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단말기의정의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보통신단말기의정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정보통신단말기의정의
2.단말장치의 구성
3.정보통신 단말기의 기능
4.정보통신 단말장치의 분류
5.컴퓨터의 구성과 기능
6.정보통신 시스템에서 컴퓨터의역할

본문내용

불편한 점도 있으나, 다른 부분에서는 매우 만족스런운 제품이다.
▶ 터치 패드(Touch Pad)
터치패드는 마우스를 대신하는 포인팅 디바이스로 손가락을 작은 패드 위에서 움직이는 것으로 마우스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만든 것이다. 처음에는 마우스를 대체할 획기적인 장치인 것처럼 인식되었으나, 실제 사용 결과는 마우스의 편리함을 누르지는 못했다. 그러나 노트북에서는 기본적으로 채택되는 장치이다. 터치 패드를 통해 포인터만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휠 마우스의 기능, 클릭, 더불 클릭, 오른쪽 버튼 클릭 등의 기능이 구현될 정도로 활용성은 뛰어난 편이다.
이와 같은 동작들은 터치 패드 옆에 마련된 좌우측 버튼을 이용해도 된다. 터치 패드와는 다르게 노트북에서 많이 채택하는 것으로 \'J 마우스\'라는 것이 있다. 조이스틱과 같은 레버를 아주 작게 만들어 키보드의 \'J\'자와 \'H\'키 사이에 넣은 것으로 역시 노트북의 작은 공간을 최대로 활용하기 위해 개발된 장치이다.
③스캐너(scanner) : 종이 등에 인쇄된 그림이나 글씨를 컴퓨터에 입력하는 장치이다.
1-1. 평판 스캐너
평판 스케너로 불려지는 이 스케너는 인화물만 스캔 할 수 있는 종류입니다. 보통 A4 크기 정도를 한번에 스캔 할 수 있는데, 사진 뿐만이 아니라 책이나 인쇄물등 종이로 되어 있는 것들은 모두 가능하다. 가격은 저렴한 편이지만, 사진을 스캔하려면 반드시 인화를 해야 가능한 단점이 있다. 한번에 A4 크기정도를 스캔할 수 있기 때문에 3*5 size의 경우 5개, 4*6size의 경우는 4개정도를 한번에 스캔할 수 있다.
1-2. 평판 + 필름 스캐너
평판스캐너의 기능을 똑같이 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필름 홀더를 이용하여 필름자체를 스캔할 수 있는 종류이다. 메이커나 모델에 따라서 한번에 넣을 수 있는 필름의 컷수가 다르며, 최고 resolution도 차이가 있다. 어떤 모델은 일반 필름만 가능한 것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 중형 필름도 가능한 모델도 있다. 비슷한 성능이라면 평판 스캐너 보다 조금 비싸다.
1-3. 필름 전용 스캐너
평판 스캐너나 평판+필름 스캐너와는 달리 인화물이나 인쇄물은 일체 스캔할 수 없고, 오직 필름만을 스캔할 수 있는 모델이다. 크기가 작지만, 성능은 뛰어나다. 스캔 속도도 빠르나 가격이 비싸다.
1-4. 드럼 스캐너
출판이나 대형 출력을 위해서 원판 필름을 스캔할때 많이 이용되는 스캐너이니다. 하지만, 개인이 구입하긴 어렵다. 필름 한장 스캔하는 비용도 매우 비싸며, 크기도 개인이 갖고 있기엔 크다. 보통은 큰 출판사나 대형 인쇄소 또는 전문 스캔 회사에서 한두대 갖추는 정도이다.
④모니터
1.모니터(Monitor)의 종류
16비트 컴퓨터인 IBM PC 이전의 8비트 컴퓨터들은 전용의 모니터 외에도 TV를 모니터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지기도 했는데 IBM PC에 들어서는 모노크롬의 전용 모니터가 주류로 정착되었다. 물론 높은 가격으로 인해 컬러 모니터의 보급이 늦었는데, 저해상도의 디지털 TTL 모니터인 CGA, EGA 모니터를 거쳐 아날로그 방식으로 고해상도와 자연색의 표현을 가능하게 한 VGA 모니터로 이어졌다. 이후 더 높은 해상도를 지원하는 그래픽 카드의 등장으로 근래의 모니터는 SVGA급으로 최소 1024X768 해상도를 구현하며 고급 모니터들은 1600X1200의 해상도 또는 그 이상까지도 구현한다.
1-1. CRT(Cathode Ray Tube)
CRT는 음극선관에 설치된 전자총에서 전자를 방출하여 형광체가 코팅되어있는 형광면을 자극해서 빛을 내어 색상을 표시한다. MAIN BOARD를 거친 아날로그 DATA는 CRT(Cathode Ray Tube)후면에 있는 3개의 전자총에 전달 된다. CRT는 모니터의 핵심적인 구성요소로 전자총 셰도우 마스크 자기 편향코일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국내에서의 컬러모니터의 보급은 VGA용 아날로그 모니터 시대를 건너 뛰어 바로 SVGA용의 모니터 시대로 넘어갔다. 1992년경부터 보급이 빨라졌는데 1996년경부터는 이전의 14”를 벗어나 15”, 17”가 주류를 이루었으며 근래에는 낮아진 가격 덕분으로 17” 및 19”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 CRT의 장점
1.표시 색상수가 많다 2.시야각 제한이 없다 3.잔상이 없다
4.동영상에 강하다 5.가격이 싸다
1-1-1. 평면 모니터
평면 모니터는 CRT 머니터 방식이지만 보통의 모니터들이 화면 표시면이 굴곡을 가지고 있는데 비해 완전한 평면에 가깝게 만든 모니터이다. 평면 모니터는 화면이 단순히 편평한 것만 아니라 세밀하고 색번짐이 적어 가독성 및 색감에서 보다 자연스러워진 것이다. 처음 출시되었을 때는 동급 크기의 제품에 비해 약 50% 가량이 비쌌었지만 근래에 와서는 대중적으로 채택될 만큼 저렴해져 CRT 모니터 시장의 주력 제품이 되었다.
대표적인 제품으로 삼성전자의 완전 평면 모니터 시리즈와 LG전자의 플래트론 초평면 모니터 시리즈가 있으며, 외산으로는 소니의 트리니트론,마쓰시다의 퓨어플랫 등이 있다. 17”에서 22”까지의 제품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으며 일반 모니터보다는 다소 비싸지만 도트 피치가 기본적으로 0.22mm ~0.20mm 등으로 낮고, 고급 제품이라는 기본 컨셉을 갖고 있어 다른 모니터의 기본 기능에서도 일반 모니터에 비해 좋은 사양을 가지고 있다.
1-2. LCD(Liquid Crystal Display)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니터란 디지털 멀티미디어 시대의 필수품으로 기존의 브라운관이 갖고있던 큰 부피와 고전력,인체에 유해한 전자파 문제를 해결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LCD모니터는 LCD 판넬을 이용하여 크기를 획기적으로 줄였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CRT모니터 소비전력의 25%정도만 소비하며, 장시간 사용해도 눈에 피로가 없어 사용자의 편의성 및 효율성에 더불어 인간 친화적이다. 노트북의 모니터와 동일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부분만 떼어 일반 모니터처럼 만든 제품으로 과거에도 있었으나 너무 높은 가격으로 인해 활성화되지 못하다가 1999년경부터 판매가 활성화되었다.
일반 모니터와는 달리 앞뒤 폭이 5cm 내외로
  • 가격3,000
  • 페이지수42페이지
  • 등록일2010.04.19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07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