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안티 문화에 대한 토론
2. 참고문헌
2.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후에는 조선일보에 대한 보다 주관적인 판단을 하지 못해온 것이 사실입니다. 안티문화가 다양성을 확보한다는 긍정적인 측면들이 얘기되고 있는데 진정한 의미의 다양성은 단지 정과 반만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어떤 측면에서는 다양성을 제약하는 의미로도 안티문화가 이해될 수 있을 것입니다.
*참석C: 이런 문제점은 모두 인터넷을 기반으로 둔 안티 문화이기 때문에 한계점이 생긴 것입니다. 한국의 안티 문화가 그다지 좋은 방향으로만 흘렀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욕설과 비방만 가득하고, 올바른 토론이나 비판없이 단순한 공격으로만 흘렀다고 생각합니다.한국의 안티 문화를 좀더 사회에 큰 역할이 되게 하기 위해서는 여러 네티즌의 끊임없는 자각과 자정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온라인 뿐 아니라 오프라인에서도 활발한 토론 문화에 적응을 하여야 되며, 현재 네티즌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20대의 의식 개선도 필요합니다.또한 여러 사이트에서 올라오는 정보의 정확성과 올바름 역시 필요하고, 거기에 대한 네티즌의 냉철한 비판력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참석B: 올바른 안티문화가 정착되기 위해서는 ‘자유에 따른 책임‘이 필요합니다. 즉 안티의 대상을 비난하기 위한 것이 주목적이 되어서는 안되고 진심어린 충고가 되어야 합니다. 또한 자신이 안티의 대상이 되었을 때에는 상대방의 충고를 받아들일 줄 아는 자세를 지녀야 합니다. 바람직한 안티문화가 정착된다면 현실의 억압적이고 권위적인 기제들을 거부함으로써 진정한 민주주의가 실현될 수 있는 토대를 만들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사회자: 지금까지 안티문화의 개념, 특징, 순기능과 역기능, 한계 등 여러 방면에 대해서 토론을 해보았습니다. 우리 주변에 이미 문화의 하나로 깊숙이 자리 잡고는 있지만 그 궁극적인 목적과는 약간은 모순된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는 안티문화에 대해 많은 생각을 가져보았고 나름대로의 대안 역시도 제시해 보았습니다. 개개인이 이성적인 판단으로 안티의 대상이나 논제에 대해 올바른 입장을 갖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2. 참고문헌
고교 독서 평설. 신문기자 및 칼럼
인터넷 뉴스 : 미스코리아에 대한 기사
http://news.empas.com/show.tsp/20040509n04154/
인터넷 뉴스 : 서병기의 이슈 문화비평 “문희준에 던지는 돌팔매”
http://news.empas.com/show.tsp/20041015n03916/?s=1057&e=1235
*참석C: 이런 문제점은 모두 인터넷을 기반으로 둔 안티 문화이기 때문에 한계점이 생긴 것입니다. 한국의 안티 문화가 그다지 좋은 방향으로만 흘렀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욕설과 비방만 가득하고, 올바른 토론이나 비판없이 단순한 공격으로만 흘렀다고 생각합니다.한국의 안티 문화를 좀더 사회에 큰 역할이 되게 하기 위해서는 여러 네티즌의 끊임없는 자각과 자정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온라인 뿐 아니라 오프라인에서도 활발한 토론 문화에 적응을 하여야 되며, 현재 네티즌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20대의 의식 개선도 필요합니다.또한 여러 사이트에서 올라오는 정보의 정확성과 올바름 역시 필요하고, 거기에 대한 네티즌의 냉철한 비판력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참석B: 올바른 안티문화가 정착되기 위해서는 ‘자유에 따른 책임‘이 필요합니다. 즉 안티의 대상을 비난하기 위한 것이 주목적이 되어서는 안되고 진심어린 충고가 되어야 합니다. 또한 자신이 안티의 대상이 되었을 때에는 상대방의 충고를 받아들일 줄 아는 자세를 지녀야 합니다. 바람직한 안티문화가 정착된다면 현실의 억압적이고 권위적인 기제들을 거부함으로써 진정한 민주주의가 실현될 수 있는 토대를 만들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사회자: 지금까지 안티문화의 개념, 특징, 순기능과 역기능, 한계 등 여러 방면에 대해서 토론을 해보았습니다. 우리 주변에 이미 문화의 하나로 깊숙이 자리 잡고는 있지만 그 궁극적인 목적과는 약간은 모순된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는 안티문화에 대해 많은 생각을 가져보았고 나름대로의 대안 역시도 제시해 보았습니다. 개개인이 이성적인 판단으로 안티의 대상이나 논제에 대해 올바른 입장을 갖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2. 참고문헌
고교 독서 평설. 신문기자 및 칼럼
인터넷 뉴스 : 미스코리아에 대한 기사
http://news.empas.com/show.tsp/20040509n04154/
인터넷 뉴스 : 서병기의 이슈 문화비평 “문희준에 던지는 돌팔매”
http://news.empas.com/show.tsp/20041015n03916/?s=1057&e=123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