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면서
"경의선 복원공사"의 의미와 문제제기, 본문의 내용전개 제시
본문
1. 경의선에 대해 : 경의선에 대한 배경 지식과, 운송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부분을 시사
1) 경의선이 중요한 이유 : 많이 인식되지 못하였던 경의선의 중요점을 언급.
2) 경의선 관련 프로젝트들 : 경의선과 관련하여 추진중인 사업들을 짚어 봄으로써 앞으로 타날 경의선 효과를 예측
2. 운송과 경의선(더불어 우리나라와 아시아 운송의 예측) :
운송과 관련된경 의선의 효과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우리나라와 아시아에 나타날 운송의 변화와 이점 예측
1) 유라시안 레어웨이 : 유라시안을 통과하는 레어웨이와 연결 됨으로써 나 타나는 효과
2) 북한의 광업 산업을 노려라 : 북한에 있는 다량의 광물자원을 이용함으 로써 나타나는 효과
3) 경의선의 역량(운송에 가져오는 효과) :
경의선이 운송에 가져오는 효과와 그 잠재된 역량을 살펴본다
맺으면서..
3. 경의선에 대한 생각과 전망하는 미래
자료를 조사하면서 느낀 생각과 조심스럽게 전망하여 보는 경의선으로부터의 밝은 운송의 미래
"경의선 복원공사"의 의미와 문제제기, 본문의 내용전개 제시
본문
1. 경의선에 대해 : 경의선에 대한 배경 지식과, 운송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부분을 시사
1) 경의선이 중요한 이유 : 많이 인식되지 못하였던 경의선의 중요점을 언급.
2) 경의선 관련 프로젝트들 : 경의선과 관련하여 추진중인 사업들을 짚어 봄으로써 앞으로 타날 경의선 효과를 예측
2. 운송과 경의선(더불어 우리나라와 아시아 운송의 예측) :
운송과 관련된경 의선의 효과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우리나라와 아시아에 나타날 운송의 변화와 이점 예측
1) 유라시안 레어웨이 : 유라시안을 통과하는 레어웨이와 연결 됨으로써 나 타나는 효과
2) 북한의 광업 산업을 노려라 : 북한에 있는 다량의 광물자원을 이용함으 로써 나타나는 효과
3) 경의선의 역량(운송에 가져오는 효과) :
경의선이 운송에 가져오는 효과와 그 잠재된 역량을 살펴본다
맺으면서..
3. 경의선에 대한 생각과 전망하는 미래
자료를 조사하면서 느낀 생각과 조심스럽게 전망하여 보는 경의선으로부터의 밝은 운송의 미래
본문내용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같은 기대효과에도 불구하고 물리적인 복원공사와 함께 남북 교통망의 제3국 연결을 위해 풀어야 할 숙제도 없지 않다.
구체적인 행정 절차와 장비규격 시설및 환경기준 통신망 표준화 등 남 북한뿐만 아니라 전세계 모든 국가에서 통용되는 글로벌 체제를 구축해야 하기 때문이다.
(경의선 복원시 남.북 운송 예상 수입)
(단위:만 달러)
┌───────┬─────┬───────┬───────┐
│ 물동량 │ 총계 │ 남한 수입 │ 북한 수입 │
├───────┼─────┼───────┼───────┤
│ 남.북한간 │ │ │ │
│ 컨테이너 │ 3,109 │ 1,117 │ 1,992 │
│ 일 반 │ 3,109 │ 1,117 │ 1,992 │
│ 소 계 │ 6,218 │ 2,234 │ 3,984 │
├───────┼─────┼───────┼───────┤
│ 한.일-중국간 │ 7,396 │ 3,700 │ 3,696 │
│ 한.일-유럽간 │11,236 │ 4,036 │ 7,200 │
├───────┼─────┼───────┼───────┤
│ 총 계 │24,850 │ 9,970 │ 14,880 │
└───────┴─────┴───────┴───────┘
3. 경의선에 대한 생각과 전망하는 운송의 미래
우리는 그동안 분단으로 남북간에 직접적인 교통로가 단절돼 우리의 지리적 잇점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했다. 그러나 경의선 연결로 대륙연계 철도망이 구축되면 우리는 자본과 기술력의 경제대국 일본, 무한한 자원과 성장잠재력을 지닌 중국, 경기 회복세가 완연한 러시아를 연결해주는 물류 중심국가로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갖게 된다.
