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필로박터균][식중독]캠필로박터균의 역사, 캠필로박터균의 정의, 캠필로박터균의 특성, 캠필로박터균의 감염과 전파경로, 캠필로박터균 식중독의 증상, 캠필로박터균 식중독의 진단, 캠필로박터균 식중독의 치료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캠필로박터균][식중독]캠필로박터균의 역사, 캠필로박터균의 정의, 캠필로박터균의 특성, 캠필로박터균의 감염과 전파경로, 캠필로박터균 식중독의 증상, 캠필로박터균 식중독의 진단, 캠필로박터균 식중독의 치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캠필로박터균의 역사

Ⅱ. 캠필로박터균의 정의

Ⅲ. 캠필로박터균의 특성

Ⅳ. 캠필로박터균의 감염과 전파경로

Ⅴ. 캠필로박터균 식중독의 증상

Ⅵ. 캠필로박터균 식중독의 진단과 치료

참고문헌

본문내용

유사하다. 단, 날리딕스산에 대하여는 내성, 세파로리진, 세파로틴, 세파졸린에 대하여는 C. jejuni보다 감수성이다. 캄필로박터 장염의 1차 선택 치료약으로서는 에리스로마이신, 패혈증 등에는 겐타마이신, 수막염에는 약제효과가 좋은 클로람페니콜이 사용되고 있다. 에리스로마이신의 투여에 의하여 환자의 복통은 조기에 회복하나 설사 증상은 항생제 비투여의 환자의 경우와 거의 변화가 없다. 에리스로마이신의 투여는 본 균의 배균기간(평균 6일)을 단축하나, 에리스로마이신 비투여군에서는 2주간 정도 배균이 계속되므로 에리스로마이신 내성주가 세계 각국의 분리균주에서 인정되며, 그의 율은 높은 경우에 10% 전후이다. 특히 C. coli에 이 약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균주가 많은 경향이다.
참고문헌
김동원 외(1994), 최신식품위생학, 문운당
김현오·김명숙(2006), 최신 식품위생학, 효일
고무석 외 7인(1996), 식품과 영양, 효일문화사
송형익 외(1997), 현대 식품위생학, 지구문화사
박종세 외(1998), 꼭 알아야 할 식품위생, 유림문화사
이용욱·김종규(2005), 식품위생관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이상일 외 2인, 최신 식품 위생학, 광문사
  • 가격5,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0.04.1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88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