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목차
회로법칙의 확인과 계측기의 이해
(사전보고서 결과보고서)
회로망 주파수 특성
(사전보고서 결과보고서)
선형 연산 증폭기 능동필터 회로
(사전보고서 결과보고서)
연산증폭기 기초
(사전보고서 결과보고서)
다이오드 특성
(사전보고서 결과보고서)
반파및 전파정류회로
(사전보고서 결과보고서)
BJT의 바이어스 회로
(사전보고서 결과 보고서)
(사전보고서 결과보고서)
회로망 주파수 특성
(사전보고서 결과보고서)
선형 연산 증폭기 능동필터 회로
(사전보고서 결과보고서)
연산증폭기 기초
(사전보고서 결과보고서)
다이오드 특성
(사전보고서 결과보고서)
반파및 전파정류회로
(사전보고서 결과보고서)
BJT의 바이어스 회로
(사전보고서 결과 보고서)
본문내용
<사전보고서>
제목 : 회로법칙의 확인과 계측기의 이해
학번 :
성명 :
조 :
제출일:
1. 실험이론
(1) 프로브
1) 프로브라는 것은 스코프와 측정하고자 하는 부분을 연결해주는 일종의 케이블이다. 프로브중 가장 일반적인 것인 1:1, 10:1 프로브인데 그중에 10:1 프로브를 사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 부하에 대해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 -> 오실로스코프의 경우 보통 입력저항이 1M옴이다. 물론 이정도도 높지만 이보다 더 높게 하기 위해 10:1을 사용하는데 10:1을 사용하면 10M옴이 된다.
- 고주파를 측정할때 -> 1:1 프로브를 사용하면 기껏 5~10Mhz정도 밖에 측정이 안된다. 반면 10:1을 사용하면 500Mhz이상 측정이 가능하다. 그래서 높은 주파수를 측정할 때는 반드시 10:1을 사용해야 한다.
- 입력전압이 높을때 -> 오실로 스코프는 보통 400V 입력까지는 견딜 수 있다. 하지만 이보다 높은 전압을 측정할 때는 10:1을 사용한다.
프로브중에는 1:1 인 것과 1:1, 10:1 선택이 가능한 것, 10:1 만 되는 것이 있는데 초보자에게는 1:1, 10:1 선택이 가능한 프로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2) 1:1인 PROBE는 중간에 별 장치나 부품없이 직접 연결되어 있다. 간혹 주파수 보상용으로 직렬로 수십옴 ~ 수백옴 정도가 연결된 경우도 있다. 그리고 10:1 의 경우 9M옴//10~15pF 로 구성된 분압용 저항 및 콘덴서가 내장되어 있다. 대부분 오실로 스코프의 입력임피던스가 1M옴//20~30pF 정도이고 probe의 케이블 정전용량이 100pF내외이기 때문에 이 두 정전용량의 합120~130pF의 1/9에 해당하는 13~15pF 정도의 콘덴서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저항값은 정확하게 9:1 이 되지만 용량값은 스코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기때문에 정확한 보상을 위해 probe 에 trimmer가 있어 이것을 조정하여 정확하게 9:1이 되게끔 만들어 준다.
(2) 중첩의 원리
1) 하나 이상의 독립적인 전원을 가진 선형회로에서, 전체 결과는 각각의 전원의 개별적인 결과를 하나로 합침으로써 얻어진다. 각각의 회로방정식(KVL or KVL)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a1x1 + a2x2 + a3x3 + + anxn = y : xi = circiut variables
y = net source value
2) 다수의 독립전원을 포함하는 초기조건이 0인 선형회로망에서 회로 내의 임의의 점의 전류 또는 임의의 두 점간의 전압은 개개의 전원이 개별적으로 작용할 때에 그 점을 흐르는 전류 또는 그 두 점간의 전압을 합한 것과 같다. 여기서 전원은 임의의 시간함수라도 무방하며 이것들을 개별적으로 작용시킨다하는 것은 다른 전원들은 죽인다는 것(전압전원은 단락하여 그 전압을 0으로 하고ㅛ 전류전원은 개방하여 그 전류를 0으로 하는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초기조건 = 0인 R - L 직렬회로에 전압전원 e(t)가 인가될 때의 전류를 i(t)라 하면
e = e1일때의 전류를 i1, e = e2 일때의 전류를 i2라 하면,
이 두식을 합하면,
이것을 식 (1)과 비교하면 e = e1 + e2일 때의 전류 i= i1+i2와 같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은 더 고차의 선형미분방정식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2. 실험방법
(1) 전원 저항의 측정
- 고정출력의 전압원을 가진 경우 필요한 전압을 얻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전압분배기를 사용할 수 있다.
