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유기의 영양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유기의 영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유방의 해부학적 구조
(1) 유선엽과 도관계
(2) 유륜
(3) 유두

2. 유방의 발달과 성숙
(1) 유아기와 아동기
(2) 청소년기와 성인기
(3) 임신기와 수유기
(4) 모체의 영양불량이 유선 발육에 미치는 영양

3. 수유생리
(1) 유즙의 합성과 분비
(2) 유즙사출
(3) 모유생성량

4. 수유기 모체의 대사
(1) 에너지 대사
(2) 지방대사
(3) 단백질 대사
(4) 미량영양소 대사

5. 수유부의 영양필요량
(1) 에너지
(2) 단백질
(3) 비타민
(4) 무기질

6. 우리나라 수유부의 영양섭취 실태

7. 수유부의 식생활관리
(1) 모유생산에 추가로 필요한 영양필요량의 섭취
(2) 건강관련 생활습관

8. 모유수유의 실제
(1) 모유수유 비율의 변화
(2) 모유수유의 사회·문화적 결정요인
(3) 모유수유 실천의도신념과 통제신념
(4) 분만 전 유방관리
(5) 모유 수유의 개시
(6) 특수상황의 모유수유
(7) 유방관련 문제
(8) 수유부 및 영아의 질병과 모유수유
(9) 수유부의 직장 복귀
(10) 모유수유의 이득

본문내용

생아를 분만한 경우 : 두 아기의 요구량에 맞추기 위해 2,000mL에 가까운 모유 분비
[영아의 요구와 유즙생산의 균형]
아이가 젖을 빨지 않으면 유포에서 유즙이 제거되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는게 되는데 이때 유즙생성을 억제하는 단백질이 합성
[모체의 영양상태와 모유생성]
◎ 에너지량
수유기간 중 모체가 섭취하는 에너지량 : 모유생성에 크게 영향을 끼치지 않음
에너지 섭취량이 1,500kcal/일 미만인 경우 : 혈정 프롤락틴 수준이 떨어지고 모유 생성량이 15% 정도 감소
◎ 단백질
영양상태가 양호한 수유 여성 : 단백질 보충급여 효과가 나타나지 않음
영양불량의 수유부 : 모유생성량이 증가하는 효과
◎ 수분
수유여성은 충분한 양의 수분 섭취
수분 섭취량의 과부족이 극심하지 않은 경우는 모유 생성량에 영향을 주지 않음
4. 수유기 모체의 대사
(1) 에너지 대사
식품 섭취에 따른 효과도 낮추어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것으로 보임
[수유기간 주 모체의 체중감소]
아기를 분만 : 태아, 태반 및 양수가 차지하던 5~6kg이 감소
출산 첫 주 : 혈장과 채수분의 감소로 인해 2~3kg이 더 감소
수유여성 : 모유생산에 매일 500~650kcal의 에너지를 소모
->6개월 동안 대략 3~7kg 감소
이 후 : 체중감소 계속 진행
감소속도는 매월 0.2~0.4kg 정도로 낮아짐
[수유양식과 체중감소]
모유를 수유 여부는 분만 후 모체의 체중감소속도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음
경산부는 초산부보다 체중감소속도가 느린 경향
[수유여성의 다이어트]
과다체중인 여성 : 한 달에 2kg 정도의 체중감량은 수유에 부작용 없음
하루 1,500kcal 미만의 에너지량을 감소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2) 지방대사
* 유선조직의 지방 대사는 항진되는 반면에 지방조직에서는 저하
* 프롤락틴 : 유포의 지단백 지방분해효소(LPL)활성을 촉진해 식사로부터 섭취흡수되어 순환혈액에 나타난 지질 중 상당량을 유선조직이 직접 받아들이도록 함.
* 모체의 지방조직 : 지방조직 : LPL 활성을 저하시켜 지방산 유입을 억제
* 인슐린 민감도의 변화 : 유선조직 > 지방조직
* 수유여성의 혈장에서는 중성지방 농도는 내려가고 총콜레스테롤과 고밀도 지단백(HDL)-콜레스테롤 농도는 올라가는 경향
[모체의 지방 섭취와 모유지방]
채식주의자 모유 : 리놀레산(C18:2)과 리놀렌산(C18:3)을 다량 함유
지방섭취량이 극히 적은 경우 모유의 지방산은 모체의 저장 지방의 지방산 조성과 유사해짐
비채식주의자 모유 : palmitic acid, steraric acid의 함량 높음
모유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모체의 콜레스테롤 섭취량에 영향을 받지 않음
모유의 지방 함량은 모체의 지방섭취에 영향을 받음!!
(3) 단백질 대사
[모체의 단백질 섭취 부족과 모유단백질]
모유 단백질 함량 : 0.8~0.9mg
카제인 : 락트알부민의 함량 = 60 : 40
그 외 락토글로불린, 락토페린, 각종 성장인자 함유
모유 : 시스틴, 타우린 함량 높음
페닐알라닌 함량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4.19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06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