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개요 …………………………………………………………………………… 1
2. 실험목적 …………………………………………………………………… 1
Ⅱ. 본론
1. 건 ․ 습구 온도계 ………………………………………………………… 2
1.1 건 ․ 습구 온도계란? …………………………………………………… 2
1.2 습구 온도계의 원리 ……………………………………………………… 2
2. 습공기의 원리 ……………………………………………………………… 3
2.1 습공기란? …………………………………………………………………… 3
2.2 습공기의 구성 ……………………………………………………………… 3
3. 습공기선도 ………………………………………………………………… 6
3.1 습공기선도(Psychrometric Chart) …………………………………… 6
3.2 온도선의 구성 ……………………………………………………………… 7
3.3 습도선의 구성 ……………………………………………………………… 7
3.4 비체적과 엔탈피 …………………………………………………………… 7
3.5 현열비와 열수분비 ……………………………………………………… 8
3.6 습공기의 상태변화 ……………………………………………………… 8
4. 실험에 사용되는 기기 ……………………………………………………… 8
4.1 건 ․ 습구 온도계 ………………………………………………………… 9
4.2 사용법 ……………………………………………………………………… 9
5. 측정방법 및 순서 ……………………………………………………… 10
5.1 측정순서 ………………………………………………………………… 10
5.2 유의사항 ………………………………………………………………… 10
6. 측정시 주의사항 …………………………………………………………… 10
Ⅲ. 결론 및 고찰
1. 실험결과 …………………………………………………………………… 11
2. 결론 및 고찰 ……………………………………………………………… 11
2.1 날씨온도와 습도의 적정도 ……………………………………………… 11
2.2 실내 습도에 따른 대책 ………………………………………………… 12
※ 참고문헌
1. 개요 …………………………………………………………………………… 1
2. 실험목적 …………………………………………………………………… 1
Ⅱ. 본론
1. 건 ․ 습구 온도계 ………………………………………………………… 2
1.1 건 ․ 습구 온도계란? …………………………………………………… 2
1.2 습구 온도계의 원리 ……………………………………………………… 2
2. 습공기의 원리 ……………………………………………………………… 3
2.1 습공기란? …………………………………………………………………… 3
2.2 습공기의 구성 ……………………………………………………………… 3
3. 습공기선도 ………………………………………………………………… 6
3.1 습공기선도(Psychrometric Chart) …………………………………… 6
3.2 온도선의 구성 ……………………………………………………………… 7
3.3 습도선의 구성 ……………………………………………………………… 7
3.4 비체적과 엔탈피 …………………………………………………………… 7
3.5 현열비와 열수분비 ……………………………………………………… 8
3.6 습공기의 상태변화 ……………………………………………………… 8
4. 실험에 사용되는 기기 ……………………………………………………… 8
4.1 건 ․ 습구 온도계 ………………………………………………………… 9
4.2 사용법 ……………………………………………………………………… 9
5. 측정방법 및 순서 ……………………………………………………… 10
5.1 측정순서 ………………………………………………………………… 10
5.2 유의사항 ………………………………………………………………… 10
6. 측정시 주의사항 …………………………………………………………… 10
Ⅲ. 결론 및 고찰
1. 실험결과 …………………………………………………………………… 11
2. 결론 및 고찰 ……………………………………………………………… 11
2.1 날씨온도와 습도의 적정도 ……………………………………………… 11
2.2 실내 습도에 따른 대책 ………………………………………………… 12
※ 참고문헌
본문내용
와 열수분비
3.6 습공기의 상태변화
1 → 2 : 현열가열
1 → 3 : 현열냉각
1 → 4 : 가습
1 → 5 : 감습
1 → 6 : 가열가습
1 → 7 : 가열감습
1 → 8 : 냉각가습
1 → 9 : 냉각감습
그림2-6. 습공기의 상태변화
4. 측정에 사용되는 기구
4.1 건 습구온도계
건구온도계와 습구온도계를 조합시킨 것으로, 건구온도와 습구온도의 양쪽을 읽고, 그 온도차를 이용하여 상대습도를 구할 수가 있다. 정밀도는 좋지 않지만 값이 싸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림 4-1. 건 습구온도계
4.2 사용법
먼저 물통에 물을 가득 채우고 온도계에 묶여 있는 가제를 물통에 담구어 일단 물을 위에까지 젖게 문질러 줄 것.
