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비율을 이용한 기업의 도산예측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 127
  • 128
  • 129
  • 130
  • 131
  • 132
  • 133
  • 134
  • 135
  • 136
  • 137
  • 138
  • 139
  • 140
  • 141
  • 142
  • 143
  • 144
  • 145
  • 146
  • 147
  • 148
  • 149
  • 150
  • 151
  • 152
  • 15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재무비율을 이용한 기업의 도산예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1. 문제의 제기 및 연구의 목적 ‥‥‥‥‥‥‥‥‥‥‥‥‥1
2. 연구방법 및 범위‥‥‥‥‥‥‥‥‥‥‥‥‥‥‥‥‥‥3

Ⅱ. 재무제표와 재무비율분석의 이론적 고찰‥‥‥‥‥‥‥5
1. 재무제표의 이해와 기능 ‥‥‥‥‥‥‥‥‥‥‥‥‥‥‥6
가. 대차대조표 ‥‥‥‥‥‥‥‥‥‥‥‥‥‥‥‥‥‥‥6
나. 손익계산서 ‥‥‥‥‥‥‥‥‥‥‥‥‥‥‥‥‥‥‥7
다.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8
라. 결손금처리계산서 ‥‥‥‥‥‥‥‥‥‥‥‥‥‥‥‥9
마. 현금흐름표 ‥‥‥‥‥‥‥‥‥‥‥‥‥‥‥‥‥‥‥10
2. 재무제표의 분석 ‥‥‥‥‥‥‥‥‥‥‥‥‥‥‥‥‥‥11
가. 재무제표 분석의 의의와 한계‥‥‥‥‥‥‥‥‥‥‥11
나. 재무제표 분석 ‥‥‥‥‥‥‥‥‥‥‥‥‥‥‥‥‥12
3. 재무비율의 의의와 재무비율분석‥‥‥‥‥‥‥‥‥‥‥17
가. 재무비율의 의의‥‥‥‥‥‥‥‥‥‥‥‥‥‥‥‥‥17
나. 재무비율의 계산과 의의 ‥‥‥‥‥‥‥‥‥‥‥‥‥18
다. 재무비율의 종합적 평가방법 ‥‥‥‥‥‥‥‥‥‥‥20

Ⅲ. 재무제표를 이용한 실증분석 ‥‥‥‥‥‥‥‥‥‥‥‥44
1. 삼성중공업의 재무제표 분석‥‥‥‥‥‥‥‥‥‥‥‥‥44
2. 현대중공업의 재무제표 분석‥‥‥‥‥‥‥‥‥‥‥‥‥47
3. 삼성중공업의 추세분석 ‥‥‥‥‥‥‥‥‥‥‥‥‥‥‥49
4. 삼성중공업과 현대중공업의 경영분석 비율 ‥‥‥‥‥‥50
가. 수익성비율‥‥‥‥‥‥‥‥‥‥‥‥‥‥‥‥‥‥‥50
나. 안정성비율‥‥‥‥‥‥‥‥‥‥‥‥‥‥‥‥‥‥‥52
다. 활동성비율‥‥‥‥‥‥‥‥‥‥‥‥‥‥‥‥‥‥‥53
라. 성장성비율‥‥‥‥‥‥‥‥‥‥‥‥‥‥‥‥‥‥‥54
마. 수익성분석‥‥‥‥‥‥‥‥‥‥‥‥‥‥‥‥‥‥‥55
바. 차입금구조‥‥‥‥‥‥‥‥‥‥‥‥‥‥‥‥‥‥‥56
사. 웰지수법‥‥‥‥‥‥‥‥‥‥‥‥‥‥‥‥‥‥‥‥57
아. 트렌트지수법‥‥‥‥‥‥‥‥‥‥‥‥‥‥‥‥‥‥58
자. 알트만 Z-SCORE모형‥‥‥‥‥‥‥‥‥‥‥‥‥‥59
차. 한국은행의 판별모형 ‥‥‥‥‥‥‥‥‥‥‥‥‥‥60

Ⅳ. 기업도산예측의 문헌적 연구‥‥‥‥‥‥‥‥‥‥‥‥62
1. 기업도산의 정의‥‥‥‥‥‥‥‥‥‥‥‥‥‥‥‥‥‥62
2. 기업도산의 원인 및 과정‥‥‥‥‥‥‥‥‥‥‥‥‥‥65
가. 기업도산의 원인 ‥‥‥‥‥‥‥‥‥‥‥‥‥‥‥‥65
나. 기업도산의 과정 ‥‥‥‥‥‥‥‥‥‥‥‥‥‥‥‥77
3 .기업도산예측의 중요성‥‥‥‥‥‥‥‥‥‥‥‥‥‥‥79

