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구조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컴퓨터구조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하드웨어

2.소프트웨어

3.시스템버스
-주소버스
-데이터버스
-제어버스

4.cpu가 데이터를 프린트 하는 과정

5.키보드로부터 데이터 읽어들이기

6.컴퓨터의 기본적 기능

7.프로그램수행 순서

8.cpu의 기본구조의 내용
-산술논리연산장치(ALU), 레지스터세트, 제어유니트

9.명령어사이클
-명령어 실행위한 cpu 내부 레지스터

본문내용

주는 명령들의 집합(시스템소프트웨어:OS(win
XP, Linux, Unix),(응용소프트웨어:워드프로세서,웹브
라우저,MS-excel)
*컴퓨터의 기본능력은 하드웨어에 의해 결정,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가 제공해주는 기능들을
이용해 최종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도와줌
*클락:3.0GHZ는 1초에 1/3.0-10만큼 다다다
수가 커질수록 클락수가 빨라짐
*COMPUTER
기본기능-프로그램코드를 정해진 순서대로 실행(동작), DATA읽기, 처리, 출력(저장)=read,
processing, store
*시스템버스-cpu와 시스템 내의 다른요소들 사이에 정보를 교환하는 통로, 정보와 data가 흘러다님
*주소버스-cpu가 외부로 발생하는 주소정보를 전송하는 신호 선들의 집합, cpu가 접속될 수 있는 최대 기억장치 용량 결정해줌, cpu가 발생하는 주소비트수=주소버스의 폭, 만약 그 폭이 16비트라면 최대 2¹=65,536개(즉64K)의 기억장소들의 주소를 지정해 줄 수 있음, 주기억장치의 절대주소는 변하지 않고 내가 짠코드는 상대주소, cpu가 메모리로 보낼 때 필요, 메모리에서 주소 받지 않음-단방향성
*데이터버스-cpu가 기억장치, 입출력장치와의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선들의 집합, 데이터 버스의 폭은 cpu가 한번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비트의 수 결정, 체이터 버스가 32비트인 시스템에서는 cpu가 기억장치로부터 한번에 32비트 읽어올수 있음, 읽기와 쓰기 모두 지원하므로 양방향성
*제어버스-cpu가 시스템 내의 각종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선들의 집합, 기본적인 제어신호들로는 기억장치 읽기/쓰기, 입출력 읽기/쓰기 신호, cpu가 주소입장으로 봤을땐 단방향, cpu가 상태.읽고쓸수 있음으로 양방향
*cpu가 특정기억장소로부터 데이터를 읽고자할 때 기억장치로 보내주어야 하는 정보는 주소와 읽기신호이고 기억장소에 데이터를 저장하려는 경우 주소와 데이터 및 쓰기신호를 보내줘야함, cpu와 기억장치 사이엔 그러한 정보들의 전송 통로인 주소버스, 데이터버스, 제어신호 선들이 접속되어야 함
*읽기동작
cpu는 데이터가 저장된 기억장소의 주소를 주소버스를 통해 보내며 읽기신호 활성화, 일정시간이 지난 후 기억장치로부터 읽혀진 데이터가 데이터버스에 실리고 cpu는 그 데이터를 버스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해 읽어 들임
*키보드로부터 데이터 읽어들이기
키보드 키가 눌려지면 그에 대응되는 8비트 데이터가 키보드 제어기로 전송되 데이터 레지스터에 저장, 동시 상태 레지스터 지정된비트(=In_RDY)가 세
트됨, cpu는 데이터입력을 원하는 시점에서 먼저 상태레지스터를 읽어 1로 세트되어있는지 확인, 세트되있다면 레지스터 내용을 cpu로 읽어오고 데이터 입력과정이 완료, 1로 세트되지 않았다면 cpu는 상태 레지스터이 내용을 읽고 검사하는 동작을 반복,
*cpu가 데이터를 프린트 하는 과정
cpu는 데이터를 프린터로 보내기 전 프린터 제어기 내 상태 레지스터 읽어 데이터 출력준비(Out_RDY)비트 검사, 1로 세트가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4.17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01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