다음 습도 보기는 아래와 같음.
현재 온도가 20도가 되고 젖은 온도가 17도가 되면 온도차는 3도가 되므로 습도는 74%가 됨.
현재 온도가 20도에서 3도차가 되면 3칸 건너가서 보고 4도차가 되면 4칸 건너가서 보게 되므로 습도는 66%가 됨.
그림 4-2. 건 습구온도계 사용법
5. 측정방법 및 순서
5.1 측정순서
건습구온도계와 습공기선도를 준비한다.
습구온도계의 구부에 감긴 헝겊이 닿는 곳에 물을 채운다.
405호 강의실의 벽과 바닥에서 1m정도 간격을 두고 건습구온도계를 배치한다.
10분 후 건구와 습구의 온도를 정확히 읽는다.
측정된 건구와 습구온도로 습공기선도를 이용하여 상대습도 및 절대습도, 노점온도를 측정한다.
다른 측정지점도 ③~⑤의 방법으로 측정하여 기록한다.
5.2 유의사항
습구의 물단지에 넣는 물은 증류수가 좋다.
겨울이나 비가 올 때는 모발 습도계를 사용한다.
온도계는 수은 온도계를 사용해야 정확하다.
온도계는 거즈를 벗겼을 때 눈금이 일치하는 것을 사용한다.
6. 측정시 주의사항
습구의 구부를 싸는 무명은 될 수 있는 대로 얇은 것을 택하고, 묽은 소다액으로 끓여서 지방분과 풀기를 제거한 다음에 사용한다.
습구에서 물통으로 이어지는 부분에는 느슨하게 묶은 6~7가닥의 무명실을 가볍게 꼰 것을 사용한다.
물통 속의 물은 증류수가 좋지만, 증류수가 없을 때에는 단물을 사용해야 하며, 센물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건구와 습구의 눈금을 볼 때에는 부채로 부치든지 해서 반드시 통풍을 좋게 할 필요가 있다.
Ⅲ. 결론
1. 실험결과
측정 결과정리
측정지점
측정종류
강의실
화장실
복도
기초실험실
계단
제도실
건구온도
(℃)
18
17.5
16
18
16
18.5
습구온도
(℃)
15.9
17
13.5
16
13.5
16
상대습도
(%)
80
95
76
81
76
78
절대습도
(kg/kg)
0.0104
0.0128
0.0087
0.0105
0.0087
0.0103
노점온도
(℃)
14.5
16.7
12
15
12
14.3
수증기분압
(mmHg)
12.4
14.2
10.4
12.6
14
12.3
※ 강의실의 매10분마다 온도변화가 크지 않아 각기 다른지점 6곳을 매10분마다 1회 측정하였다.
※ 단위는 절대습도(kg/kg), 수증기분압(mmHg)
2. 결론 및 고찰
측정해본 결과 역시 화장실의 습도 가장 높게 나타나 결로가 생기기 쉽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내가 아닌 복도와 계단은 환기문제가 별로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습도를 측정할 필요가 없지만 측정해본 결과 측정온도가 동일하게 측정되었는데 복도와 계단이 연결되어 있고 건습구온도계 측정을 복도 바로 옆 계단에서 측정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리고 강의실, 기초실험실, 제도실의 습한 정도는 78~81%정도 약간 습한 정도로 잠깐 환기가 필요하다.
실내의 습도 적정도와 습도에 따른 대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1 날씨온도와 습도의 적정도
건물의 종류
방 종류
적정온도
건물의 종류
방 종류
적정온도
주택
아파트
거실
20
학교
교실
18
식탁
11
강당
16
침실
16
체육관
16
주방
18
무용실
13
욕실
20
음악실
18
화장실
16
공공건물
상담실
22
복도
16
진열실
16
홀
16
도서실
20
차고
10
교회
16
호텔
객실
20
공장
경공업
16
욕실
22
중공업
13
2.2 실내 습도에 따른 대책
습도범위
실내 습도 상태와 대책
80% 이상
실내가 너무 습하면 방안에 곰팡이 등 세균이 서식할 수 있기 때문에 천식 , 알레르기, 비염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알레르기 비염은 갑자기 재채기가 나고 맑은 콧물이 흐르며 코가 막혀 답답해지는 3대 증상이 나타나는데 집먼지 진드기, 곰팡이 등 호흡기를 통해 흡입되는 것이 주요 원인이다. 환기 통한 습도 감도가 필요하다.
