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재교육과정][영재교육][영재성]영재의 의미 고찰과 영재교육과정의 특징, 영재교육과정의 대상자선발 및 영재교육과정의 방법, 영재교육과정의 모형, 영재교육과정의 운영 그리고 향후 영재교육과정의 방향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재교육과정][영재교육][영재성]영재의 의미 고찰과 영재교육과정의 특징, 영재교육과정의 대상자선발 및 영재교육과정의 방법, 영재교육과정의 모형, 영재교육과정의 운영 그리고 향후 영재교육과정의 방향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영재의 의미

Ⅲ. 영재교육과정의 특징

Ⅳ. 영재교육과정의 대상자선발
1. 영재교육대상자의 선발은 잠재력이 뛰어난 모든 아이들을 발굴하는데 초점을 둔다
2. 영재교육대상자의 선발은 그 대상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사용한다
3. 영재성의 판별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그 결과를 적절히 활용한다

Ⅴ. 영재교육과정의 방법
1. 속진 교육과 심화 교육
2. 창의적 문제 해결력
3. 사회성을 강조한 영재 교육

Ⅵ. 영재교육과정의 모형
1. Betts의 자발적 학습모형(Autonomous Learner Model: ALM)
1) 오리엔테이션(Orientation)
2) 자기개발(Individual development)
3) 심화학습활동(Enrichment activities)
4) 세미나(Seminars)
5) 심층적 연구(In-depth study)
2. Kaplan의 변별적 교육과정 모형(Differentiated Curriculum for the Gifted - The Grid)
1) 주제의(theme) 선택
2) 내용(content) 선택
3) 과정 또는 방법(process)의 선택
4) 산출물의(product) 선택

Ⅶ. 영재교육과정의 운영
1. 일반학급내 개별화 교육방법
2. 시간제 영재 학급(Pull-Out Programs)
3. 상설 영재 학급(Separate Classes)
4. 영재 학교(Special Schools)