1) Vs = 2.0V, R1 = 22Ω으로 결선한 후 Vo가 정확히 1.0V가 되도록 R2를 조정한다. 그 후 R2를 측정하여 이상으로부터 Rs를 계산한다. 마지막으로 분압기 자체를 전압원으로 사용할 때 이 분압기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계산값과 비교하라.
→
2) R1, R2 = 470Ω으로 바꾸고 Vo을 DMM으로 측정하라. 마찬가지로 두 저항이 2.2MΩ일 때 Vo을 측정하라.
→470Ω일 때 :
2.2MΩ일
제목 : 회로법칙의 확인과 계측기의 이해
학번 :
성명 :
조 :
제출일:
1. 실험이론
(1) 프로브
1) 프로브라는 것은 스코프와 측정하고자 하는 부분을 연결해주는 일종의 케이블이다. 프로브중 가장 일반적인 것인 1:1, 10:1 프로브인데 그중에 10:1 프로브를 사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 부하에 대해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 -> 오실로스코프의 경우 보통 입력저항이 1M옴이다. 물론 이정도도 높지만 이보다 더 높게 하기 위해 10:1을 사용하는데 10:1을 사용하면 10M옴이 된다.
- 고주파를 측정할때 -> 1:1 프로브를 사용하면 기껏 5~10Mhz정도 밖에 측정이 안된다. 반면 10:1을 사용하면 500Mhz이상 측정이 가능하다. 그래서 높은 주파수를 측정할 때는 반드시 10:1을 사용해야 한다.
- 입력전압이 높을때 -> 오실로 스코프는 보통 400V 입력까지는 견딜 수 있다. 하지만 이보다 높은 전압을 측정할 때는 10:1을 사용한다.
프로브중에는 1:1 인 것과 1:1, 10:1 선택이 가능한 것, 10:1 만 되는 것이 있는데 초보자에게는 1:1, 10:1 선택이 가능한 프로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2) 1:1인 PROBE는 중간에 별 장치나 부품없이 직접 연결되어 있다. 간혹 주파수 보상용으로 직렬로 수십옴 ~ 수백옴 정도가 연결된 경우도 있다. 그리고 10:1 의 경우 9M옴//10~15pF 로 구성된 분압용 저항 및 콘덴서가 내장되어 있다. 대부분 오실로 스코프의 입력임피던스가 1M옴//20~30pF 정도이고 probe의 케이블 정전용량이 100pF내외이기 때문에 이 두 정전용량의 합120~130pF의 1/9에 해당하는 13~15pF 정도의 콘덴서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저항값은 정확하게 9:1 이 되지만 용량값은 스코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기때문에 정확한 보상을 위해 probe 에 trimmer가 있어 이것을 조정하여 정확하게 9:1이 되게끔 만들어 준다.
(2) 중첩의 원리
1) 하나 이상의 독립적인 전원을 가진 선형회로에서, 전체 결과는 각각의 전원의 개별적인 결과를 하나로 합침으로써 얻어진다. 각각의 회로방정식(KVL or KVL)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a1x1 + a2x2 + a3x3 + + anxn = y : xi = circiut variables
y = net source value
2) 다수의 독립전원을 포함하는 초기조건이 0인 선형회로망에서 회로 내의 임의의 점의 전류 또는 임의의 두 점간의 전압은 개개의 전원이 개별적으로 작용할 때에 그 점을 흐르는 전류 또는 그 두 점간의 전압을 합한 것과 같다. 여기서 전원은 임의의 시간함수라도 무방하며 이것들을 개별적으로 작용시킨다하는 것은 다른 전원들은 죽인다는 것(전압전원은 단락하여 그 전압을 0으로 하고ㅛ 전류전원은 개방하여 그 전류를 0으로 하는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초기조건 = 0인 R - L 직렬회로에 전압전원 e(t)가 인가될 때의 전류를 i(t)라 하면
e = e1일때의 전류를 i1, e = e2 일때의 전류를 i2라 하면,
이 두식을 합하면,
이것을 식 (1)과 비교하면 e = e1 + e2일 때의 전류 i= i1+i2와 같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은 더 고차의 선형미분방정식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2. 실험방법
(1) 전원 저항의 측정
- 고정출력의 전압원을 가진 경우 필요한 전압을 얻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전압분배기를 사용할 수 있다.
1) Vs = 2.0V, R1 = 22Ω으로 결선한 후 Vo가 정확히 1.0V가 되도록 R2를 조정한다. 그 후 R2를 측정하여 이상으로부터 Rs를 계산한다. 마지막으로 분압기 자체를 전압원으로 사용할 때 이 분압기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계산값과 비교하라.
→
2) R1, R2 = 470Ω으로 바꾸고 Vo을 DMM으로 측정하라. 마찬가지로 두 저항이 2.2MΩ일 때 Vo을 측정하라.
→470Ω일 때 :
2.2MΩ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