60~80% 이하
약간 습한 정도이다 . 이 때에는 잠깐 환기를 하는 것이 좋다.
40~60% 이하
가장 적정한 범위이며 , 여러 가지 외부 요인에 의해 인체에 미치는 부작용이 최소화 될 수 있다.
30~40% 이하
실내가 다소 건조하다고 느낄 수 있는데 , 특히 유아에게 코막힘 현상이 일어날 수 있으며 알레르기증상, 천식 등의 질병이 있는 유아의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30% 이하
실내가 너무 건조하여 유아의 기도점막의 건조를 일으키고 , 기도의 세균 감염 예방작용을 약하게 한다. 또한 분진이 공기 중에 머무는 시간이나 각종 바이러스의 생존시간을 연장시키고, 감기와 기타의 호흡기질환에 걸리기 쉬워진다. 또한 겨울철에 곤욕을 치르는 정전기가 발생하기 쉽다. 충분한 가습이 필요하다.
※ 참고문헌
공기조화 위생공학회 ‘공기선도 읽는법사용법’ 성안당 p6~27
정창원 외 ‘건축환경계획’ 도서출판서우 p23~32
http://100.naver.com/100.php?id=7980
http://www.sulbee.xdns.co.kr/sulbee_sub/air_3.htm
http://www.diymy.com/sping/sping.cgi?j=sping_input&code_i=GK&itm=1=0030&adm=&Acode_i=G3
http://blog.naver.com/n_art/120018487837
http://www.blog.naver.com/jby1003/2347544
http://blog.naver.com/ebizlife/120001247057
3.6 습공기의 상태변화
1 → 2 : 현열가열
1 → 3 : 현열냉각
1 → 4 : 가습
1 → 5 : 감습
1 → 6 : 가열가습
1 → 7 : 가열감습
1 → 8 : 냉각가습
1 → 9 : 냉각감습
그림2-6. 습공기의 상태변화
4. 측정에 사용되는 기구
4.1 건 습구온도계
건구온도계와 습구온도계를 조합시킨 것으로, 건구온도와 습구온도의 양쪽을 읽고, 그 온도차를 이용하여 상대습도를 구할 수가 있다. 정밀도는 좋지 않지만 값이 싸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림 4-1. 건 습구온도계
4.2 사용법
먼저 물통에 물을 가득 채우고 온도계에 묶여 있는 가제를 물통에 담구어 일단 물을 위에까지 젖게 문질러 줄 것.
다음 습도 보기는 아래와 같음.
현재 온도가 20도가 되고 젖은 온도가 17도가 되면 온도차는 3도가 되므로 습도는 74%가 됨.
현재 온도가 20도에서 3도차가 되면 3칸 건너가서 보고 4도차가 되면 4칸 건너가서 보게 되므로 습도는 66%가 됨.
그림 4-2. 건 습구온도계 사용법
5. 측정방법 및 순서
5.1 측정순서
건습구온도계와 습공기선도를 준비한다.
습구온도계의 구부에 감긴 헝겊이 닿는 곳에 물을 채운다.
405호 강의실의 벽과 바닥에서 1m정도 간격을 두고 건습구온도계를 배치한다.
10분 후 건구와 습구의 온도를 정확히 읽는다.
측정된 건구와 습구온도로 습공기선도를 이용하여 상대습도 및 절대습도, 노점온도를 측정한다.
다른 측정지점도 ③~⑤의 방법으로 측정하여 기록한다.
5.2 유의사항
습구의 물단지에 넣는 물은 증류수가 좋다.
겨울이나 비가 올 때는 모발 습도계를 사용한다.
온도계는 수은 온도계를 사용해야 정확하다.
온도계는 거즈를 벗겼을 때 눈금이 일치하는 것을 사용한다.
6. 측정시 주의사항
습구의 구부를 싸는 무명은 될 수 있는 대로 얇은 것을 택하고, 묽은 소다액으로 끓여서 지방분과 풀기를 제거한 다음에 사용한다.
습구에서 물통으로 이어지는 부분에는 느슨하게 묶은 6~7가닥의 무명실을 가볍게 꼰 것을 사용한다.
