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전통교류전을 다녀와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남북전통교류전을 다녀와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남북 쓰개의 비교

3. 남북그릇(도자기)의 비교

4. 남북 가구의 비교

5. 남북 악기의 비교

6. 맺음말

본문내용

였다. 단층장, 반닫이, 연상, 경대, 문갑, 소반, 책상들은 앉아 생활하는데 맞게 형태와 규격이 이루어졌으며 그것들의 크기에 있어도 조선옷의 보관, 조선 종이의 이용, 조선상차림의 관습에 어울리게 이루어져 있다. 키가 높은 반닫이와 같은 것은 윗부분을 앞으로 닫게 되어 있다. 이러한 사실은 가구를 비롯한 목제품들이 실용적이면서도 구조적이라는 것을 말해준다.
목가구의 특징은 생김새와 색깔 무늬장식이 소박하면서도 단정한 데 있다. 우리나라 공예품이 대개 그러하듯이 목가구에서도 형태와 장식을 무리하게 과정하거나 특별한 멋을 부리려 하지 않아 담박하다. 형태는 대부분 황금비례나 정방형으로 처리되어 단정하다.
옻칠이나 화각, 자개박이한 목제품인 경우에도 번잡하거나 형태나 구성을 무시하고 장식을 위조로한 것은 볼 수 없다. 우리나라 목가구의 특징은 목재의 사개가 다양란 수법으로 빈틈없이 맞물려 있고 금속장식물이 이음짬과 모서리들에 장식적 목적과 함께 실용적으로 든든하게 째여져 있으며 질이 서로 다른 각재와 판자들로 앞면, 옆면, 뒷면 그리고 골조를 구성하고 있는데서 생긴 것이다.
이처럼 가구는 실용적이면서도 담박하고 견고한 특성들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자기의 감정과 취미, 생활풍습에 맞게 목고예를 발전시켜온 결과로 이루어진 것들이다.
5. 남북 악기의 비교
북한은 아직도 우리 전통 국악을 많이 듣기 때문에 계속해서 발달을 이루어 개량 가야금, 개량 해금 등 개량악기들이 많이 나오고 있으며 남한은 그다지 국악의 발달이 이루어 지지 않고 전통을 고수하고 있는 편이다. 멋은 흥이자, 끼이며, 풍류라 할 수 있으며 남과 북은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04.26
  • 저작시기200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29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