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츠하이머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알츠하이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알츠하이머의 정의

2. 알츠하이머의 증상 및 임상과정

3. 알츠하이머의 원인

4. 알츠하이머의 치료방법

5. 환자의 안전과 관련된 대책

6. 문제행동에 대한 대응책

7. 결론

본문내용

가 무엇인지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 없는 상태를 말한다. 눈 자체의 기능의 이상은 없다 할지라도 뇌장애로 인해 노인이 본 물체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인식능력이나 거리감각이 변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장애는 안전상 문제가 되므로 주의하도록 한다.
① 노인이 잘 구별할 수 있도록 복도나 벽의 색은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될 수 있는 대로 복도의 색은 무색으로 하는 것이 시각적인 혼란을 방지할 수 있다.
② 화장실이나 목욕탕 등 자주 사용하는 문에는 구분할 수 있도록 밝은 색의 표시나 이해하기 쉬운 간단한 그림을 붙여 두도록 한다.
5) 후각장애의 대응
① 강도 높은 매연감지기를 부착시키고 자주 작동 점검을 하도록 한다. 노인은 연기 나는 것을 냄새 맡지 못하고, 알고 있다할지라도 위험하다고 하는 것을 이해하지 못한다.
② 냉장고에는 상하거나 오래된 식품 등은 두지 않는다.
6) 촉각장애의 대응
① 뜨거운 물은 40도 정도로 조정해 둔다
② 부엌의 수도꼭지가 온수나 냉수로 구분되어 있을 경우 뜨거운 물은 빨간색, 찬물은 파란색으로 구분해 놓는 것이 좋다.
③ 오븐이나 토스터, 다리미 등 전기기구는 “뜨겁다”, “만지지 말 것” 등 표시를 해두며 노인이 혼자 쓰지 못하도록 한다. 사용하지 않을 때에 는 프라그를 빼어 놓는다.
④ 가구나 벽 모서리에 부딪혀 상처나지 않도록 주의한다.
7) 미각장애의 대응
① 의치는 될 수 있는 대로 예비로 만들어 두도록 한다. 노인이 계속해서 의치를 뺄려고 한다면 입 안을 검사해 보고 의치가 잘 맞는지 확인 해 보도록 한다.
② 노인이 소금이나 설탕, 고춧가루 등 조미료를 필요 이상으로 사용하려고 하면 노인 손에 닿지 않는 곳에 두도록 한다. 소금, 설탕, 조미료 를 너무 많이 사용하면 위에 자극이 되어 건강상 문제가 생기게 된다.
③ 약장은 자물쇠를 잠궈 두도록 하며 치약, 향수, 로션, 샴푸, 소독용 알콜, 비누 등은 노인에게 먹을 수 있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자물쇠로 잠궈 둔다.
④ 냉장고를 함부로 열 경우에는 자물쇠로 채워 둔다.
⑤ 노인의 식도에 이물질이 막히는 경우가 있으므로 응급처치법을 습득해 두도록 한다.
8) 청각장애의 대응
① 집 안에서 스테레오나 텔레비젼을 동시에 켜 놓지 않도록 한다.
② 외부로부터의 소음에 주의하도록 한다. 필요한 경우 창문을 잠그도록 한다.
③ 노인이 보청기를 사용했을 경우 그 속에 건전지를 자주 살펴보도록 한다.
④ 사람이 많이 모였을 때 흥분하는 경우에는 집에 많은 손님을 초대하지 않도록 한다.
9) 차를 운전하는 경우
기억장애, 판단력장애, 지각장애 혹은 자극에 둔감한 장애를 가지고 있는 알츠하이머병 노인이 혼자 차를 운전한다는 것은 본인 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에 커다란 위험이 따르게 된다. 증상이 진행됨에 따라 노인의 운전기법은 저하되어 간다. 노인은 자신의 장애에 대해 자각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위험한 운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가족들은 노인의 운전능력에 대해 주의 깊게 평가해야만 한다.
대부분 알츠하이머병 노인은 매우 천천히 운전하되 결단력이 필요할 때에는 당황하게 되므로 주위의 가족이나 친구들이 위험하다고 느끼게 된다. 이런 환자들은 창옆의 거울 등을 보지 않으며 신호에 따르지 않고 정지해야 할 곳을 그냥 지나가 버리거나 길을 잊어버리기도 한다. “사고가 난 후에는 늦는다”는 점을 기억하고 운전을 하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운전해서는 안 된다고 노인을 설득시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운전을 하지 못하게 한다는 것은 노인의 자립, 자유, 주체성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 그러므로 이 문제는 간호자에게 죄악감, 걱정 등을 가져오게 되고 노인에게는 화, 부정, 슬픔 등을 갖게 한다. 설득한다는 것은 냉철한 이성과 확고한 신념이 필요하다. 가족이 안 될 경우에는 의사의 도움을 청하는 것이 좋다.
- 운전을 그만두게 하기 위한 설득방법
① 가족이나 친구, 의사가 팀이 되어 환자가 운전능력을 상실했다는 점을 간단히 설명해 준다. 예를 들면 “당신은 기억장애 때문에 안전하게 운전하실 수 없어요.”, “당신은 지금 치료하는 중이기 때문에 운전하시면 안 돼요.” 혹은 “의사선생님이 운전하시면 안 된다고 합니다”라고 얘기해 준다.
② 실지로 노인에게 운전하게 하여 자신이 안전하게 운전할 수 없게 되었다는 것을 자각케 한다.
③ 차를 이용하지 않고 걸어서 먼 곳을 가 볼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본다.
④ 교통수단으로 무료버스승차권을 이용하여 버스를 타 보든가, 택시 등을 이용해 보도록 한다. 그리고 항상 간호자가 같이 있도록 한다.
⑤ 자동차를 친구 집에 맡겨 환자의 눈에 보이지 않도록 한다.
⑥ 자동차 열쇠를 감춰 둔다.
⑦ 자동차 열쇠를 항상 가지고 다니는 습관이 있는 노인에게는 못 쓰는 차의 열쇠를 가지고 다니게 한다.
⑧ 자동차를 팔아버린다.
⑨ 주차시키려고 하는 차 옆에 노인이 혼자 서 있게 하지 않도록 한다.
7. 결론
우리 나라도 사회의 고령화, 핵가족화로 인해 어느새 치매노인의 문제는 우리들의 문제로 자리잡게 되었다. 그러나 우리들은 오래전부터 이를 노망, 망령이라 하면서 사회적으로 편견시 하여 왔으며 가정의 수치로 여겨 왔었다. 그러나 이것은 잘못된 편견이며 사회적으로 고쳐야만 하는 선입관일 것이다.
아마 노인 문제중 가장 중요한 것은 와상노인과 치매노인의 문제일 것이다. 이중에서도 치매노인 문제는 사회적 대책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못한 상태에서 가정에서 가족들의 힘으로 돌볼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더욱이 가족들은 치매에 대한지식도 부족하고 정보도 부족해서 환자를 인간다운 생활도 시켜보지 못한 채 마지막을 보내게 됨을 안타깝게 생각하고 있다.
또한 치매노인에게는 가정에서 불의의 사고가 생길 위험성이 많다. 알츠하이머병의 특이한 증상에 대해서 간호하는 가족이 먼저 바르게 이해하고 집안에서 각 방을 점검하고 환자에게 안전한 환경을 만들어주어야 하며 특히 알츠하이머병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특별히 위험한 행동에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알츠하이머병 노인을 간호한다는 것은 간호자의 인내, 창조력, 지식과 기술을 필요로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0.04.28
  • 저작시기2005.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62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