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법론 현대우리말본 정리문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문법론 현대우리말본 정리문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닌 파생접사이므로 사동법이 수립된다.
(다) 업히다, 섞이다, 밀리다
-‘히,’‘이’,‘리’는 피동의 뜻을 지닌 파생접사이므로 피동법이 수립된다.
(라) 논밭, 돌다리, 봄비
-‘논+밭, 돌 +다리, 봄+비’는 어근+어근 이므로 합성어라고 할 수 있다.
(마) 앉은뱅이, 앉을깨, 꽃답다
-‘앉은’은 동사, ‘뱅이’, ‘깨’는 명사, 파생접사의 기능으로, 통사적 파생법이라고 할 수 있다. ‘꽃’은 명사, ‘-답-’은 형용사, 파생접사의 기능, 통사적 파생법이라고 할 수 있다.
(바) 본다, 보는가, 보아라, 보자
-서술형 종결어미로, 평서법, 의문문, 명령문, 청유문 이고, 범주는 문장종결법, 의향법, 마침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Q3. 우리말 말본 범주의 유형을 정리해 보라
언어활동의 환경에 따라
①말할이의 들을이에 대한 태도: 마침법(의향법), 들을이
높임법 ②말할이의 언어 내용에 대한 판단: 때매김법
통어상의 관계에 따라
자리(격), 주체높임법, 객체높임법, 하임법, 입음법
A.언어활동의 환경과 통어상의 관계에 따라 구분할 수 있고, 언어 활동에 따른 것은 말할이의 들을이에 대한 태도에 따른 마침법, 들을이 높임법이 있고, 말할이의 언어 내용에 대한 판단에 따른 때매김법이 있다. 통어상의 관계에 따라 자리(격), 주체높임법, 객체높임법, 하임법, 입음법이 있다.
Q4. 말본 범주의 실현 방법에는 굴곡의 방법, 파생의 방법, 통어적 방법, 음운적 방법이 있다. 이들 실현 방법의 차이점을 구분해 보라.
A.말본 범주는 굴곡의 방법으로 실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교착어인 우리말에 있어서는 굴곡가지에 의해 말본의 관념을 나타내는 일이 대부분이므로 굴곡 범주가 곧 말본 범주를 가리키는 것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그러나 말본 범주의 실현이 전적으로 굴곡의 방법에만 의존하는 것은 아니다. 하임법이나 입음법의 경우에는 파생의 방법이나 통어적 방법에 의해 실현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Q5. 우리말 마침법의 유형과 실현 방법을 정리해 보라.
A.마침법의 유형은 들을이에게 요구함이 없는 것과 들을이에게 요구함이 있는 것으로 나누어지고, 전자에는 서술법(평서법, 느낌법, 약속법)이 있고, 후자에는 대답의 요구에 따른 물음법과 행동의 요구에 따른 시킴법과 꾀임법이 있다. 마침법의 실현방법은 맺음씨끝에 의해 실현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동일한 형태의 맺음씨끝이 억양의 차이로써 말할이의 태도를 달리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마침법 보충 설명 (교재에서 옮김)
1)마침법의 유형
마침법은 월을 끝맺으면서 들을이에 대한 말항이의 태도를 나타내므로 달리 의향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마침법은 말할이의 들을이에 대한 태도에 따라 크게 둘로 나누어진다. 하나는 들을이에게 특별한 요구 없이 들을이에게 자기의 할 말을 해버리거나(평서법), 자기의 느낌을 나타내거나 (느낌법) 또는 들을이에게 무언가 약속을 하면서 (약속법)월을 끝맺는 방법이다. 이러한 범주를 서술법이라고 한다. 다른 하는 말할 리가 들을이에게 무언가 요구하면서 월을 끝맺는 방법이다. 이것은 다시 들을이에게 무언가 요구하면서 월을 끝맺는 방법이다. 이것은 다시 들을이에게 대답을 요구하는가, 행동을 요구하는가에 따라 두 개로 나눌 수 있다. 이때 대답을 요구 하는 경우를(물음법)이라 한다. 그리고 행동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들을이만의 행동을 요구하는 (시킴법)과 들을이에게 자기와 함께 행동하기를 요구 하는(꾀임법) 두 가지로 갈라진다.
마침법의 유형
(1)들을이에게 요구함이 없음
서술법(평서법, 느낌법, 약속법)
(2)들을이에게 요구함이 있음
①대답의 요구: 물음법
②행동의 요구: 들을이의 행동 요구- 시킴법
함께하기를 요구- 꾀임법
2)마침법의 실현방법
마침법은 말을 마치면서 동시에 말할이의 들을이에 대한 태도를 나타내는 말본 범주이다. 마침법은 맺음씨끝에 의해 실현되는 것(굴곡의 방법)이 일반적이지만 동일한 형태의 맺음씨끝이 억양의 차이로써 말할이의 태도를 달리 나타내는 경우(음운적 방법)도 있다.
<굴곡의 방법>- 굴곡의 방법으로 마침법이 실현되는 경우는 마침법의 하위 범주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①서술법- 서술법이란 들을이에게 특별히 요구하는 일이 없니 월을 끝맺는 방법이다. 여기에서 들을이에게 단순히 자기의 할 말을 해버리는 평서법, 자기의 느낌을 나타내는 느낌법, 들을이에게 무언가 약속하는 약속법이 있다.
*평서법의 맺음씨끝: -다 ,-네 ,-으이 ,-세 평서법의 씨끝은 풀이씨줄기에 바로 붙기도 하고 때매김이나 주체높임을 나타내는 안맺음씨끝을 앞세워 결합하기도 한다. 이 가운데 -세 는 반드시 잡음씨에 결합된다. 그리고 평서법 씨끝에는 이 밖에도 들을이 높임을 아울러 나타내는 -습니다, 예스러운 형태의 -오리다, -올시다, -오이다, -시오이다 가 있으며 억양에 따라 다른 범주를 나타내기도 한다. -어, -지, -으오 - 소 등이 있다.
*느낌법 맺음씨끝:-구나-군, -구려 , -아라 에 의해 느낌법이 실현된 월이다 이들 씨끝은 풀이씨 줄기에 바로 붙기도 하고 때매김법이나 주체높임을 나타내는 안맺음씨끝을 앞세워 결합하기도 한다. 느낌법 씨끝에는 이 밖에도 예스러운 형태 -도다와 역양에 따라 범주가 달라지는 -어, -지, -구려 그리고 -은걸,-는걸,-을걸 등이 있다.
*약속법 맺음씨끝: -으마, -올게, -음세 에 의해 약속법이 실현된 월이다. 약속법 씨끝은 그림씨, 잡음씨와의 결합에 제약이 있으며 때매김법, 주체높임법 씨끝과의 결합에도 제약이 있다. 약속법의 실현은 억양에 따라 범주가 달라지는 맺음씨끝-어, -지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
② 물음법: 말할이가 들을이에게 대답을 요구하는 말본 범주가 물음법이다. 물음법에 사용되느 씨끝으로는 -으냐, -니, -나,-은가,-을까-습니까- 습디까등이 있다. 물음법 씨끝도 줄기에 바로 붙기도 하고 때매김법이나 주체높임법의 안맺음씨끝을 앞세워 결합할수 있다. 다만 -으냐가 줄기에 바로 붙거나 때매김법 씨끝-었-, -겠-을 앞세울 때에는 반드시 -느냐, -더냐 로 실현되고 -은가도 이러한 경우 반드시 -는가,-던가로 실현된다. 물음법을 나타내는 씨
  • 가격3,000
  • 페이지수42페이지
  • 등록일2010.04.15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94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