돔과 볼트의 서양건축사별 특징과 그 기술의 변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돔과 볼트의 서양건축사별 특징과 그 기술의 변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 일반적 고찰
1) 아치구조
2) 볼트구조
3) 돔구조

2. 본론
(1) 시대별 건축특징과 건축기술 변화
1) 고대
2) 로마
3) 비잔틴
4) 중세초기
5) 로마네스크
6) 고딕
7) 르네상스

3. 결론
(1) 현대의 돔구조 방식 및 시공방법
1) 수평리브가 부착된 돔
2) 돔형 지붕프레임
3) 플러돔용 조립식 패널
4) 대형 스팬돔
5) 돔구조와 그 시공법
6) 다목적 돔 구조 및 그 건조
7) 측지선적으로 강화된 벌집형 구조
8) 돔식지붕의 구축공법
9) 망상골격돔의 구축방법
10) 돔구조
11) 아치형 돔구조
12) 나선형 인장재를 연속적으로 사용하는 돔구조
13) 돔형 건축구조
14) P.S판에 의한 돔 시스템

본문내용

플라스틱글라스(45)를 설치한 대형단면 및 2단 U자형지지를 설치한다. 이 단면 사이에 폼스트립(53, 53a)을 설치한다. 또 상기 폼스트립에는 아스팔트를 침투시킨다. 그 후, 사이드패널을 설치한다. 이 구조는 지진이나 지면진동에 강한 구조이고 분해가능하며 이송도 간단한 돔형으로 각 부재를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공장제작을 고능률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14). PS판에 의한 돔시스템
* 목적 : 돔건축물 구조에 관한 것으로 PC판과 최저지지와 건축물로 건축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 구성 : 이 돔의 돔구조(10)는 자체 지지하는 프레임이 없는 건축구조로 다수의 1개구조 콘크리트패널(12)을 원형 배치한 텐션링(22)에 설치하여 구성한다. 각 콘크리트패널(12)은 종방향리브(24)와 횡방향리브 (26)를 가지며 모두 가늘고 긴 3각형으로 된 3단패널로 구성되고 최하단AED³I(16)의 길이는 17.5m, 중단패널(18)의 길이는 12m, 최상단패널패널(20)의 길이는 12m, 정상에는 반경 3m의 원으로 구성한다. 상기 패널(16) 수평면에 형성하는 각도는 40~50°로 하고, 그리고 상기 돔(10)의 길이는 13.5m로 한다. 상기 텐션링(22)의 단면은 U자형의 광폭 통형상으로 이 텐션링(22)에 상기 패널(16)을 설치하고 다음에 패널(18, 20)을 배치한다. 상기 패널(12, 12) 접합 면에 바(42)를 배치하고 양 패널 사이에 생기는 U자형 공간(36)에 그라우트를 주입한다. 또한, 상기 패널(16, 18) 접합부도 마찬가지로 그라우트 주입한다. 그리고, 돔 중앙천정부에 환기하우징을 설치하고 돔의 환기를 콘트롤시킨다. 역시, 패널 두께는 1~2inch로 하고 이 돔 패널상에 마스틱재료(70), 클립(74)을 끼워 발포절연재(72)를 배치하고 그 위에 내천후시트를 부설한다.
용어정리
Abutmenet(부축벽)
아치나 볼트의 추력을 받게끔 놓여진 조적조, 건물에 있어서 버트레스로 작용하는 부분.
Aisle(아일)
교회의 한 부분으로써 네이브, 콰이어 혹은 트란셉트에 평행하며, 피어나 기둥에 의해 이것들로부터 분리된다.
Apse(앱스)
주로 챈슬이나 채플에 부착된 반원형, 혹은 다각형의 볼트형 단부
Arcade(아케이드)
피어나 기둥으로 지지되는 아치의 열
Arch(아치)
개구부에 걸치는 곡선형 구조부재로서 일반벅으로 아랫방행의 압력을 옆으로 전달시키는 쐐기형 벽돌(홍예돌)로 구성된다.
Archivolt(아치볼트)
로마네스크 혹은 고딕의 아치에 있어 일련의 동심 모울딩 중의 하나
Basilica(바실리카)
로마건축에 있어서, 소송내용이 청위되는 큰 공공 홀
