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어에 상대되는 특정 지역의 방언형- 제주도방언을통해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표준어에 상대되는 특정 지역의 방언형- 제주도방언을통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제주 방언의 통사론적 특징
1) 제주 방언의 어미
2) 제주 방언의 격조사

2. 제주 방언의 어휘상의 특징
1) 지역 특수 어휘
2) 의미의 세부적인 차이가 드러나는 어휘
3) 지시대상은 다르지만 명칭이 통합된 어휘
4) 고어(古語)의 잔존
5) 한 어사(語詞)에 대한 여러 어형의 공시적 사용
6)‘ㅇ’의 접미를 통한 조어법
7) 몽고어와 일본어의 영향

3. 대화로 보는 제주 사투리

4. 일상생활에 쓰는 제주사투리들 (어휘 중심)

*기타문장

본문내용

1. 제주 방언의 통사론적 특징
1) 제주 방언의 어미
(1) 선어말 어미
①회상 : ‘-더-,-데-’, ‘-어-,-언-’, 등이 쓰인다.
말 잘 데다 (무슨 말 하더냐?)
밥 먹어냐? (밥 먹더냐?)
②추측 : ‘-ㅋ-’,‘-ㅈ-’ 등이 쓰인다.
오늘밤 비 오쿠가? (오늘밤 비 오겠습니까?)
비 오키여. (비가 오겠다)
③의도 : ‘-ㅋ-’,‘-ㅈ-’, ‘-ㄹ-’ 등이 쓰인다.
이거 먹쿠가? (이거 먹을까?)
오늘 내 주 (오늘 내가 하지요)
너 오널 뭐 라? (너 오늘 뭐할래?)
④진행 : ‘-암-’, ‘-엄-’, ‘-염-’ 등이 쓰인다.
그디서 궤기 잡암서. (거기서 고기 잡고 있어요)
가인 학교레 감서냐?(걔는 학교에 가고 있더냐?)
⑤완료 : ‘-앗/엇-’ 등이 쓰인다.
느도 밥 먹언디? (너도 밥 먹었니?)
⑥예정 : ‘-겠-’, ‘-커-’, ‘-쿠-’ 등이 쓰인다.
나도 가쿠다 (나도 가겠습니다)
‘서’체 종결어미
‘여’체 종결어미
‘라’체 종결어미
다, 궤(~게)
-어/ 라, -주, -은게
-다/저/여/라, -나/ 은다, -으녜
(2) 어말어미
(3) 연결어미
① 동시동작 및 진행
: \'-면, 면서\'에 대응되는 조건이나 진행의 의미기능을 보이는 \'-(으)민, -멍‘이 있다. \'-멍\'은 병렬이나 나열의 의미기능을 하기도 한다.
‘서’체 종결어미
‘여’체 종결어미
‘라’체 종결어미
-은고/ -은
-고/ -가, -으니/ -으냐
아이가 울멍 감쪄.(아이가 울면서 간다)
② 이유 : \'-(으)니\'에 대응되는 \'-난, -나네\'는 이유나 원인의 의미기능을 한다
오단 보난 노람 서라.(오다가 보니 놀고 있더라.)
어두구나네 못 가키어.(어두우니 못 가겠다.)
③ 목적 : \'-려고, -라고\'에 대응되는 \'-젠, -젱\', \'-레, -렝, -렌\'은 의도의 의미
기능을 보인다.
가고젱다.(가려고 한다)
④그 밖에 : \'-하고서, -하고 나서\'와 같은 의미 기능을 보이는 \'-그네, -그넹\'
이 있다.
: 제주방언의 독특한 형태인 \'-카푸뎅\'은 \'-할까보다\'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머어그네(넹) 그릅써.(먹고서 가시요)
거들랑 가라.(하거든 가라)
카푸뎅(할까보다고)
(4) 종결어미
① 평서형 종결어미
막암ㅅ쑤다(막습니다), 막암ㅅ쑤궤(막습니다)
막앗어(막았어), 첵이라(책이야), 주(밝지), 막암신게(막네)
다(따뜻하다), 막암ㅅ저(막는다), 첵이여(책이다), 아라(따뜻하더라), 막아시녜 (막았지)
② 의문형 종결어미
누게가 지금 질을 막암신고? (누가 지금 길을 막는가?)
가이가 지금 질을 막암신가? (그 애가 지금 길을 막는가?)
가이 누게 아덜고? (그 애 누구의 아들이니?)
가이 철수 아덜가? (그 애 철수 아들이니?)
누게가 지금 질을 막암시니? (누가 지금 길을 막니?)
‘서’체 종결어미
‘여’체 종결어미
‘라’체 종결어미
-읍서
-으라
가이가 지금 질을 막암시냐? (그 애가 지금 길을 막니?)
③ 명령형 종결어미
막읍서(막으십시오)
막으라(막아라)
‘서’체 종결어미
‘여’체 종결어미
‘라’체 종결어미
-읍주
-주
-게, -자
④ 청유형 종결어미
어서 글읍서 (어서 가시지요)
어서 막주 (어서 막세)
막게(막자), 막자(막자)
⑤ 감탄형 종결어미 : ‘-구나게’, ‘-저게’
드르에 봄이 왐구나게! (들에 봄이 오는구나!)
가이 지
  • 가격3,6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0.04.28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61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