Ⅴ. 기업도산예측의 선행연구와 제이론 ‥‥‥‥‥‥‥‥‥82
1 .단일변량분석에 의한 연구 ‥‥‥‥‥‥‥‥‥‥‥‥‥82
가. Beaver의 연구‥‥‥‥‥‥‥‥‥‥‥‥‥‥‥‥‥‥82
나. Deakin의 연구‥‥‥‥‥‥‥‥‥‥‥‥‥‥‥‥‥‥85
다. Zmijewski의 연구 ‥‥‥‥‥‥‥‥‥‥‥‥‥‥‥‥90
라. 중소기업은행의 연구‥‥‥‥‥‥‥‥‥‥‥‥‥‥‥91
2 .다변량분석에 의한 연구‥‥‥‥‥‥‥‥‥‥‥‥‥‥‥91
가. Altman의 연구 ‥‥‥‥‥‥‥‥‥‥‥‥‥‥‥‥‥91
나. Martin의 연구‥‥‥‥‥‥‥‥‥‥‥‥‥‥‥‥‥‥94
다. Ohlson의 연구‥‥‥‥‥‥‥‥‥‥‥‥‥‥‥‥‥‥94
라. 윤주석의 연구‥‥‥‥‥‥‥‥‥‥‥‥‥‥‥‥‥‥97
마. 이계원의 연구‥‥‥‥‥‥‥‥‥‥‥‥‥‥‥‥‥‥97

Ⅵ. 기업도산예측의 실증분석‥‥‥‥‥‥‥‥‥‥‥‥‥‥99
1. 분석자료의 선정‥‥‥‥‥‥‥‥‥‥‥‥‥‥‥‥‥‥‥99
가. 표본의 선정 ‥‥‥‥‥‥‥‥‥‥‥‥‥‥‥‥‥‥‥99
나. 변수의 선정 ‥‥‥‥‥‥‥‥‥‥‥‥‥‥‥‥‥‥101
다. 선정변수의 t-test와 Mann Whitney test 결과 ‥‥‥105
2. 예측모형의 설계와 실증분석 결과 ‥‥‥‥‥‥‥‥‥‥122
가. 부실예측모형의 추정결과 ‥‥‥‥‥‥‥‥‥‥‥‥‥122
나. 각 모형내에서 재벌더미 변수 ‥‥‥‥‥‥‥‥‥‥‥133
다. 일반 규모변수 ‥‥‥‥‥‥‥‥‥‥‥‥‥‥‥‥‥135

Ⅶ. 결 론‥‥‥‥‥‥‥‥‥‥‥‥‥‥‥‥‥‥‥‥139
1. 연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139
가. 연구결과의 요약 ‥‥‥‥‥‥‥‥‥‥‥‥‥‥‥‥139
나. 시사점‥‥‥‥‥‥‥‥‥‥‥‥‥‥‥‥‥‥‥‥‥141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과제 ‥‥‥‥‥‥‥‥‥‥‥‥‥‥142

