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상장례(상례, 장례식, 장례)의 실제
Ⅱ. 상장례(상례, 장례식, 장례)의 의의
Ⅲ. 상장례(상례, 장례식, 장례)의 대비
Ⅳ. 상장례(상례, 장례식, 장례)의 풍습
1. 매장
1) 개념
2) 장점
3) 단점
2. 화장
1) 개념
2) 장점
3) 단점
Ⅴ. 상장례(상례, 장례식, 장례)의 일반적 절차
1. 임종
2. 유언
3. 운명
4. 정제수시(整薺收屍)
5. 발상
6. 전
7. 상제
8. 호상
9. 장의사
10. 치장(治葬)
1) 부고(訃告)
2) 염습(殮襲)
11. 수의
12. 입관
13. 영좌
14. 성복
15. 발인과 영결식
16. 운구(運柩)
17. 하관과 성분
18. 성분제와 반우제
Ⅵ. 상장례(상례, 장례식, 장례)의 종교별 절차
1. 불교식 상례절차
2. 천주교식 상례절차
1) 종부성사(終傅聖事)
2) 임종 전 대사
3) 운명(運命)
4) 초상(初喪)
5) 위령미사
6) 염습(염습)과 입관(入棺)
7) 장례식(葬禮式)
8) 하관(下官)
3. 기독교식 상례절차
1) 영결식의 예배 순서
2) 하관식의 예배 순서
Ⅶ. 상장례(상례, 장례식, 장례)의 참고자료
1. 영결식 식순
2. 횡대와 지석
3. 위령제의 축문
4. 탈상제의 축문
5. 묘비의 서식
1) 비면(碑面)의 서식
2) 비의 이면(裏面) 서식
3) 비의 측면
참고문헌
Ⅱ. 상장례(상례, 장례식, 장례)의 의의
Ⅲ. 상장례(상례, 장례식, 장례)의 대비
Ⅳ. 상장례(상례, 장례식, 장례)의 풍습
1. 매장
1) 개념
2) 장점
3) 단점
2. 화장
1) 개념
2) 장점
3) 단점
Ⅴ. 상장례(상례, 장례식, 장례)의 일반적 절차
1. 임종
2. 유언
3. 운명
4. 정제수시(整薺收屍)
5. 발상
6. 전
7. 상제
8. 호상
9. 장의사
10. 치장(治葬)
1) 부고(訃告)
2) 염습(殮襲)
11. 수의
12. 입관
13. 영좌
14. 성복
15. 발인과 영결식
16. 운구(運柩)
17. 하관과 성분
18. 성분제와 반우제
Ⅵ. 상장례(상례, 장례식, 장례)의 종교별 절차
1. 불교식 상례절차
2. 천주교식 상례절차
1) 종부성사(終傅聖事)
2) 임종 전 대사
3) 운명(運命)
4) 초상(初喪)
5) 위령미사
6) 염습(염습)과 입관(入棺)
7) 장례식(葬禮式)
8) 하관(下官)
3. 기독교식 상례절차
1) 영결식의 예배 순서
2) 하관식의 예배 순서
Ⅶ. 상장례(상례, 장례식, 장례)의 참고자료
1. 영결식 식순
2. 횡대와 지석
3. 위령제의 축문
4. 탈상제의 축문
5. 묘비의 서식
1) 비면(碑面)의 서식
2) 비의 이면(裏面) 서식
3) 비의 측면
참고문헌
본문내용
영혼을 하나님 앞으로 가까이 가게 한다. 기독교식 상례가 일반 상례와 다른 점은 곡을 하지 않고 음식도 차리지 않으며 절도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 조석으로 전을 올리거나 상식을 올리지 않으며, 염습할 때 매장포로 묶지도 않는다. 장례식 전날 염습을 마치고 입관 예배를 드린다. 이때는 반드시 목사가 참석하여 예배를 본다. 염습 등도 신도들이 한다. 장례식은 영구를 교회 안에 안치하여 교회에서하는 경우도 있고, 상가(喪家)에서 간단히 하기도 한다. 이 장례식은 고인이 하나님께로 돌아갔음을 찬미하는 뜻에서 목사의 집례 아래 예배를 드린다.
1) 영결식의 예배 순서
(1) 개식사(開式辭) : 주례 목사의 개식사
(2) 찬송(讚頌) : 주례 목사가 선택한다.
(3) 기도(祈禱) : 고인의 명복을 빌며 유족들을 위로하는 내용의 기도를 한다.
(4) 성경 봉독(聖經奉讀) : 보통 고린도후서 5장 1절이나 디모데전서 6장 7절 말씀을 낭독한다.
(5) 시편 낭독(詩篇朗讀) : 시편 90편을 낭독한다.