Ⅷ. 향후 영재교육과정의 방향
1. 영재교육센터는 센터의 실정과 학생의 특성에 알맞게 영재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한다
2. 영재들의 개인적 잠재력을 최대한 계발할 수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제공한다
3. 영재들의 잠재적 창의성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수업을 개선․발전시키기 위하여 교사들의 연구를 적극적으로 지원한다
4. 능력이 뛰어난 영재들을 효과적으로 지도하여 심화 과정이 정상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와 교사 연수 계획을 수립, 시행한다
5. 학생들의 자유로운 학습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각종 클럽 활동과 소집단 활동을 격려하고 통신수업이 가능하도록 이를 지원한다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Kuechenmeister, 1986). 또 우수한 학생들이 수업 시간에 빠져나가고 특별 학급의 분위기는 더욱 도전적이고 열정적이라는 인식을 갖기 때문에 일반 교사들이 적대감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Cox & Daniel, 1984). 이로 인해 이동 학급 교사와 일반 학급 교사와의 의사소통의 단절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교사들간의 불화를 가져오고 영재 교육 프로그램을 피상적인 것으로 인식하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Van Tassel-Baska, 1987).
3. 상설 영재 학급(Separate Classes)
이 방법은 영재로 분류된 학생들은 전체 또는 대부분의 수업 시간에 분리된 특별 학급에서 수업을 받는 것이다(Gallagher, Weiss, Oglesby, & Thomas, 1983). 영재들은, 음악, 미술, 체육 시간에는 일반 학생들과 함께 수업을 받는 경우도 있지만, 일반 학생들과는 거의 접촉을 하지 않는다.
이 방법을 옹호하는 사람들은 이 방법이 사회적, 정서적으로 부정적인 효과를 미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Brody & Benbow, 1987). 또 일반 학급에서 영재 교육을 받을 때 나타날 수 있는 반복 수업이 없어지고(Feldhusen & Kroll, 1985), 같은 능력을 지닌 학생들과 관심있는 특별한 주제를 가지고 공부할 수 있으며, 이런 프로그램에 투입되지 못한 영재들에 비해 학교에 대해 더욱 긍정적인 태도를 지니고 성취도도 높다고 주장한다(Kulik, 1992; Kulik & Kulik, 1987, 1991). 그러나 이 방법의 약점은 영재들이 다른 학생들의 능력과 비교해서 우월감을 가질 수 있으며, 일반 학생들을 무시하고, 영재들이 전인적 면보다 능력적인 면을 먼저 생각하는 부정적 자아-개념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Van Tassel-Baska, 1987).
4. 영재 학교(Special Schools)
이 방법은 영재들을 별도의 학교에서 일반 학생들과 완전히 분리하여 교육시키는 것이다. 영재들은 더 빠른 학습 속도 속에서 더 많은 학습 내용을 배우게 된다(Cox, Daniel, & Boston, 1985). 한 가지 영역이나 그 이상의 영역(예술, 음악, 수학, 과학 등)에서 우수한 능력, 적성을 지닌 학생들이 선발된다. 영재들은 비슷한 능력을 지닌 학생들과 상호작용하고 함께 생활할 기회를 최대한 가질 수 있다. 반면, 매우 능력있는 교사를 유치하고, 건물시설을 설립, 유지하는데 많은 경비가 필요하고, 먼 지역에 있는 학생들이 와야 하는 문제 등으로 인해 다른 방법들처럼 보편적으로 실시되고 있지는 않다. 또 영재라고 선정된 학생들이 일반 학생들과 완전히 분리되어 교육을 받는 방법에 대한 철학적 근거도 확보해야 한다(Fox & Washington, 1985).
이 방법의 강점은 영재 학생들에게 모든 시간 동안 적절한 교육과정을 제공할 수 있으며(Cox, Daniel, & Boston, 1985), 이외에 상설 영재 학급이 갖는 여러 강점도 함께 지닐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의 약점은 수준 높은 교육과정을 이수하는데서 영재들이 많은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으며(Kline & Meckstroth, 1985), 동료와 학교가 주는 적절한 도움을 영재들이 받지 못할 가능성이 있으며, 오랜 시간 동안 일반 학생들과 격리되면서 엘리트 의식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Newland, 1976).
위에서 설명한 4가지 영재 교육 방법 중 학교가 어떤 방법을 취하는가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1) 교직원 인사, 영재 교육 비용과 같은 프로그램 제공 체제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2) 어떤 학생들에게 ‘영재’라는 딱지가 붙여지는지를 결정하고, 영재로 선정된 학생들이 동일한 연령의 같은 지적 능력을 지닌 학생들과 얼마나 많은 상호작용을 할 수 있게 하는지를 결정한다.
(3) 학업 성취와 정서적 발달에 영재 교육이 미치는 효과에 대한 논의는 학습 집단 편성과 관련해서 많이 이루어진다.
Ⅷ. 향후 영재교육과정의 방향
1. 영재교육센터는 센터의 실정과 학생의 특성에 알맞게 영재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한다
영재교육과정에서는 편제 및 시간 배당, 편성 등에서 일반적인 지침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침을 기초로 하여 해당 센터에서는 센터 및 학생의 실정과 특성을 고려하여 그에 알맞은 교육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편성할 수 있다.
2. 영재들의 개인적 잠재력을 최대한 계발할 수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제공한다
영재들은 탁월한 학습 능력과 함께 높은 수준의 과제 집착력과 흥미, 다양한 학습 스타일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영재들의 특성을 최대한 보장하고 계발하기 위하여 최대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들이 제공되고 시도되어야 한다.
또한, 교수-학습 방법들은 내용이나 자료나 공간 활용 등에 있어서 충분히 열려 있어서 학생들이 자신의 필요와 요구에 맞게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3. 영재들의 잠재적 창의성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수업을 개선발전시키기 위하여 교사들의 연구를 적극적으로 지원한다
영재들의 교육을 위해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이들을 가르치는 교사이다. 교사는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영재들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교육 여건을 조성할 수 있도록 교육 방법 면에서도 뛰어나야 한다. 이러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이 영재를 위한 수업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발전시킬 수 있도록 교사들의 수업 연구가 적극적으로 지원되어야 한다.
4. 능력이 뛰어난 영재들을 효과적으로 지도하여 심화 과정이 정상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와 교사 연수 계획을 수립, 시행한다
영재교육과정에서 개별화 교육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센터의 정규교사 수급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심화 학습 과정에서는 센터의 정규 교사 이외에도 외부의 다양한 학자와 인사들이 참여할 수 있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영재교육과정이 원활히 운영되기 위해서는 충분한 운영 요원 수급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센터에서는 영재 교육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발전시킬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연수나 워크
  • 가격6,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0.04.1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00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