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IP란 무엇인가?
2. IP어드레스란 무엇인가?
3. IPv4란 무엇인가?
4. IPv6의 등장배경
5. IPv6란 무엇인가? IPv4가 문제의 해결책이 될수 있는가?
7. IPv6과 IPv4의 비교
8. IPv6의 동향과 도입현황
2. IP어드레스란 무엇인가?
3. IPv4란 무엇인가?
4. IPv6의 등장배경
5. IPv6란 무엇인가? IPv4가 문제의 해결책이 될수 있는가?
7. IPv6과 IPv4의 비교
8. IPv6의 동향과 도입현황
본문내용
정부 서비스의 개발을 2007년까지 추진할 계획이다.
3. IPv6 기반 디지털 홈 서비스 개발 보급
향후 활성화될 홈네트워크에 IPv6를 적용하여 IPv6 기반에서 가정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가정내의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 IPv4/IPv6 듀얼 서비스 기반 디지털 홈서비스를 통하여, 국민의 Life Style 변화를 유도하며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현한다.
4. IPv6 시범망 구축 및 인프라 확충
IPv6 에 대한 시범망 등을 구축하여 관련 인프라를 확충하는 작업이다.
유/무선 통합 IPv6 시범망의 구축을 통하여, IPv6관련 장비와 기술 및 서비스를 시험적으로 적용하여 검증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5. IPv6 주소자원 관리 및 IPv6 DNS 시범 서비스 도입
IPv6 주소 자원관리 및 IPv6 DNS를 시범적으로 도입하여 서비스 하는 것을 의미한다.
IPv6 주소자원의 체계적인 관리와 IPv6 DNS 의 시범적인 도입으로 인하여 향후 도래할 IPv6환경에서의 효율적인 주소 자원 관리와 DNS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6. 마이크로소프트의 움직임
마이크로소프트는 올해 출시될 차세대 윈도우 운용체제 ‘비스타’에서 IPv4와 IPv6를
병행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돼 IPv6전환을 크게 앞당길 전망이다.
3) 우리나라의 IPv6 도입현황
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2005년 6월 12일아태지역 인터넷주소관리기구인 APNIC를 통해 '슬래시20(/20)' 규모의 IPv6주소를 확보했다고 발표했다.
우리나라가 전 세계 3위, 아태지역 1위의 IPv6 주소 보유국이 된 것이다.
이 같은 규모는 세계적으로 볼 때 독일과 유럽연합(EU)에 이어 세번째로 많은 것이며, 아태지역에서는 1위인 규모다.
◇ IPv6기반 공공 서비스
IPv6 기반의 병원용 디지털 차트 시스템을 개발되어 이것으로 경희의료원은 링거 점검, 긴급 호출, 환자 의료정보 검색하고있다. IPv6와 전자태그(RFID)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차트 시스템은 기존의 종이차트를 완전 디지털화한 것으로 주문자처방전달시스템(OCS)이나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과도 연동된다.
VoIPv6는 보안성과 서비스품질(QoS)이 보장된 인터넷전화로 무한대 인터넷주소 자원을 통해 이용자 맞춤형의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국방부·부산기상청·대전시청 등 공공기관들이 주로 사용하고있다.
◇ IPv6기반 생활 서비스
IPv6용 홈게이트웨이를 기반으로 경기도 죽전 현대홈타운 120여가구는
유무선 VoIP 서비스와 IPv6 카메라 모니터링, IPv6망 인터넷접속 서비스 등을 제공받고 있다.
IPv6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일반 웹페이지를 통해 20Mbps급 고품질·초고속 영상을
전송할 수 있는 VOD시스템을 되었다. 또한 동일한 내용의 데이터를 둘 이상
다수 수신자에게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IPv6 멀티캐스트 영상 스트리밍 기술을 개발되어 ICU·GIST·KAIST 사이에 IPv6 멀티캐스트 테스트 베드를 구축되었다.
