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일기(일기쓰기)의 의미
Ⅲ. 일기(일기쓰기)의 형식
Ⅳ. 일기(일기쓰기)의 유형
1. 시로 쓰는 일기
2. 감상문으로 쓰는 일기
3. 주장하는 글로 쓰는 일기
4. 편지로 쓰는 일기
Ⅴ. 일기(일기쓰기)의 난제
1. 글쓰기나 국어 공부를 시키려고 하기 때문에
2. 특별한 일을 쓰라고 하기 때문에
3. 길게 쓰라고 강요하기 때문에
4. 잠자기 바로 전에 쓰기 때문에
5. 반성하는 일기를 쓰라고 하기 때문에
6. 사실만 쓰지 말고 생각이나 느낌을 많이 쓰라고 하기 때문에
7. 일기장에 있는 잡다한 틀 때문에
8. 일기 검사 때문에
9. 숙제로 쓰기 때문에
10. 대신 써 주기 때문에
11. 그림일기로 시작하기 때문에
12. 어른들이 일기 쓰는 모습을 보여 주지 않기 때문에
Ⅵ. 일기(일기쓰기)의 효과
1. 마음을 바르게, 생각을 넓게 해주며, 깊이 있는 생각을 하게 해준다
2.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조리 있게 나타낼 수가 있다
3. 관찰하는 힘을 길러 준다
4. 문장력을 길러 준다
Ⅶ. 일기(일기쓰기) 관련 제언
참고문헌
Ⅱ. 일기(일기쓰기)의 의미
Ⅲ. 일기(일기쓰기)의 형식
Ⅳ. 일기(일기쓰기)의 유형
1. 시로 쓰는 일기
2. 감상문으로 쓰는 일기
3. 주장하는 글로 쓰는 일기
4. 편지로 쓰는 일기
Ⅴ. 일기(일기쓰기)의 난제
1. 글쓰기나 국어 공부를 시키려고 하기 때문에
2. 특별한 일을 쓰라고 하기 때문에
3. 길게 쓰라고 강요하기 때문에
4. 잠자기 바로 전에 쓰기 때문에
5. 반성하는 일기를 쓰라고 하기 때문에
6. 사실만 쓰지 말고 생각이나 느낌을 많이 쓰라고 하기 때문에
7. 일기장에 있는 잡다한 틀 때문에
8. 일기 검사 때문에
9. 숙제로 쓰기 때문에
10. 대신 써 주기 때문에
11. 그림일기로 시작하기 때문에
12. 어른들이 일기 쓰는 모습을 보여 주지 않기 때문에
Ⅵ. 일기(일기쓰기)의 효과
1. 마음을 바르게, 생각을 넓게 해주며, 깊이 있는 생각을 하게 해준다
2.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조리 있게 나타낼 수가 있다
3. 관찰하는 힘을 길러 준다
4. 문장력을 길러 준다
Ⅶ. 일기(일기쓰기) 관련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모님들이 관심을 가지되 깊이 끼어들거나 대신 써 주는 일은 매우 어리석은 짓이다. 아무리 답답하더라도 아이 혼자 힘으로 쓰도록 지켜봐야 한다.
11. 그림일기로 시작하기 때문에
글자를 완전히 익혀야만 일기를 쓸 수 있다고 믿는 잘못된 생각 때문에 지금까지 일기는 당연하게 ‘그림일기’로 시작되었다. 하지만 아이들은 자기가 알고 있는 글자만으로도 일기를 충분히 쓸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그림일기는 매우 작은 직사각형의 칸으로 되어있어 아이들의 그림이 조잡해 질 수 밖에 없어 그림도 글도 제대로 될 수 없는 일기가 되고 있다. 그러므로 처음부터 글로 일기를 쓰게 하는 것이 좋다.
12. 어른들이 일기 쓰는 모습을 보여 주지 않기 때문에
가르치고자 하는 사람이 몸으로 보여 주는 것만이 가장 확실한 교육방법이다. 몸으로 보여 줄 때 거기에는 감동이 있다. 그 감동이 있어야 힘이 있고 설득력이 있는 것이다.
Ⅵ. 일기(일기쓰기)의 효과
1. 마음을 바르게, 생각을 넓게 해주며, 깊이 있는 생각을 하게 해준다
하루의 생활을 되돌아보고 자기의 행동을 생각하게 되므로 많은 반성과 결심을 하게 된다. 반성과 결심을 통해 사물이나 행동에 대해 깊이 생각하게 해준다.
