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의 추억 미장센,표현기법,카메라 앵글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살인의 추억 미장센,표현기법,카메라 앵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살인의 추억 미장센,표현기법,카메라 앵글

본문내용

제목: 살인의 추억 (Memories Of Murder, 2003)
작품의 스토리요약
1986년 경기도. 젊은 여인이 무참히 강간, 살해당한 시체로 발견된다. 2개월 후, 비슷한 수법의 강간살인사건이 연이어 발생하면서 사건은 세간의 주목을 받기 시작하고, 일대는 연쇄살인이라는 생소한 범죄의 공포에 휩싸인다.
사건 발생지역에 특별수사본부가 설치되고, 수사본부는 구희봉 반장(변희봉 분)을 필두로 지역토박이 형사 박두만(송강호 분)과 조용구(김뢰하 분), 그리고 서울 시경에서 자원해 온 서태윤(김상경 분)이 배치된다.
두 형사는 같이 일하다보니 서로의 방식을 존중하고 닮아가게됩니다
같이 일하던 여경이 라디오를 듣던 도중 우연히 단서를 발견하게됩니다
그건 범인이 범행을 저지르는 날에는 어떤 라디오프로그램에
음악을 신청한다는 것이죠.조용필노래를 단서로 공장에서 일하는
어떤 청년을 용의자로 붙잡지만 관리가 소홀한 사이 여중생살인사건이 일어나고 중요한 목격자조차도 기차에 치여 죽게됩니다
그런데 현장에서 발견된 정액이 그 청년것이 아니라는 결과가
미국 과학연구소에서 날라오고 결국 사건은 미궁으로 빠집니다
세월이 흐른 후,송강호는 나중에 형사직을 그만두고 정수기같은 걸 팔러다니는데예전 그 범행장소에 다시 오게됩니다.
추억에 젖어 그 곳을 유심히 바라보는데 옆에서 어떤 여자애가 며칠전
여기를 그렇게 본 사람이 또 있었다고 말하면서 영화가 끝납니다.
분석할씬의내용
세워진 봉고차를 뒤로하고 광활한 논 한가운데를 걸어가고 있는 두만.
길게 늘어선 가을 햇살, 바람에 출렁이는 벼들...박보희 시체가 나왔던 (첫장면의) 바로 그 논.
오랜 세월에도 변한게 없는 논 길들....
여러 생각들이 교차 하는 듯, 터벅터벅 논 길을 걸어가던 두만.
문득 처음 시체가 나왔던 농수로 배수관 앞까지 다다른다.
자기도 모르게 배수관 구멍 속을 가만히 들여다 보는 두만.
화창한 바깥 햇살과는 상관없이 시커멓고 어두컴컴한 배수관 속...
그속을 통과하는 웅-하는 바람 소리가 이상하게 들려온다.
두만의 얼굴을 향해 시커먼 아가리를 벌린 배수관, 시체라도 불쑥 나올 것 같다.
기분이 섬칫한 듯 고개를 휙- 빼내는 두만...
언제 왔는지 바로 뒤에 여자애 하나가 쪼그려 앉아 같이 구멍 속을 들여다보고 있다. 머쓱하여 여자 애를 바라보는 두만.
초등학교 4. 5학년쯤 되보이는 아이,
두 사람간의 대화를 분리병치로 보여줌으로써 “살인의 추억”의 영화 결말이 나지 않아다는것을 보여주면서 영화를 마무리함.