-참고문헌-
1. 인터넷 정보검색사 -리드미-
2. 네이버 백과사전
3. 日 정보통신 저널
4. 두루넷 케이블 망 사업을 위한 IP 수요 요구 전망 자료 - PAC 회의 자료 -
5. 수치로 본 IT2005 - 정보통신부 -
6. 데이콤 IPv6 홈페이지 - http://vsix.dacom.net -
7. IPv6 보급 촉진 계획안 - 정보통신부 -
8. 인터넷 주소 체계 IPv4의 IPv6전환에 따른 경제효과 - 한국전산원 -
9. 한국전산원 홈페이지 - http://www.ngix.ne.kr -
10. 전자신문 기사
3. IPv6 기반 디지털 홈 서비스 개발 보급
향후 활성화될 홈네트워크에 IPv6를 적용하여 IPv6 기반에서 가정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가정내의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 IPv4/IPv6 듀얼 서비스 기반 디지털 홈서비스를 통하여, 국민의 Life Style 변화를 유도하며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현한다.
4. IPv6 시범망 구축 및 인프라 확충
IPv6 에 대한 시범망 등을 구축하여 관련 인프라를 확충하는 작업이다.
유/무선 통합 IPv6 시범망의 구축을 통하여, IPv6관련 장비와 기술 및 서비스를 시험적으로 적용하여 검증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5. IPv6 주소자원 관리 및 IPv6 DNS 시범 서비스 도입
IPv6 주소 자원관리 및 IPv6 DNS를 시범적으로 도입하여 서비스 하는 것을 의미한다.
IPv6 주소자원의 체계적인 관리와 IPv6 DNS 의 시범적인 도입으로 인하여 향후 도래할 IPv6환경에서의 효율적인 주소 자원 관리와 DNS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6. 마이크로소프트의 움직임
마이크로소프트는 올해 출시될 차세대 윈도우 운용체제 ‘비스타’에서 IPv4와 IPv6를
병행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돼 IPv6전환을 크게 앞당길 전망이다.
3) 우리나라의 IPv6 도입현황
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2005년 6월 12일아태지역 인터넷주소관리기구인 APNIC를 통해 '슬래시20(/20)' 규모의 IPv6주소를 확보했다고 발표했다.
우리나라가 전 세계 3위, 아태지역 1위의 IPv6 주소 보유국이 된 것이다.
이 같은 규모는 세계적으로 볼 때 독일과 유럽연합(EU)에 이어 세번째로 많은 것이며, 아태지역에서는 1위인 규모다.
◇ IPv6기반 공공 서비스
IPv6 기반의 병원용 디지털 차트 시스템을 개발되어 이것으로 경희의료원은 링거 점검, 긴급 호출, 환자 의료정보 검색하고있다. IPv6와 전자태그(RFID)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차트 시스템은 기존의 종이차트를 완전 디지털화한 것으로 주문자처방전달시스템(OCS)이나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과도 연동된다.
VoIPv6는 보안성과 서비스품질(QoS)이 보장된 인터넷전화로 무한대 인터넷주소 자원을 통해 이용자 맞춤형의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국방부·부산기상청·대전시청 등 공공기관들이 주로 사용하고있다.
◇ IPv6기반 생활 서비스
IPv6용 홈게이트웨이를 기반으로 경기도 죽전 현대홈타운 120여가구는
유무선 VoIP 서비스와 IPv6 카메라 모니터링, IPv6망 인터넷접속 서비스 등을 제공받고 있다.
IPv6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일반 웹페이지를 통해 20Mbps급 고품질·초고속 영상을
전송할 수 있는 VOD시스템을 되었다. 또한 동일한 내용의 데이터를 둘 이상
다수 수신자에게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IPv6 멀티캐스트 영상 스트리밍 기술을 개발되어 ICU·GIST·KAIST 사이에 IPv6 멀티캐스트 테스트 베드를 구축되었다.
-참고문헌-
1. 인터넷 정보검색사 -리드미-
2. 네이버 백과사전
3. 日 정보통신 저널
4. 두루넷 케이블 망 사업을 위한 IP 수요 요구 전망 자료 - PAC 회의 자료 -
5. 수치로 본 IT2005 - 정보통신부 -
6. 데이콤 IPv6 홈페이지 - http://vsix.dacom.net -
7. IPv6 보급 촉진 계획안 - 정보통신부 -
8. 인터넷 주소 체계 IPv4의 IPv6전환에 따른 경제효과 - 한국전산원 -
9. 한국전산원 홈페이지 - http://www.ngix.ne.kr -
10. 전자신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