초기그리스도교 건축 및 그 이후의 건축에 있어서 네이브와 아일을 갖고 창문이 클리어스토리층 높이 위로 나있는 건물
Bay(베이)
건물 실내공간의 구조단위 구획, 로마네스크와 고딕교회에 있어서는, 아케이드의 횡격막아치와 피어가 건물을 구획한다.
Buttress(버트레스)
추가로 건물을 지지하기 위해 혹은 볼트나 아치의 추력을 받기 위해 벽에 덧붙여 지어진 조적조
Cell(셀)
그로인 볼트 혹은 리브 볼트의 구성부재
Chancel(챈슬)
주제단이 놓이는 교회의 동쪽 단부로 성직자와 콰이어를 위한 장소
Cjevet(쉐베)
콰이어,회랑 그리고 방사상 채플을 포함한 로마네스크 교회의 동쪽단부
Choir(콰이어)
교회에서 합창단이 앉는 부분으로 정상적으로 챈슬의 서측부, 큰 중세교회에서는 합창단이 챈슬이 교차부나 서측부 아래에 앉기도 하지만, 이용어는 종종 넓은 의미로 챈슬과 같은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Clerestory(클리어스토리)
아일위 지붕위로 돌출한, 커다란 내부공간에 있어 상부의 창문부분, 특히 바실리카 건물에 있어서 아케이드와 트리포리움 상부의 창문열을 말함
Cloister(클로이스터)
내정, 주로 측면에 천장이 덮힌 통로나 회랑을 갖는다.
Coffering(격자천장)
움푹패인 판(코퍼)으로 지붕이나 돔을 구성하는 기법
Corbel(내쌓기)
거대한 구조물에서 구조물에서 몇몇 부재를 바치는 지지부재로 사용하는 돌출 벽,또한 석재나 벽돌의 층으로써 각층들이 아래층보다 돌출할 때를 가리키기도 한다. 이러한 2가지 구조체는 최상부층에서 만나서 아치모양의 형태를 만들어 낸다.
Cruciflrm(십자가형태)
교차형식
Cupola(큐폴라)
원형 혹은 다각형의 주초위에 놓여 지붕이나 작은 찹의 상부를 마감하는 돔.
Diaphragm arch(횡격막 아치)
교회의 네이브를 가로지르고 조적조 박공을 받치는 가로지른 아치, 이 아치는 목조지붕을 몇 개의 부붑으로 나누며 화재가 번지는 것을 막기위해 쓰인 듯하다.
Dromos(드로모스)
벌집형 무덤으로 들어가는 통로
Drum(드럼)
돔을 받치는 원형 벽, 또한 2개이상의 석재로 된 주신을 이루는 원통형 석재중의 하나
Greek cross(그릭크로스)
4개의 팔부분이 같은 길이를 갖는 십자가형, 정십자형
Groin vault(그로인 볼트)
같은 형태의 2개의 터널볼트를 직각으로 교차시킴으로써 얻어지는 볼트
Latin cross(라틴그로스)
장십자형
Nave(네이브)
교회에서 주출입구와 콰이어 사이의 부분으로 피어나 기둥에 의해 아일과 분리됨
Niche(니치)
벽의 후퇴부로 주로 조각상이나 장식을 위한 것임
Norman(노르만식)
영국에서의 로마네스크 양식에 붙여진 이름
Pier(피어)
기둥과 구별되는 것으로서 견고한 석조지주
Pinnacle(첩탑)
주로 장식적인 작은 탑이지만, 고딕건축에서는 버트레스나 피어에 부가적 하중을 주는 역할을 한다
Pointed Arch(포인티드 아치)
두 곡선이 예각으로 만나는 아치
Porch(포치)
건물로 들어가는 지붕덮힌 입구, 신전의 전면과 같은 열주와 박공을 갖는 경우 포티코라고 부른다.
Rib(리브)
표면으로부터 되어있어며 비교적 가느다랗게 몰딩처리된 조적아치, 고딕건축에서 리브는 볼트의 뼈대를 형성했다
Rib vault(리브볼트)
Diagonal 아치로 된 리브의 골격, 이때 리브는 리브사이의 공간을 채우는 Cell을 지지한다
Ridge Beam(들보)
천막지붕의 꼭대기부분을 따라 이어지는 보
Rotunda(로툰다)
원형건물을 일
  • 가격3,000
  • 페이지수51페이지
  • 등록일2010.04.26
  • 저작시기200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31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