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 험 결 과−
-오 차 율-
−실 험 목 적−
−기 본 이 론−
−요 약−
−결 론−
−고 찰, 오차의 원인 및 해 결 방 안−
-오 차 율-
−실 험 목 적−
−기 본 이 론−
−요 약−
−결 론−
−고 찰, 오차의 원인 및 해 결 방 안−
본문내용
론은 위의 실험결과표와 같은 값을 얻었으며 특별한 외부적인 요인이 없는 이상 0%의 오차가 나올 것이라 생각했지만 원했던 결과값을 얻지 못하고 거의 비슷하지만 결과값은 오차를 가졌다. 0%에 근접한 값을 얻었지만 그 또한 0이 아니면 의미가 없는 법. 그래서 본래의 값과 차이가 나는 이유가 어디서 발생했으며 그 이유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먼저 저항체를 살펴보자. 저항 위에 칠해져 있는 색으로 저항값을 판별하여 분류해 놓은 뒤 그 값과 맞는지에 대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DMM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하지만 오차율을 나타냈다. 그렇다는 의미는 무엇일까. 저항체도 내부저항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이다. 다시 말해 저항을 이용시 Color Code를 읽어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측정하여 내부저항까지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로 저항체 안에 존재하는 내부저항이 전체적인 오차를 발생하게 한 원인 중 하나이다. 모든 저항체에는 내부저항이 존재하지만 우리들이 강의시간이나 일반적으로 값을 구할 때 편하게 하기 위해서 또한 어느 값보다도 실험과정에 있어서 작은 값이므로 무시했다. 더 자세히 알아보자. 예를 들어 440이면 이것은 내부저항을 무시한 값이 되는 것이다. 그렇기에 우리들이 저항체 안에 있는 작은 값이지만 내부저항을 무시했다는 점이 오차의 원인이다. 또 다른 원인을 찾아보자. 한 저항체의 저항값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했던 DMM. 이것이 또 다른 오차의 원인이다. 모든 기기에는 회로가 있어 그곳에는 전압이 걸려 전류가 흐르는데 이 점을 보면 저항이 있다는 것을 쉽게 파악한다. 그렇다는 의미는 기기를 단순히 저항을 측정하는 기기로 인식하면 이번과 같은 결과값을 얻게 된다는 말이다. 정리해보면 저항이 기기에도 존재하기 때문에 값이 아무리 작더라도 무시하지 말고 내부저항의 값을 넣어 구해야 한다. 이러한 조건을 고려하지 않고 실험에 임했다는 점이 오차의 원인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오차를 없애는 방안은 없을까. 그 해결책으로는 DMM과 Power Supply의 내부저항들을 0으로 만들며 도선에는 저항이 없애면 가능하다. 이 점은 우리들이 현 세계에서는 만들지 못하기에 이를 이상적인 실험과정이라 부르고 싶다. 그렇다면 저항을 없앤다는 것이 왜 이상적인 실험과정일까. 모든 기기의 내부에는 회로가 있고 전류가 흐르며 전압이 주어져있다. 다시 말해 저항이 존재해야 기기가 기기의 역할을 해내고 만약 저항이 존재하지 못한다면 원하는 값을 입력하기는 커녕 전류가 무한정 흐르게 되어 이용가치가 없어지게 될 것이다. 그렇기에 쉽지 않은 과정이고 존재하지 못하기에 이상적인 실험과정인 것이다. 우리는 실험에 임할 때 오차를 줄이고 되도록 실험결과 값으로 0을 원한다. 그렇다면 전압이나 저항, 전류를 구하는 과정에 있어서 오차가 없는 저항과 임의의 저항이 존재하더라도 전압을 줄 때 기기가 저항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0%의 오차를 얻는 것은 시간문제일 것이다. 그렇기에 이상적이지만 이러한 과정을 밟는 것이 오차를 없애는 유일한 해결책이라 본다.
추천자료
건축 구조 실험(콘크리트 강도실험 결과보고)
[물리화학실험] 점성도 실험
기초 진동 실험[기계공학 응용실험]
[기계공학실험] 충격실험
[기계자동차공학실험] 인장실험
10장 컴퓨터 모의실험 (단조화운동) - 여러 가지 형태의 진동현상을 컴퓨터를 이용한 모의실...
[기초광학 실험] 볼록 렌즈 - 물체와 상의 관계 : 이번 실험에서는 기초렌즈 방정식과 상의 ...
[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
[부산대학교 기계공학응용실험] 제트 유동장 실험
[부산대학교 기계공학응용실험] 열전달 실험
[부산대학교 기계공학응용실험] 인장 실험
[부산대학교 기계공학응용실험] 스트레인 게이지 응용 실험
[부산대학교 기계공학응용실험] 기계시스템운동의 가시화 & 기초진동실험
[토질역학 실험]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동 국사봉 토질조사 보고서 - 토질역학 레포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