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음악이나 그 음악을 좋아하는 다른 팬들도 존중하고 배려할 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단순히 자기와 같은 것을 좋아하지 않으면 적이라는 흑백논리를 버려야만 대중음악이 더 발전하고 사랑받을 수 있을 것 이라 생각합니다. 세 번째 내적문제로 지적됐던 예술성과 창작성의 부재는 정말 심각한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요즘 TV속에 나오는 대중음악이라 하는 것은 나이 어린 청소년들이 그룹을 만들어 댄스곡을 부르는 것이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해외를 비교해 보면 일본이나 미국같이 다양한 장르가 공존하며 사랑받는 일은 현재 우리나라 대중음악의 현실에선 절대 실현될 수 없는 불가능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원칙대로라면 가수들은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개성이나 음악성들을 담아서 앨범을 제작하면 나와 같은 소비자들은 그 가수들의 앨범 중 자신이 맘에 들고 관심가는 앨범을 선택해서 즐기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현재 대중음악의 현실에선 가수가 개개인의 음악성이나 개성을 배제한체 오로지 청소년들이 주를 이루는 대중음악 소비자들의 입맞을 맞춰서 음악이 생산되기 때문에 현재 대중음악에서는 음악의 예술성이나 창작성을 발견하기 쉽지 않습니다. 그 이유중 하나가 오직 이윤만을
추천자료
서태지의 대중음악내 영향력 분석
새로운 대중음악 CCM
[대중음악]비틀즈 (Beatles)
일본 대중 음악의 모든 것
대중음악 레포트
추이지앤(崔建) 록음악의 대중성과 음악적 성취 및 그에 대한 평가 완벽 고찰
추이지앤(崔建) 록음악의 대중성과 음악적 성취 및 그에 대한 자신의 평가[방송통신대]
추이지앤(崔建) 록음악의 대중성과 음악적 성취, 그에 대한 자신의 평가((중국공연예술))
(방송통신대)추이지앤(崔建) 록음악의 대중성과 음악적 성취 및 그에 대한 평가
[문화선교] 『대중음악』
[팝음악][흐름][미국][수입][대중가요][랩][민중가요계][신세대문화][팝][힙합]팝음악의 흐름...
대중음악의 탄생의 정의
대중음악인의 예술의 전당 사용 논쟁 (가수 인순이의 예술의 전당 오페라 극장)
(국제브랜드관리 C) 한국의 대중음악(K-Pop)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차별화하기 위해서 어떤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