발포체 혹은 무정형의 성형물을 얻을 수 있다. 목재 의 새로운 이용방법의 하나로서 썩지 않은 플라스틱의 공해문제가 심각한 오늘날 자연분 해되는 이들 재료는 지구환경보호라는 관점에서도 앞으로 기술 개발이 기대되는 분야이 다.
<전자파차단 재료로서의 목탄>
수분이 없는 목재는 거의 전기를 통하지 않지만 700 - 800℃ 이상으로 가열하면 전기 성질이 급변하여 유전(誘電)속도가 1016
배로 상승하여 금속과 거의 같은 정도로 된다. 이 와같은 성질은 질소, 산소, 바륨, 할로겐 등의 원소를 첨가하여 가열하면 초전도(超電導) 현상을 나타내는데, 이것을 얇은 판이나 필름화하면 무게가 극히 가벼운 도전(導電)재료 로서 금속이상의 성능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전자파를 막기 위하여 도전성이 좋은 금속을 사용하고 있으나 우주선이나 항공 기와 같이 경량재료가 필요한 경우에 목탄은 금속의 훌륭한 대체 재료이다. 현재 목탄 을 가공한 재료에서 금속과 거의 같거나 오히려 그 이상의 성능이 얻어지고 있으며 이들 은 극히 가볍고 강도가 높고 치수안정성이 뛰어나므로 높은 기능성재료로서 뿐만 아니라 최첨단재료로서의 연구개발이 기대되는 새로운 분야의 하나이다.
목재(wood)의 이용기술은 대단히 광범위하여 목재공학이라는 학문의 바탕만으로는 해 결할 수 없고 선진외국과 마찬가지로 인접학문간의 유기적인 교류와 정부의 적극적인 지 원이 있을때 큰 성과를 얻어리라고 본다. 아울러서 유기재료로서 지구상에 가장 많은 축적량을 보유하고 있는 목재자원의 미래지향적인 연구개발은, 눈앞에 닥쳐오고 있는 기 존자원의 고갈에 대비할 수 있는 가장 현명한 선택이라고 믿는다
http://plaza4.snut.ac.kr/%7Erecycle/resources_eng/resources_07.htm
http://chonnam.chonnam.ac.kr/~kimys/목재보존.htm
http://bh.kyungpook.ac.kr/%7Esjpark/st5-2.htm
건축재료학 -조준현 저
http://www.happycampus.com/pages/2003/08/05/D2373385.html
http://kr.news.yahoo.com/service/news/ShellView.htm?ArticleID=2004051015281826307&LinkID=9&NewsSetID=470
따라서 주택재료로서 목재는 그 수요가 급증할 것이나 순수한 목조주택은 목재생산량 의 감소와 맞물려 점점 단가가 상승할 것이므로 목재의 성질을 그대로 살린 내장재의 개 발이 차후의 과제일 것이다.
<목재의 재질개선>
목재이용시 제약조건으로는 강도가 약하고 수분변동에 따른 수축팽창이 생긴다는 점이 다. 이와같은 단점을 개선하는 방법은 대단히 다양하고 앞으로도 끊임없이 연구개발될 것이나, 몇가지 예를들어 보겠다. WPC(wood plastic composite)는 목재속의 공간에 합성 수지를 저분자 상태로 주입하여 목재속에서 반응시켜 고분자로 만드는 방법으로서 저급 목재의 강도를 획기적으로 증가 시키며 흡습량이 감소되고 수축율이 개선되는 재료이다. 이 재료는 비록 현재는 경제성 문제가 있으나 차후의 기술개선에 의한 처리단가 낮추어 진다면 목재와 프라스틱의 장점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재료로서 각광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비슷한 재질개량의 방법으로 석탄산수지를 처리하는 방법, 아세칠화 목재도 앞 으로의 연구성과가 기대된다.
<목질 바이오메스>
현재의 우리들은 석유자원이용의 전성시대에 살고 있으나 20세기 말을 고비로 하여 차 츰 석유자원은 고갈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목질계 바이오메스(biomass)는 재생산이 가능하고 거의 공해가 없으며 국내에서도 생산가능한 재료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 다. 물론 아직은 석유자원과 경쟁이 되지 않으나, 이론적으로는 목재 세포벽의 대부분을 점유하는 다당류(多糖類)에서 현재의 석유화학제품의 95%까지 제조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이중에서 알콜 등 일부 유기화합물은 충분한 경제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앞 으로의 목재공업의 중요한 방향으로 생각된다.