(6) 신약 낭독(新約朗讀) : 요한복음 14장 1절부터 3절이나, 데살로니가 전서 4장 13절부터
18절 말씀을 낭독한다.
(7) 기도(祈禱) : 주례 목사가 집도한다.
(8) 고인의 약력소개 : 고인의 생전의 약력을 주례 목사가 소개한다.
(9) 주기도문(主祈禱文) : 주님이 가르쳐 준 기도라 하여 식장에 참석한 모든 사람들이 다같이 한다.
(10) 찬송(讚頌) : 식장에 참석한 모든 사람들이 다같이 한다.
(11) 헌화(獻花) : 고인의 명복을 빌며 영전에 바친다.
(12) 출관(出官) : 출상을 하기위해 관을 집밖으로 모신다.
2) 하관식의 예배 순서
(1) 개식사 : 주례 목사가 집도한다.
(2) 기원 : 영광의 나라, 하나님의 품으로 가기를 기원한다.
(3) 찬송 : 식장에 참석한 모든 사람들이 다같이 한다.
(4) 기도 : 주례 목사가 집도한다.
(5) 성경봉독 : 고린도전서 15장 51절부터 58절까지 낭독한다.
(6) 기도 : 고인의 명복을 비는 기도를 주례목사가 한다.
(7) 신앙고백 : 식장에 참석한 모든 사람들이 다같이 한다.
(8) 취토 : 상제들이 봉분 전에 흙 한줌씩을 관위에 뿌린다.
(9) 축도 : 주례 목사가 축복기도를 한다.
Ⅶ. 상장례(상례, 장례식, 장례)의 참고자료
1. 영결식 식순
- 영결식 식순
- 개식사
- 주상 및 상제들의 분향 배례
(상주, 유가족, 조객)
- 고인의 약력 보고
- 조사(弔辭)
- 조객 분향
- 호상 인사
- 폐식사
그러나 영결식을 따로 갖지 않는 경우에는 빈소에서 간단하게 고인과 마지막 작별을 한다. 이때에는 영결식 식순에 따를 필요가 없으며 주상과 유가족이 분향을 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것이 좋다.
2. 횡대와 지석
횡대라는 것은 영구를 흙으로 덮기 전에 관 위에 가로 걸쳐서 덮는 나무판을 말한다. 이 횡대는 석회와 혼합되어 잘 굳어지면 지압(地壓)으로부터 관을 보호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횡대는 잘 썩지 않는 단단한 나무로 하는 것이 좋으며, 횡대로서 가장 적합한 나무는 비자나무라고 한다. 지석은 훗일에 봉분이 파괴되더라도 누구의 묘라는 것을 알 수 있도록 고인의 이름 등을 새긴 돌을 말한다. 지석은 영구히 남아 있는 것이어야 하므로 땅속에서 상하거나 형태가 변하지 않는 돌이나 회벽돌에 고인의 이름을 새기는 것이 가장 좋다.
위쪽 : ○○(본관) ○○○(성명)의 묘
앞쪽 :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배우자 성명 등
밑쪽 : 고인의 약력
반드시 잊지 말고 지석을 묻도록 한다. 훗날 천변(天變)으로 봉분이 무너지거나 이장을 할 경우, 이 지석은 다시 없는 좋은 표식이 되는 것이다.
3. 위령제의 축문
위령제를 올릴 때 축문은 어려운 한문으로 하지 말고 쉬운 말로 상제의 정성이 나타나도록 다음과 같이 하는 것이 좋다.
년 월 일
아들 는
아버님 영전에 삼가 고하나이다.
오늘 이곳에 유택을 마련하였아오니
고이 잠드시고 길이 명복을 누리시옵소서
년 월 일
남편 는
당신의 영 앞에 고합니다.
이곳에 유택을 마련하였으니 고이
잠드시고 길이 명복을 누리소서
4. 탈상제의 축문
탈상제를 지낼 때의 축문도 한문의 어려운 격식을 따르는 것보다도 다음과 같이 하는 것이 좋다.
년 월 일
아들(또는 손자) 는 아버님
(또는 할아버님) 영전에 삼가 고하나
이다. 세월이 덧없어 어느덧 상기를
마치게 되었사오니 애모하는 마음
더욱 간절합니다.
이에 간소한 제수를 드리오니
강림하시어 흠향 하소서
년 월 일
남편 는
당신 영 앞에 고합니다.
당신이 돌아간지 벌써 백일이 되어
이제 상기를 마치게 되니 슬프고 아픈
마음을 금할 수 없습니다
이에 간소한 제수를 드리오니
흠향 하소서
5. 묘비의 서식
1) 비면(碑面)의 서식
남자의 경우는 아호(雅號)를 학생(學生) 대신에 넣어 ‘벽산○○○지묘(碧山洪吉童之墓)’, 또는 ‘벽산홍공지묘(碧山○公之墓)’라 적기도 하고, 여자의 경우도 ‘안동김씨○○여사지묘(安東金氏○○女史之墓)또는 ‘고김○○여사지묘(故金○○女史之墓)’ 등이라 적는다.