물통 속의 물은 증류수가 좋지만, 증류수가 없을 때에는 단물을 사용해야 하며, 센물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건구와 습구의 눈금을 볼 때에는 부채로 부치든지 해서 반드시 통풍을 좋게 할 필요가 있다.
Ⅲ. 결론
1. 실험결과
측정 결과정리
측정지점
측정종류
강의실
화장실
복도
기초실험실
계단
제도실
건구온도
(℃)
18
17.5
16
18
16
18.5
습구온도
(℃)
15.9
17
13.5
16
13.5
16
상대습도
(%)
80
95
76
81
76
78
절대습도
(kg/kg)
0.0104
0.0128
0.0087
0.0105
0.0087
0.0103
노점온도
(℃)
14.5
16.7
12
15
12
14.3
수증기분압
(mmHg)
12.4
14.2
10.4
12.6
14
12.3
※ 강의실의 매10분마다 온도변화가 크지 않아 각기 다른지점 6곳을 매10분마다 1회 측정하였다.
※ 단위는 절대습도(kg/kg), 수증기분압(mmHg)
2. 결론 및 고찰
측정해본 결과 역시 화장실의 습도 가장 높게 나타나 결로가 생기기 쉽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내가 아닌 복도와 계단은 환기문제가 별로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습도를 측정할 필요가 없지만 측정해본 결과 측정온도가 동일하게 측정되었는데 복도와 계단이 연결되어 있고 건습구온도계 측정을 복도 바로 옆 계단에서 측정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리고 강의실, 기초실험실, 제도실의 습한 정도는 78~81%정도 약간 습한 정도로 잠깐 환기가 필요하다.
실내의 습도 적정도와 습도에 따른 대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1 날씨온도와 습도의 적정도
건물의 종류
방 종류
적정온도
건물의 종류
방 종류
적정온도
주택
아파트
거실
20
학교
교실
18
식탁
11
강당
16
침실
16
체육관
16
주방
18
무용실
13
욕실
20
음악실
18
화장실
16
공공건물
상담실
22
복도
16
진열실
16
홀
16
도서실
20
차고
10
교회
16
호텔
객실
20
공장
경공업
16
욕실
22
중공업
13
2.2 실내 습도에 따른 대책
습도범위
실내 습도 상태와 대책
80% 이상
실내가 너무 습하면 방안에 곰팡이 등 세균이 서식할 수 있기 때문에 천식 , 알레르기, 비염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알레르기 비염은 갑자기 재채기가 나고 맑은 콧물이 흐르며 코가 막혀 답답해지는 3대 증상이 나타나는데 집먼지 진드기, 곰팡이 등 호흡기를 통해 흡입되는 것이 주요 원인이다. 환기 통한 습도 감도가 필요하다.
60~80% 이하
약간 습한 정도이다 . 이 때에는 잠깐 환기를 하는 것이 좋다.
40~60% 이하
가장 적정한 범위이며 , 여러 가지 외부 요인에 의해 인체에 미치는 부작용이 최소화 될 수 있다.
30~40% 이하
실내가 다소 건조하다고 느낄 수 있는데 , 특히 유아에게 코막힘 현상이 일어날 수 있으며 알레르기증상, 천식 등의 질병이 있는 유아의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30% 이하
실내가 너무 건조하여 유아의 기도점막의 건조를 일으키고 , 기도의 세균 감염 예방작용을 약하게 한다. 또한 분진이 공기 중에 머무는 시간이나 각종 바이러스의 생존시간을 연장시키고, 감기와 기타의 호흡기질환에 걸리기 쉬워진다. 또한 겨울철에 곤욕을 치르는 정전기가 발생하기 쉽다. 충분한 가습이 필요하다.
※ 참고문헌
공기조화 위생공학회 ‘공기선도 읽는법사용법’ 성안당 p6~27
정창원 외 ‘건축환경계획’ 도서출판서우 p23~32
http://100.naver.com/100.php?id=7980
http://www.sulbee.xdns.co.kr/sulbee_sub/air_3.htm
http://www.diymy.com/sping/sping.cgi?j=sping_input&code_i=GK&itm=1=0030&adm=&Acode_i=G3
http://blog.naver.com/n_art/120018487837
http://www.blog.naver.com/jby1003/2347544
http://blog.naver.com/ebizlife/1200012470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