더구나 11월 아시아, 태평양경제협력회의(APEC) 정상회의에서 김 대통령과 러시아 푸틴 대통령간에 경원선(서울-원산-청진-나진)과 시베리아 횡단철도를 연결키로 합의했습니다. 북방국가들과 더욱 활발하고 빈번한 교류가 가능해진 것이다.
사실 남북한간의 철도 연결은 오래전부터 국제사회의 과제였다. UN/ESCAP(국제 연합/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 이사회)에서는 한반도를 연결하여 중국 또는 러시아를 경유해 유럽을 잇는 '아시아 횡단철도 북부노선사업'을 입안, 추진해 왔다. 한반도 중심국가론이 단순히 구호가 아닌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한민족의 지향점임을 입증하는 셈이다. 그동안 불가능하게만 여겨졌던 남북한간의 철도연결이 '국민의 정부'의 일관되고 지속적인 대북정책에 의해 현실화된 것이다.
이같은 기대효과에도 불구하고 물리적인 복원공사와 함께 남북 교통망의 제3국 연결을 위해 풀어야 할 숙제도 없지 않다.
구체적인 행정 절차와 장비규격 시설및 환경기준 통신망 표준화 등 남 북한뿐만 아니라 전세계 모든 국가에서 통용되는 글로벌 체제를 구축해야 하기 때문이다.
(경의선 복원시 남.북 운송 예상 수입)
(단위:만 달러)
┌───────┬─────┬───────┬───────┐
│ 물동량 │ 총계 │ 남한 수입 │ 북한 수입 │
├───────┼─────┼───────┼───────┤
│ 남.북한간 │ │ │ │
│ 컨테이너 │ 3,109 │ 1,117 │ 1,992 │
│ 일 반 │ 3,109 │ 1,117 │ 1,992 │
│ 소 계 │ 6,218 │ 2,234 │ 3,984 │
├───────┼─────┼───────┼───────┤
│ 한.일-중국간 │ 7,396 │ 3,700 │ 3,696 │
│ 한.일-유럽간 │11,236 │ 4,036 │ 7,200 │
├───────┼─────┼───────┼───────┤
│ 총 계 │24,850 │ 9,970 │ 14,880 │
└───────┴─────┴───────┴───────┘
3. 경의선에 대한 생각과 전망하는 운송의 미래
우리는 그동안 분단으로 남북간에 직접적인 교통로가 단절돼 우리의 지리적 잇점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했다. 그러나 경의선 연결로 대륙연계 철도망이 구축되면 우리는 자본과 기술력의 경제대국 일본, 무한한 자원과 성장잠재력을 지닌 중국, 경기 회복세가 완연한 러시아를 연결해주는 물류 중심국가로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갖게 된다.
더구나 11월 아시아, 태평양경제협력회의(APEC) 정상회의에서 김 대통령과 러시아 푸틴 대통령간에 경원선(서울-원산-청진-나진)과 시베리아 횡단철도를 연결키로 합의했습니다. 북방국가들과 더욱 활발하고 빈번한 교류가 가능해진 것이다.
사실 남북한간의 철도 연결은 오래전부터 국제사회의 과제였다. UN/ESCAP(국제 연합/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 이사회)에서는 한반도를 연결하여 중국 또는 러시아를 경유해 유럽을 잇는 '아시아 횡단철도 북부노선사업'을 입안, 추진해 왔다. 한반도 중심국가론이 단순히 구호가 아닌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한민족의 지향점임을 입증하는 셈이다. 그동안 불가능하게만 여겨졌던 남북한간의 철도연결이 '국민의 정부'의 일관되고 지속적인 대북정책에 의해 현실화된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