2) 비의 이면(裏面) 서식
자손에게 전해야 할 사항은 꼭 적어야 할 것이나 대부분 보계(譜系:혈통관계를 도식으로 나타낸 것)를 장황하게 늘어놓고 있다. 현대에는 고인의 약력(略歷) 사항으로 바뀌고 있다.
3) 비의 측면
그 비를 건립한 자손의 이름을 밝히고 비문은 누가 지었으며 글씨는 누가 쓰고 치산(治山)은 누가 했으며 언제 세웠다고 적는다.
通
政
大
夫
慶
州
李
公
○
○
之
墓
淑
夫
人
安
東
金
氏
之
墓
郡
守
慶
州
李
公
○
○
之
墓
學
生
慶
州
李
公
○
○
之
墓
孺
人
安
東
金
氏
之
墓
배숙부인안동김씨합부
통정재부경주이공○○지구
고대
유관자
고대
유관자부인
현대
유관자
현대
무관자
참고문헌
김석진(2000), 한국전통가정의례, 학문사
국제 한국학회, 한국 문화와 한국인, 서울 : 사계절
박의서(2002), 한국의 전통장례, 재원
송현동(2004), 한국 장례 연구의 경향과 과제, 한국문화인류학회
신광섭 외(2005), 상장례, 삶과 죽음의 방정식, 두산동아
어학시대사 편집부(1995), 관혼상제, 어학시대사
1) 영결식의 예배 순서
(1) 개식사(開式辭) : 주례 목사의 개식사
(2) 찬송(讚頌) : 주례 목사가 선택한다.
(3) 기도(祈禱) : 고인의 명복을 빌며 유족들을 위로하는 내용의 기도를 한다.
(4) 성경 봉독(聖經奉讀) : 보통 고린도후서 5장 1절이나 디모데전서 6장 7절 말씀을 낭독한다.
(5) 시편 낭독(詩篇朗讀) : 시편 90편을 낭독한다.
(6) 신약 낭독(新約朗讀) : 요한복음 14장 1절부터 3절이나, 데살로니가 전서 4장 13절부터
18절 말씀을 낭독한다.
(7) 기도(祈禱) : 주례 목사가 집도한다.
(8) 고인의 약력소개 : 고인의 생전의 약력을 주례 목사가 소개한다.
(9) 주기도문(主祈禱文) : 주님이 가르쳐 준 기도라 하여 식장에 참석한 모든 사람들이 다같이 한다.
(10) 찬송(讚頌) : 식장에 참석한 모든 사람들이 다같이 한다.
(11) 헌화(獻花) : 고인의 명복을 빌며 영전에 바친다.
(12) 출관(出官) : 출상을 하기위해 관을 집밖으로 모신다.
2) 하관식의 예배 순서
(1) 개식사 : 주례 목사가 집도한다.
(2) 기원 : 영광의 나라, 하나님의 품으로 가기를 기원한다.
(3) 찬송 : 식장에 참석한 모든 사람들이 다같이 한다.
(4) 기도 : 주례 목사가 집도한다.
(5) 성경봉독 : 고린도전서 15장 51절부터 58절까지 낭독한다.
(6) 기도 : 고인의 명복을 비는 기도를 주례목사가 한다.
(7) 신앙고백 : 식장에 참석한 모든 사람들이 다같이 한다.
(8) 취토 : 상제들이 봉분 전에 흙 한줌씩을 관위에 뿌린다.
(9) 축도 : 주례 목사가 축복기도를 한다.
Ⅶ. 상장례(상례, 장례식, 장례)의 참고자료
1. 영결식 식순
- 영결식 식순
- 개식사
- 주상 및 상제들의 분향 배례
(상주, 유가족, 조객)
- 고인의 약력 보고
- 조사(弔辭)
- 조객 분향
- 호상 인사
- 폐식사
그러나 영결식을 따로 갖지 않는 경우에는 빈소에서 간단하게 고인과 마지막 작별을 한다. 이때에는 영결식 식순에 따를 필요가 없으며 주상과 유가족이 분향을 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것이 좋다.