2.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조리 있게 나타낼 수가 있다
자신은 다 알고 있는 일이라고 할지라도 일기를 쓰면서 조리 있게 정리할 수 있게 해준다.
3. 관찰하는 힘을 길러 준다
하루 일을 돌아보며 사건, 사물을 자세히 관찰하는 힘을 길러 학습에 많은 도움을 얻게 된다.
4. 문장력을 길러 준다
매일 조금씩 자기가 겪은 일이나 생각을 글로 쓰다 보면 자연스럽게 문장력이 길러진다.
Ⅶ. 일기(일기쓰기) 관련 제언
일기 쓰기를 글자를 익히고 어휘활용능력을 늘이며 착한 심성을 갖게 한다는 등의 이러한 것을 얻기 위한 공부라고 생각하지 않고 쓰게 하는 것이 가장 좋을 듯 하다. 이러한 것들은 일기를 쓰는 가운데 자연스럽게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런 것들이 일기쓰는 목적이 된다면 아동들이 일기를 크나큰 짐으로 여기는 이유가 될 것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일기쓰는 재미를 붙여서 주저없이 일기를 쓰고자하는 마음을 갖게 하는 것이다.
일기를 쓸 때 특별한 일을 골라 쓰라고 한다면 아동들은 상당히 일기쓰는 데 어려움을 느낄 것이고 심지어 거짓일기를 쓸지도 모른다. 따라서 특별한 일을 일기로 쓰라고 하기 전에 글감을 고르는 공부부터 자세히 그리고 확실히 가르쳐야 하지 않을까? 일상의 이야기에서 쓸거리를 골라 일기를 솔직하게 쓴다면 그것이 바로 좋은 일기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누구에게 꼭 해 주고 싶은 이야기, 남에게 숨기고 싶은 이야기, 속상하고 화나는 이야기 등은 일상에서 고를 수 있는 좋은 일기감을 될 수 있을 것이다.
교사가 흔히 하는 실수로 아동들에게 일기를 길게 쓰라고 말하는 경우가 많은 데 이는 잘못된 표현인 것 같다. 길게가 아니라 자세히 쓰라고 가르쳐야 할 것이다. 그 첫 번째 방법의 하나로 날씨를 쓸 때 단지 맑음, 흐림, 비 등 한마디로 표현하기보다는 변화무쌍한 날씨에 대한 자세한 기술이 필요하다. 비가 온 사실보다는 비가 오긴 왔는데 어떻게 왔는지 그때 기분이 어떠하였는지까지 쓴다면 더욱 자세한 일기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두 번째는 자기가 하고 싶은 말을 쓰되 마음 속에 있는 것을 글로 다 써야하며 남이 읽어서 궁금한 게 없도록 쓰게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기를 자세히 쓰려면 무엇보다 시간이 필요하다. 최소한 30분은 책상에 앉아서 일기를 쓰는데 투자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일기를 쓰는 시간의 문제가 있다. 보통 아이들은 일기를 잠자기 전에 후다닥 쓰는 경향이 많다. 그러면 아무리 잘 쓰려고 해도 오는 잠을
11. 그림일기로 시작하기 때문에
글자를 완전히 익혀야만 일기를 쓸 수 있다고 믿는 잘못된 생각 때문에 지금까지 일기는 당연하게 ‘그림일기’로 시작되었다. 하지만 아이들은 자기가 알고 있는 글자만으로도 일기를 충분히 쓸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그림일기는 매우 작은 직사각형의 칸으로 되어있어 아이들의 그림이 조잡해 질 수 밖에 없어 그림도 글도 제대로 될 수 없는 일기가 되고 있다. 그러므로 처음부터 글로 일기를 쓰게 하는 것이 좋다.
12. 어른들이 일기 쓰는 모습을 보여 주지 않기 때문에
가르치고자 하는 사람이 몸으로 보여 주는 것만이 가장 확실한 교육방법이다. 몸으로 보여 줄 때 거기에는 감동이 있다. 그 감동이 있어야 힘이 있고 설득력이 있는 것이다.
Ⅵ. 일기(일기쓰기)의 효과
1. 마음을 바르게, 생각을 넓게 해주며, 깊이 있는 생각을 하게 해준다
하루의 생활을 되돌아보고 자기의 행동을 생각하게 되므로 많은 반성과 결심을 하게 된다. 반성과 결심을 통해 사물이나 행동에 대해 깊이 생각하게 해준다.