<목재의 용액화>
최근 목재에 간단한 화학반응을 시켜 플라스틱과 같은 성질을 갖는 재료로 변환시키고 가열가압함으로서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가능하며 용제(溶劑)에 녹임으로서 용액화가 가 능한 획기적인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로서 셀룰로우스 아세테이트 등을 플라스틱화 하는 기술과 또한 목재를 액화하여 발포체 혹은 무정형의 성형물을 얻을 수 있다. 목재 의 새로운 이용방법의 하나로서 썩지 않은 플라스틱의 공해문제가 심각한 오늘날 자연분 해되는 이들 재료는 지구환경보호라는 관점에서도 앞으로 기술 개발이 기대되는 분야이 다.
<전자파차단 재료로서의 목탄>
수분이 없는 목재는 거의 전기를 통하지 않지만 700 - 800℃ 이상으로 가열하면 전기 성질이 급변하여 유전(誘電)속도가 1016
배로 상승하여 금속과 거의 같은 정도로 된다. 이 와같은 성질은 질소, 산소, 바륨, 할로겐 등의 원소를 첨가하여 가열하면 초전도(超電導) 현상을 나타내는데, 이것을 얇은 판이나 필름화하면 무게가 극히 가벼운 도전(導電)재료 로서 금속이상의 성능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전자파를 막기 위하여 도전성이 좋은 금속을 사용하고 있으나 우주선이나 항공 기와 같이 경량재료가 필요한 경우에 목탄은 금속의 훌륭한 대체 재료이다. 현재 목탄 을 가공한 재료에서 금속과 거의 같거나 오히려 그 이상의 성능이 얻어지고 있으며 이들 은 극히 가볍고 강도가 높고 치수안정성이 뛰어나므로 높은 기능성재료로서 뿐만 아니라 최첨단재료로서의 연구개발이 기대되는 새로운 분야의 하나이다.
목재(wood)의 이용기술은 대단히 광범위하여 목재공학이라는 학문의 바탕만으로는 해 결할 수 없고 선진외국과 마찬가지로 인접학문간의 유기적인 교류와 정부의 적극적인 지 원이 있을때 큰 성과를 얻어리라고 본다. 아울러서 유기재료로서 지구상에 가장 많은 축적량을 보유하고 있는 목재자원의 미래지향적인 연구개발은, 눈앞에 닥쳐오고 있는 기 존자원의 고갈에 대비할 수 있는 가장 현명한 선택이라고 믿는다
http://plaza4.snut.ac.kr/%7Erecycle/resources_eng/resources_07.htm
http://chonnam.chonnam.ac.kr/~kimys/목재보존.htm
http://bh.kyungpook.ac.kr/%7Esjpark/st5-2.htm
건축재료학 -조준현 저
http://www.happycampus.com/pages/2003/08/05/D2373385.html
http://kr.news.yahoo.com/service/news/ShellView.htm?ArticleID=2004051015281826307&LinkID=9&NewsSetID=470
추천자료
최신 정보기술을 이용한 디지털도서관
우리나라 섬유산업의 생산기술 현황과 신기술 개발을 위한 과제
[블루투스][블루투스시장][블루투스기술]블루투스의 정의, 블루투스의 기술, 블루투스의 성능...
[블루투스][블루투스기술][블루투스활용][블루투스개발][SIG]블루투스의 정의, 블루투스의 유...
얼굴인식 기술을 이용한 침입자 감시 시스템 구축(Visual C++)
[잠재력][IT잠재력][정보기술잠재력][사이버공간잠재력][관광지개발잠재력][웰빙산업][영재교...
[대체에너지] 대체에너지 개발의 현황 및 전망 - 기술 개발 이유, 대체 에너지 종류, 시장 동...
북한 과학기술의 목적, 북한 과학기술의 행정체계, 북한 과학기술의 교육체계, 북한 과학기술...
[과학기술][과학기술정보][과학기술인력][과학기술 관련 제언]과학기술의 외부경제성, 과학기...
[스마트카]차세대 자동차 스마트카의 정의와 특징 및 장단점, 스마트카 기술 개발 동향 및 서...
[중소기업 사업][중소기업][사업][직업능력개발사업]중소기업 직업능력개발사업, 중소기업 복...
[중소기업][기술혁신][기업][기술][혁신][중소기업 기술혁신 모형][기술혁신 개발사업]중소기...
(궤도레일에서) 이동카메라를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의 성능향상방안 (인공지능 주차관리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