2. 횡대와 지석
횡대라는 것은 영구를 흙으로 덮기 전에 관 위에 가로 걸쳐서 덮는 나무판을 말한다. 이 횡대는 석회와 혼합되어 잘 굳어지면 지압(地壓)으로부터 관을 보호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횡대는 잘 썩지 않는 단단한 나무로 하는 것이 좋으며, 횡대로서 가장 적합한 나무는 비자나무라고 한다. 지석은 훗일에 봉분이 파괴되더라도 누구의 묘라는 것을 알 수 있도록 고인의 이름 등을 새긴 돌을 말한다. 지석은 영구히 남아 있는 것이어야 하므로 땅속에서 상하거나 형태가 변하지 않는 돌이나 회벽돌에 고인의 이름을 새기는 것이 가장 좋다.
위쪽 : ○○(본관) ○○○(성명)의 묘
앞쪽 : 생년월일, 사망년월일, 배우자 성명 등
밑쪽 : 고인의 약력
반드시 잊지 말고 지석을 묻도록 한다. 훗날 천변(天變)으로 봉분이 무너지거나 이장을 할 경우, 이 지석은 다시 없는 좋은 표식이 되는 것이다.
3. 위령제의 축문
위령제를 올릴 때 축문은 어려운 한문으로 하지 말고 쉬운 말로 상제의 정성이 나타나도록 다음과 같이 하는 것이 좋다.
년 월 일
아들 는
아버님 영전에 삼가 고하나이다.
오늘 이곳에 유택을 마련하였아오니
고이 잠드시고 길이 명복을 누리시옵소서
년 월 일
남편 는
당신의 영 앞에 고합니다.
이곳에 유택을 마련하였으니 고이
잠드시고 길이 명복을 누리소서
4. 탈상제의 축문
탈상제를 지낼 때의 축문도 한문의 어려운 격식을 따르는 것보다도 다음과 같이 하는 것이 좋다.
년 월 일
아들(또는 손자) 는 아버님
(또는 할아버님) 영전에 삼가 고하나
이다. 세월이 덧없어 어느덧 상기를
마치게 되었사오니 애모하는 마음
더욱 간절합니다.
이에 간소한 제수를 드리오니
강림하시어 흠향 하소서
년 월 일
남편 는
당신 영 앞에 고합니다.
당신이 돌아간지 벌써 백일이 되어
이제 상기를 마치게 되니 슬프고 아픈
마음을 금할 수 없습니다
이에 간소한 제수를 드리오니
흠향 하소서
5. 묘비의 서식
1) 비면(碑面)의 서식
남자의 경우는 아호(雅號)를 학생(學生) 대신에 넣어 ‘벽산○○○지묘(碧山洪吉童之墓)’, 또는 ‘벽산홍공지묘(碧山○公之墓)’라 적기도 하고, 여자의 경우도 ‘안동김씨○○여사지묘(安東金氏○○女史之墓)또는 ‘고김○○여사지묘(故金○○女史之墓)’ 등이라 적는다.
2) 비의 이면(裏面) 서식
자손에게 전해야 할 사항은 꼭 적어야 할 것이나 대부분 보계(譜系:혈통관계를 도식으로 나타낸 것)를 장황하게 늘어놓고 있다. 현대에는 고인의 약력(略歷) 사항으로 바뀌고 있다.
3) 비의 측면
그 비를 건립한 자손의 이름을 밝히고 비문은 누가 지었으며 글씨는 누가 쓰고 치산(治山)은 누가 했으며 언제 세웠다고 적는다.
通
政
大
夫
慶
州
李
公
○
○
之
墓
淑
夫
人
安
東
金
氏
之
墓
郡
守
慶
州
李
公
○
○
之
墓
學
生
慶
州
李
公
○
○
之
墓
孺
人
安
東
金
氏
之
墓
배숙부인안동김씨합부
통정재부경주이공○○지구
고대
유관자
고대
유관자부인
현대
유관자
현대
무관자
참고문헌
김석진(2000), 한국전통가정의례, 학문사
국제 한국학회, 한국 문화와 한국인, 서울 : 사계절
박의서(2002), 한국의 전통장례, 재원
송현동(2004), 한국 장례 연구의 경향과 과제, 한국문화인류학회
신광섭 외(2005), 상장례, 삶과 죽음의 방정식, 두산동아
어학시대사 편집부(1995), 관혼상제, 어학시대사
추천자료
한국의 혼례와 상장례
한국의 상장례
한국 전통의 장례문화에 대해서
[관혼상제]한국인의 삶과 상장례에 대한 사회문화적 의미
현대 상장례문화의 형성과 의미
[상례][장례][상례(장례) 정의][상례(장례)와 상복][전통 상례(장례)][현대 상례(장례)][상례...
[상례][장례][상례(장례) 절차][상례(장례)시 상복][현대의 상복][상례(장례)시 문상 예절]상...
[상례][장례][상장례][문상예절][문상][전통 상례][전통 장례][장례식][장래][장례예절]상례(...
상장례(상례, 장례, 장례식)의 개념과 변천, 상장례(상례, 장례, 장례식)의 절차와 순서, 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