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력과 조력발전(tidal electric power generation)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력과 조력발전(tidal electric power generation)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해양에너지 연구의 필요성
2. 조력발전
3. 조력발전의 해외 현황
4. 우리나라 조력발전 현황
5. 시화호 조력발전
6. 결론

본문내용

터빈 이용시), 한국전력공사가 제시한 가로림만의 조략발전 개발 규모는 48만kW정도이다.
가로림만의 경우는 조류발전도 검토되는데 약 7만kW~10만kW정도의 출력이 예상된다.
우리나라 서해안의 조력개발 잠재성
조력발전은 발전량 측면에서는 조석간만의 차가 크고 조성되는 조지면적이 넓을수록 유리하고, 건설비측면에서는 설지되는 댐의 길이가 짧을 수록 유리하다. 우리나라 서해안은 굴곡이 심한 리아스식 해안으로 크고 작은 만이 발달해 있고 조차가 커서 세계적인 조력발전 적지이며, 남해안의 울돌목 및 주면해역은 강한 조류로 인하여 조류발전의 적지이다.
우리나라 서해안 중부, 경기만 해역은 큰 조차 및 잘 발달된 해만으로 인해 천혜의 조력에너지 자원 보고로 알려져 있다.
시화호 조력발전
서론
국내에서 최초이자 세계 최대 규모의 조력발전소가 우리나라 경기도 안산시 시화방조제의 작은 가리섬에 발전시설용량 252kW규모로 건설 승인을 받았다. 이 조력발전소가 준공되면 세계 최대규모를 자랑하게 된다. 시화호 조력발전사업은 년간 약 5억5천만kWh의 무공해 전기를 만들 수 있어 년간 약 86만 배럴의 유류수입을 대체하는 효과(약 287억원)가 있으며, 이는 천안시의 1년간 전력사용을 충당할 수 있는 규모이다. 그리고 조력발전소 운영을 통해 년간 600억m3의 해수유통을 통해 시화호의 수질을 개선해 나갈 수 있고, 서해안 지역의 관광자원으로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대체 에너지인 무공해 해양에너지의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국제기후협약에서의 발언권 강화 등 우리나라의 국제 위상도 크게 높일 것으로 전망된다.
시화호 조력발전사업 추진 배경
시화지구 개발 사업은 대단위 간척사업에 의한 국토확장으로 대규모 공업단지, 도시개발, 농업용지조성 등 복합적인 개발 사업을 시행하여 고부가가치성 산업육성으로 2000년대 선진조국의 건설과 함께 국제사회의 교역증진 및 경제발전을 비약시키는 산업기지로서의 개발에 목적이 있으며, 또한 단기적으로 해외유휴장비의 활용과 국내 경기활성화 및 신 건설기술을 증진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계획하게 되었다(시화지구 개발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1986.4). 이와 같이 시화지구 개발 사업은 해외건설 철수업체를 지원하는 것을 시작으로 대단위 국토확장을 통한 고용증대와 경기진작을 선도하고 수도권 인구 및 산업의 분산이라는 복합적인 목적으로 사업을 시작하게 되었다. <표 2.2.1>에서 보듯이 시화 방조제는 총 연장이 12.6km로 여기서 대규모의 간척지 5,325만평(이중 1,329만평은 시화호)을 확보하고 확보된 토지엣 2단계로 나누어 공단, 도시, 농지 등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1단계 사업비는 2조 2.240억원으로 이중 방조제 건설 총비용은 6,220억원(건설비 2,700억원, 어업권을 포함한 보상비 2,974억원 등)이다. 그러나, 1994년 2월에 공업단지, 신도시, 농지 확보 및 이에 따른 용수공급을 위해 경기도 안산시, 시흥시, 화성시 지역을 연결하는 시화방조제 공사가 완료된 후, 시화만으로의 유통이 차단되고 인근 지역으로부터 유입된 오염물질의 축적으로 인해 호수의 오염이 증가하여 시화호의 수질개선을 위한 종합적인 대책이 요구되어 왔다. 정부에서는 시화호를 살리기 위해 ‘시화호 종합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17가지 사업을 추진했다. 오염원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하수처리장 건설과 바닷물의 유입을 확대해 오염물을 희석시키는 작업 등이 대표적이다. 시화호 조력발전 건설 사업은 시화호 수질 개선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시화호의 운영방법을 담수호에서 해수호로 전환함으로써 수질악화를 방지하는 한편 서해안의 풍부한 조석간만의 차를 이용한 해양에너지 개발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다.
우리나라 서해안은 조력발전을 위한 입지가 탁월하지만 경제성 확보가 어렵다는 이유 등으로 그 동안 타당성 검토 수준에 그쳤다. 그러나 시화 조력발전소는 이미 축조가 완료되어 있는 시화방조제를 이용해 조력발전소를 건설하기 때문에, 방조제 건설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경제적 측면에서도 아주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구분
내용
방조제
길이
12.6km
물막이 공사
’94.1.24 완료
시설비
6,220억원
시화호
저수면적
43.93km2
유역면적
476.5km2
총저수용량
3억 3천만톤(유효저수량 1억 8천만톤)
년간유입량
3억 4천만톤
평균수심
3.2m
유입하천
반월천 등 6개소하천
1단계 사업
총면적
742만편(공단 498만평, 주거단지 244만평)
총사업비
1조 6,020억원
사업기간
1986~2004
2단계 사업
총면적
3254만평(멀티테크노 벨리 317만평 포함)
사업목적
정부의 ‘시화호 종합관리계획 세부시행계획’에 의거 시화호 조력발전소 건설을 통한 시화호의 수질 개선 및 대체 해양에너지 개발로 UN기후변화 협약에 따른 CO2 저감대책에 적극 대응함과 동시에 해양에너지 개발을 통한 안정적 전력공급과 시화호의 종합적인 개발에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사업효과
조력발전소 가동에 따른 해수교환율의 증대로 시화호내 수질개선효과 증대
홍수조절능력 증대로 시화호의 홍수에 대한 안정성 증대
해수교환에 따른 조력발전으로 무공해 대체에너지 개발(발전량 552.7GWh/년)
친환경 에너지 개발의 이념을 상징하는 장소의 제공
수변 레크리에이션 활동 거점 조성
서해안 관광벨트의 축으로서의 기능 제공
사업범위
공사위치
경기도 안산시 대부동 시화방조제 일원
공사기간
공사 착공일로부터 54개월
공사범위
시설용량 : 254MW
토목구조물
-수차구조물 B19.3m×H29.0m×L61.1m×10기
-수문구조물 B19.3m×H24.0m×L44.3m×8련
-연결구조물 B27.0m×H28.4m×L91.7
-가물막이 해측 959m, 호수측 713m
-부지조성 68,100m2
기전설비
-수차발전기 : 비양수단류식 벌브형
-수문설비 : B15.3m×H12.0×8련
-스톱로그 : 5조 3종
-크 레 인 : 4대
추진배경 및 경위
1994. 1
시화방조제 물막이공사 완료
1996
시화호 수질개선대책(환경부 및 정부관계 기관합동)
-해수순환을 통하여 수질을 개선하고오염 유입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32페이지
  • 등록일2010.04.26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30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