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머리말: 너희가 사상사를 아느냐
2. “ 초창기 지성사”의 기원과 전개
①. 신사학과 지성사의 기원: 베커와 브린턴
②. 관념사의 도전과 한계: 러브조이
3. “전통 지성사”에서 관념의 사회로
①. 내제적 관념사에서 외재적 지성사로: 휴즈와 매뉴얼
②. 관념의 사회사: 게이와 단턴
4. 맺음말: “새로운 문화사”를 향하여?
5. 소감
2. “ 초창기 지성사”의 기원과 전개
①. 신사학과 지성사의 기원: 베커와 브린턴
②. 관념사의 도전과 한계: 러브조이
3. “전통 지성사”에서 관념의 사회로
①. 내제적 관념사에서 외재적 지성사로: 휴즈와 매뉴얼
②. 관념의 사회사: 게이와 단턴
4. 맺음말: “새로운 문화사”를 향하여?
5. 소감
본문내용
뒤에 숨어있는 “단위관념”을 추출하여 관찰한다. 단위 관념은 “공동경험의 특정한 측면에 대한 사상, 묵시적이거나 명백한 가정들이 여기에 포함한다. 러브조이는 사상사를 너무 관념적인 것에 치우쳤다. 즉 관념사가 노출 시킨 치명적인 약점은 ”덜 역사적“ 이라는 점이다. 또한 러브조이의 단위관념의 추적은 확실히 내적 지정사의 한 방법이라 할 수 있지만 다른 차원의 시공간에 거주하는 다양하고도 복잡한 사상들을 인위적으로 통합하려는 관념사의 과욕은 때로는 일차원적이며 시대착오적인 일반화로 귀결될 우려가 있다.
또한 보머는 관념사를 철학사와 문화사의 중간지대에 속하는 것으로 파악했다.
3. “전통 지성사”에서 관념의 사회로
①. 내제적 관념사에서 외재적 지성사로: 휴즈와 매뉴얼
사상을 시공간에서 유리된 진공상태에 자유 유영하는 유령으로 숭배하는 대신에 개인적 욕구와 사회적 환경의 관계망에 대입하여 재성찰을 요청하는 분위기에서 브린튼은 좀 더 풍부한 지성사의 저술로 역사가의 입지를 세우자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브린턴의 가르침은 휴즈와 매뉴얼로 이어지면서 지성사를 창출해 냈다.
전통 지성사가 관념사와 다른 부분은 위대한 철학가의 고전에서 반복적으로 표출되는 단위 관념의 생애 초점을 맞춘 관념사와는 달리, 보통 사람들의 세계관을 창출한다.
즉 연구주제를 흔희 알려진 고급/상층 지성사에서 저급/하층 지성사로 하향 이전 한 것이다. 다른 한 부분은 특정사상을 낳게 한 배경과 사회적 현실과 시대적 사고를 참고한 조건들과의 연관성에 관심을 기울인다.
예를 들자면 최상급 지식인들의 집단을 그 연구대상으로 하는 경우는 자료가 풍부한 근대사의 시기로 내려올수록 이류 또는 삼류의 지식인들 까지도 포함해 고찰 할 수있다.
어떠한 수준의 사람들까지 사상사의 대상으로 포함 시킬 것인가 하는 문제는 사상사적 문제의 성격과 범위 또는 자료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그리하여 지식인이라 한다면 비단 심오하고 독창적인 소수집단, 즉 전문적인 최고의 철학자, 과학자, 신착자 및 기타 학자들 뿐만 아니라 창의적인 문인들과 교양 있는 독자층까지도 포함해야 한다.
이러한 아래로부터의 역사학, 사회사에서 사회의 역사로 등과 같은 새로운 가치와 방법론을 앞장세운 사회사의 과감한 행보들은 지성사를 위협 하기도 하였다.
②. 관념의 사회사: 게이와 단턴
위의 내용과 같은 사회사의 거센 공격과 팽창 앞에 지성사가 생존할 묘수는 없을까?
막다른 골목에
또한 보머는 관념사를 철학사와 문화사의 중간지대에 속하는 것으로 파악했다.
3. “전통 지성사”에서 관념의 사회로
①. 내제적 관념사에서 외재적 지성사로: 휴즈와 매뉴얼
사상을 시공간에서 유리된 진공상태에 자유 유영하는 유령으로 숭배하는 대신에 개인적 욕구와 사회적 환경의 관계망에 대입하여 재성찰을 요청하는 분위기에서 브린튼은 좀 더 풍부한 지성사의 저술로 역사가의 입지를 세우자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브린턴의 가르침은 휴즈와 매뉴얼로 이어지면서 지성사를 창출해 냈다.
전통 지성사가 관념사와 다른 부분은 위대한 철학가의 고전에서 반복적으로 표출되는 단위 관념의 생애 초점을 맞춘 관념사와는 달리, 보통 사람들의 세계관을 창출한다.
즉 연구주제를 흔희 알려진 고급/상층 지성사에서 저급/하층 지성사로 하향 이전 한 것이다. 다른 한 부분은 특정사상을 낳게 한 배경과 사회적 현실과 시대적 사고를 참고한 조건들과의 연관성에 관심을 기울인다.
예를 들자면 최상급 지식인들의 집단을 그 연구대상으로 하는 경우는 자료가 풍부한 근대사의 시기로 내려올수록 이류 또는 삼류의 지식인들 까지도 포함해 고찰 할 수있다.
어떠한 수준의 사람들까지 사상사의 대상으로 포함 시킬 것인가 하는 문제는 사상사적 문제의 성격과 범위 또는 자료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그리하여 지식인이라 한다면 비단 심오하고 독창적인 소수집단, 즉 전문적인 최고의 철학자, 과학자, 신착자 및 기타 학자들 뿐만 아니라 창의적인 문인들과 교양 있는 독자층까지도 포함해야 한다.
이러한 아래로부터의 역사학, 사회사에서 사회의 역사로 등과 같은 새로운 가치와 방법론을 앞장세운 사회사의 과감한 행보들은 지성사를 위협 하기도 하였다.
②. 관념의 사회사: 게이와 단턴
위의 내용과 같은 사회사의 거센 공격과 팽창 앞에 지성사가 생존할 묘수는 없을까?
막다른 골목에
추천자료
개벽의 문학사적 위상
한국사에 있어서의 호족의 이해
대한민국의 모든 것
구성주의 관점의 문학 교육 - Literature Education of Constructivism Perspectives
시와 역사 - 역사속의 시 (문학과 역사, 사회의 관계)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공의 의의
흐르는 세계사속의 1930년대 한국 소설사
이상론(李箱論)
[염상섭][신간회운동][삼대][두 파산][염상섭 생애][염상섭 신간회운동][염상섭 작품 삼대][...
채만식의 풍자문학 연구―장편 태평천하를 중심으로 ―
[인간소외][인간소외현상][인간성][인간]인간소외(인간소외현상)의 의미, 인간소외(인간소외...
[인문과학] 이기영 <고향> 연구
이기영 <고향> 연구
염상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