참고문헌 ‥‥‥‥‥‥‥‥‥‥‥‥‥‥‥‥‥‥‥‥‥‥‥144

부 록 ‥‥‥‥‥‥‥‥‥‥‥‥‥‥‥‥‥‥‥‥‥‥‥‥148

본문내용

질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a. 주가수익비율
주가수익비율(price-earnings ratio : PER)은 주가를 주당순이익(earnings per share : EPS)으로 나눈 것으로 P/E비율이라고 한다. PER은 주가가 주당순이익의 몇 배인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기업의 주당순이익의 1원에 대한 질적인 가치 또는 시장에서의 평가를 의미한다.
주가수익비율 = 주가/주당순이익
일반적으로 PER은 성장성이 높거나 위험이 낮을수록 높아진다. 또한 회계처리방법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회계이익을 가능한 적게 계상하려는 보수적인 회계처리를 하는 기업의 PER이 높게 나타날 수 있다.
b. 토빈의 q비율
토빈의 q비율(Tobin\'s q ratio)은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기업의 시장가치에 대한 기업자산의 대체원가로 나눈 비율이다. q비율은 기업의 시장가치가 그 기업의 자산을 재취득하기 위해 지불하여야 하는 대체원가(replacement cost)보다 낮다면, 대체원가를 치루고 그 기업을 새로이 설립하기보다는 시장가치를 지불하고 인수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는 뜻이다. 따라서 투자할 기업을 물색할 때 어떤 회사 주식의 대체원가(대체원가로 평가된 1주당 주식가치)에 대한 시장가치(주가)의 비율이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이 비율을 q비율이라고 한다. q비율이란 토빈(James Tobin)교수가 1969년 “화폐금융론의 일반균형접근”이라는 논문에서 기업의 시장가치 평가기준으로 사용한 이후 증권시장 및 구미의 M&Atl장에서 주요한 투자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합병대상 기업은 q비율이 낮을수록(poor management), 합병기업은 q비율이 높을수록(better management)합병기업의 비정상수익률은 증대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q비율 = 기업의 시장가치/기업자산의 대체원가
일반적으로 q비율은 어떤 기업의 시장가치가 어느 정도 저평가되어 있는가를 의미한다.
즉, 어떤 회사의 q비울이 산업전체의 평균보다 낮다면 그 회사의 시장가치는 저평가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다른 기업에 의한 매수합병의 표적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Tobin\'s q비율 = 주식의 시장가치/주식의 대체원가
또는 기업가치의 시장가치/자산의 실물시장평가액
= 기업가치의 시장가치/기업자산의 시장가격
= 증권시장의 주가총액/현행대체원가
= 기업의 수익력/자본조달비용
c. 주가 대 장부가치비율
주가 대 장부가치비율(price to book-value ratio : PBR)은 주식가격을 주당 장부가치로 나눈 수치이다. 주식가격은 증권시장에서 평가된 가치이므로 주가 대 장부가치비율을 시장가치 대 장부가치비율이라고도 한다. 이는 장부상으로 본 소유쥬지분과 증권시장에서 평가되는 가치를 비교한 것이다. 높은 수익률을 내는 기업은 장부가격보다 비싼 가격으로 주가가 형성되기 때문에, 이 비율에 의해 기업의 수익성을 평가할 수 있다. 먼저 장부상에서 주당 소유주지분을 부기 위하여 대차대조표상의 자기자본(자본금과 유보이익을 합)을 발생주식수로 나눈다.
재무비율은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에 대해서 간단하면서도 이해하기 쉬운 여러 가지의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반면, 그 자체로서 한계점과 문제점을 갖고 있다. 장점으로는 재무제표에 의해서 측정되므로 계산이 간단하며 이해하기가 쉽다는 점과 자료수집에 따른 시간과 비용이 절약된다. 그리고 구체적이고 복잡한 기업분석을 하기 이전에 예비분석으로서 가치가있으며 재무분석의 기초단계에서 간단한 문제점을 미리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점 등으로 재무비율분석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반면에 비율분석의 결정적인 문제점과 한계점을 보면 다음과 같이 지적할 수 있다.
첫째, 재무분석의 근본목적은 기업이 앞으로의 의사결정을 하는데 도움을 받기 위한 것인데, 비율분석을 과거의 회계정보에 의존하고 있다. 시간에 따라 경제상황이 변하고, 생산구조가 달라지며, 경영기법들이 날로 발전하는 사회에서 과거자료를 기준으로 미래를 예측한다는 것은 많은 한계점이 있다. 의사결정에 중요한 것은 미래의 상태이지 과거의 상태가 아니다.
둘째, 비율분석은 재무제표를 중심으로 계산되어 평가되는데, 재무제표는 일정시점(회기말)과 한 회계기간을 기준으로 작성되므로 회기 동안의 계절적인 변화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셋째, 한 기업의 회계처리는 다른 기업의 회계처리와 다를 수 있다. 회계처리방법이 어느 기업에나 동일한 것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하에서는 똑같은 현상에 대해 여러 가지 다른 회계처리방법이 사용될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이렇게 서로 다른 회계처리방법이 적용되어 작성된 재무제표에서 얻은 재무비율들을 비교하는 것은 올바른 비교가 되지 못한다.
넷째, 합리적인 경영을 하는 같은 사업에 속하는 기업들 사이에도 그 경영방침이나 기업의 성격에 따라 재무비율에는 커다란 차이가 생긴다. 예를 들어 고급품을 취급하는 의류상은 신용거래가 많으며 저급품을 취급하는 곳은 현금거래가 많으므로, 두 기업간의 외상매출금의 회수기간을 비교하여 우열을 평가할 수 없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다섯째, 표준비율을 설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어떤 기업이 비율을 정확하게 계산하여 이것을 산업평균비율과 비교한다 하더라도 산엽평균비율이 그 기업의 특성에 맞는 최선의 비교기준이라고 단언할 수는 없다. 즉 표준이 되는 비율이 진정한 의미의 기준이 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단순히 한 산업에 속하는 여러 기업의 비율의 평균치가 될 수는 없다. 특정기업에 맞는 표준비율이 이론상으로는 있을 수 있으나, 실제로 그 비율의 객관적인 계산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비율분석의 평가기준에 대하여는 회의적일 수밖에 없다.
3. 재무비율의 종합적 평가방법
가. ROI 분석
듀퐁(Du Pont)사에서 개발되어 1930년대부터 사용되기 시작한 ROI기법은 기업의 목표를 투자수익률로 하여 이를 결정하는 재무요인을 체계적으로 관찰해서 문제가 발생되는 재무요인을 통제하는 방법이다.
ROI(Return On Investment)는 투자 수익률이라고 하며 경영성과를 종합적으로 측정하는데 이용되는 가장 대표적인 재무비율이다. 투자수익률은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153페이지
  • 등록일2010.04.27
  • 저작시기200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58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