2.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조리 있게 나타낼 수가 있다
자신은 다 알고 있는 일이라고 할지라도 일기를 쓰면서 조리 있게 정리할 수 있게 해준다.
3. 관찰하는 힘을 길러 준다
하루 일을 돌아보며 사건, 사물을 자세히 관찰하는 힘을 길러 학습에 많은 도움을 얻게 된다.
4. 문장력을 길러 준다
매일 조금씩 자기가 겪은 일이나 생각을 글로 쓰다 보면 자연스럽게 문장력이 길러진다.
Ⅶ. 일기(일기쓰기) 관련 제언
일기 쓰기를 글자를 익히고 어휘활용능력을 늘이며 착한 심성을 갖게 한다는 등의 이러한 것을 얻기 위한 공부라고 생각하지 않고 쓰게 하는 것이 가장 좋을 듯 하다. 이러한 것들은 일기를 쓰는 가운데 자연스럽게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런 것들이 일기쓰는 목적이 된다면 아동들이 일기를 크나큰 짐으로 여기는 이유가 될 것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일기쓰는 재미를 붙여서 주저없이 일기를 쓰고자하는 마음을 갖게 하는 것이다.
일기를 쓸 때 특별한 일을 골라 쓰라고 한다면 아동들은 상당히 일기쓰는 데 어려움을 느낄 것이고 심지어 거짓일기를 쓸지도 모른다. 따라서 특별한 일을 일기로 쓰라고 하기 전에 글감을 고르는 공부부터 자세히 그리고 확실히 가르쳐야 하지 않을까? 일상의 이야기에서 쓸거리를 골라 일기를 솔직하게 쓴다면 그것이 바로 좋은 일기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누구에게 꼭 해 주고 싶은 이야기, 남에게 숨기고 싶은 이야기, 속상하고 화나는 이야기 등은 일상에서 고를 수 있는 좋은 일기감을 될 수 있을 것이다.
교사가 흔히 하는 실수로 아동들에게 일기를 길게 쓰라고 말하는 경우가 많은 데 이는 잘못된 표현인 것 같다. 길게가 아니라 자세히 쓰라고 가르쳐야 할 것이다. 그 첫 번째 방법의 하나로 날씨를 쓸 때 단지 맑음, 흐림, 비 등 한마디로 표현하기보다는 변화무쌍한 날씨에 대한 자세한 기술이 필요하다. 비가 온 사실보다는 비가 오긴 왔는데 어떻게 왔는지 그때 기분이 어떠하였는지까지 쓴다면 더욱 자세한 일기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두 번째는 자기가 하고 싶은 말을 쓰되 마음 속에 있는 것을 글로 다 써야하며 남이 읽어서 궁금한 게 없도록 쓰게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기를 자세히 쓰려면 무엇보다 시간이 필요하다. 최소한 30분은 책상에 앉아서 일기를 쓰는데 투자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일기를 쓰는 시간의 문제가 있다. 보통 아이들은 일기를 잠자기 전에 후다닥 쓰는 경향이 많다. 그러면 아무리 잘 쓰려고 해도 오는 잠을
추천자료
페미니즘과문학(은희경)
절약에관한 생활지도계획
[과외]중학 국어 1-2학기 중간 3단원-생활국어 핵심정리
컴퓨터 통신언어의 매체언어적 성격 및 대화양식에 관한 고찰
[흥미유발]흥미유발의 방법, 흥미유발을 위한 수학학습(수학교육)과 영어학습(영어교육), 흥...
[모둠활동][모둠][소집단][모둠활동운영]모둠활동의 정의, 모둠활동의 편성, 모둠활동의 환경...
열린교육의 국어과 지도(국어교육), 열린교육의 영어과 지도(영어교육), 열린교육의 수학과 ...
집단따돌림(왕따, 집단괴롭힘) 의미, 집단따돌림(왕따, 집단괴롭힘) 종류, 집단따돌림(왕따, ...
열린교육의 의미, 열린교육의 성격, 열린교육의 전제, 열린교육과 개별화학습, 열린교육과 주...
[인성교육][교과지도][생활지도]인성교육의 개념, 인성교육의 목표, 인성교육의 중요성, 인성...
자녀를 위한 영어교육 활동
영유아 언어지도 접근법
초인지(상위인지, 메타인지)의 의미, 수학적 사고, 초인지(상위인지, 메타인지)와 초인지(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