Shot 상세분석
<1번 쇼트:40초>
쇼트의 내용 :박두만<송강호> 봉고차 에서전화 통화를 하면서 우연히 옛날 사건 장소 지나가면서 운전 기사한테 잠 시 멈춰 보라고하는 내용
카메라와 피사체의 거리: 모델의 표정을 강조하고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미디엄샷으로촬영
카메라의 앵글: 앙각 앵글로서 송강 호를 돋보이게 함
인물의 위치: 운전기사가 프레임 측면에 있고 박두만도 측면에 있는 것 같지만 손을 박스위에 올리면서 시선이 중앙 쪽으로 몰리기 돼었고 박스로 인해서 소실점을 박두만 쪽으로 시선이 가게 함 인물들 사이의 거리 :박두만 과 운전기사의 거리는 대각 선 상으로 해서 적당한 거리를 주면서 운전기사는 이 쇼트에서는 중요하지 않다고 표현
화면의 깊이<심도>:전경<차안>쪽으로 피사계심도가 깊고 차 밝은 강한 콘트라스트 로인해 차안과 밖의 세상이 다르다고 표현
화면의 구도: 박스와 박두만이 대각선 구도에서 만나면서 입체감을 잘표현해냈고 송강호가 밖을 쳐다보면서 다음쇼트의 내용을 암시해줌
화면의 밀도: 차안이 박스로 가득차서 박두만 혼자만 앉을 수밖에 없게 해서 프레임을 꽉 차게 하면서 박두만이 바쁘게 살아 왔다는 것을 알 수 있음
지배적인 색상: 차안과 차밖에 명암의 2개가 대조적으로 대비됨
보조 콘트라스트: 처음에는 박두만 쪽으로 시선이 가지만 그 후는 차 밖의 배경쪽 으로 시선이 감
조명은 중간정도의 로우 키로 박두만의 심정과 표정을 잘 표현함
이 씬 전까지는 과거의 모습을 표현하기위해서 낮은 채도와 콘트라스트를 사용했지만
현대로 돌아오면서 정상적인 채도와 정상적인 콘트라스트 그대로 사용해서, 과거와 대비시킴
일단 카메라는 광원 렌즈로서 스테디캠을 이용한 롱테이크 공적인 거리 즉 박두만이 걸어가고 있 는 길을 팔로우 샷으로 카메라로 따라가면서 흔들리지 않게 스테디 캠을 사용해서 보여줌으로 더욱 긴장감과 지루할 수 있는 장면을 역동적으로 표현함
좀 낮은 하이 앵글로서 누군가가 멀리 서 지켜보고있다는생각도하게만들어줌. 프레임 자체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벼밭과 하늘의 중심에 박두만을 위치시킴
전경보다 중경에 초점을 맞춤으로 인해 벼보다 박두만이 두드러지게 보임
<3번 쇼트 12초>
풀 샷으로 개인적인 거리를 유지하면서 박두만을 프레임 중앙에 두면서 평각으로서 촬영을 하면서 더욱더 박두만의 표정에 주목을 시킴
피사체 보다 배경이 밝기 때문에 프레임 안에 여러 가지 조도및 광량이 들어옴으로써 피사체가 어두워지면서 박두만의 표정이 왠지 모르게 쓸쓸하게 보이게 표현함
이 쇼트도 광각렌즈를 사용하면서 넓은 들판을 끝없는 들판으로 표현하면서 레일을 이용해서 트럭촬영을 함로써 박두만이 걸어오는 장면을 역동적인 면과 거리의 공간적인 면을 표현함
<4번 쇼트 4초>
앵글은 은 하늘 보다는 들판길이 더 많이 프레임을 차지하기위해서 하향 촬영을 해서 들판길이 프레임 2/3을 차지함
스테디 캠을 사용해서 관객의 시선이 박두만의 시선과 동일시되면서 배수관 쪽으로 달리 인으로
배수관 쪽으로 초점이 맞추어짐
전체적으로 피사계 심도가 깊은 것으로 봐서는 광각렌즈를 사용해서 넓고 끝이 안 보이는 들판 길과 흐린 하늘을 보여주면서 아직 범죄는 결말은 나지 않을 것이라고 의미함
<5번 쇼트 8초>
프레임 전체적으로 배수관 을 중심으로 들판과 박두만이 명암차이로 인해서 갈려지면서 박두만 쪽으로 조명을 더 밝게 해서 시선이 들판 쪽이 아닌 전경에 있는 박두만 쪽으로 초점을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0.04.14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90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