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목차
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연구 목적 1
제 2 절 논문의 체계 4
제 2 장 이론적 배경 5
제 1 절 감성지능(Emotional Intelligence) 5
제 2 절 변혁적 리더십(Transformational leadership) 16
제 3 절 조직 유효성 24
제 3 장 연구방법 29
제 1 절 샘플 29
제 2 절 측정도구 29
제 3 절 연구절차 및 분석방법 37
제 4 장 가설의 설정 39
제 5 장 연구결과 47
제 1 절 측정도구의 타당도과 신뢰도 검증 47
제 2 절 변수들간의 상관관계 분석 60
제 3 절 연구가설의 검증 65
제 6 장 결론 71
제 1 절 연구 결과의 요약 71
제 2 절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점 72
【참고문헌】 74
<abstract> 82
<부록> 설문지 84
제 1 절 연구 목적 1
제 2 절 논문의 체계 4
제 2 장 이론적 배경 5
제 1 절 감성지능(Emotional Intelligence) 5
제 2 절 변혁적 리더십(Transformational leadership) 16
제 3 절 조직 유효성 24
제 3 장 연구방법 29
제 1 절 샘플 29
제 2 절 측정도구 29
제 3 절 연구절차 및 분석방법 37
제 4 장 가설의 설정 39
제 5 장 연구결과 47
제 1 절 측정도구의 타당도과 신뢰도 검증 47
제 2 절 변수들간의 상관관계 분석 60
제 3 절 연구가설의 검증 65
제 6 장 결론 71
제 1 절 연구 결과의 요약 71
제 2 절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점 72
【참고문헌】 74
<abstract> 82
<부록> 설문지 84
본문내용
048
.048
.114
.179
1
N
.624**
.253
.605**
.678**
.148
.599**
.494**
-.233
.401*
.538**
.056
-.013
.019
1
본 연구에서는 가설 검증에 앞서 각 측정변수들 간의 기초적인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측정변수는 감성지능, 변혁적 리더십, 조직 유효성으로 각 측정 변수는 대부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감성지능과 변혁적 리더십의 관계에서 감정조절은 카리스마(.535*)과 관계가 있고, 감정활용은 영감적 동기부여(.671*), 카리스마(.372*), 지적자극(.411*)과 관계가 있고, 감정인식은 지적자극(.370*)과 감정표현은 카리스마(.631*), 지적자극(.595*)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 유효성의 관계에서는 영감적 동기부여는 역할지각2(.802*), 역할지각3(.520*)과 관계가 있고, 카리스마는 조직몰입(.734*), 역할지각1(.690*), 역할지각2(.483*), 전반적 성과(.599*)와 관계가 있으며, 지적자극은 역할지각1(.562*), 역할지각2(564*), 전반적 성과(494*)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개별적 고려는 조직 유효성과 유의미한 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지능과 조직 유효성의 관계에서는 감정조절은 조직몰입(.584*), 역할지각1(.543*), 전반적 성과(.624*)와 관련이 있고, 감정활용은 조직몰입(.482*), 역할지각2(.812*), 역할지각3(.487*)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정인식은 역할지각1(.436*), 역할지각4(.398*), 전반적 성과(.605*)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감정표현과 조직몰입(.440*), 역할지각1(.577*), 성과(.671*)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 상사
감성 조절
감성 활용
감성 인식
감성 표현
영감적 동기부여
카리 스마
지적 자극
개별적고려
시민 행동1
시민 행동2
시민 행동3
시민 행동4
성과
A
B
C
D
E
F
G
H
I
J
K
L
M
A
1
B
.157
1
C
.635**
.285
1
D
.430*
.488**
.573**
1
E
.384*
.533**
.487**
.868**
1
F
.399*
.537**
.640**
.716**
.666**
1
G
.817**
.206
.628**
.561**
.505**
.503**
1
H
.112
.122
.367
.345
.283
.232
.152
1
I
.706**
.156
.504**
.336
.418*
.404*
.709**
-.368*
1
J
.129
.570**
-.017
.102
.158
.060
.137
-.014
.221
1
K
.433*
.286
.341
.515**
.623**
.409*
.344
-.206
.384*
.308
1
L
-.015
-.255
-.349
-.389*
-.296
-.309
-.229
-.147
-.048
.054
.226
1
M
.409*
.550**
.439*
.685**
.786**
.427*
.501**
.083
.518**
.304
.430*
-.339
1
** 상관계수는 0.01 수준(양쪽)에서 유의합니다.
* 상관계수는 0.05 수준(양쪽)에서 유의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가설 검증에 앞서 각 측정변수들 간의 기초적인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측정변수는 감성지능, 변혁적 리더십, 조직 유효성으로 각 측정 변수는 대부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상사 설문 상관관계 분석 결과는 위의 표와 같다. 감성조절은 영감적 동기부여, 카리스마, 지적자극, 조직시민행동1, 조직시민행동3 성과와 정(+)의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감성활용은 영감적 동기부여, 카리스마, 조직시민행동2, 성과와 정(+)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감성인식은 영감적 동기부여, 카리스마, 지적자극, 조직시민행동1, 성과와 정(+)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감성표현은 영감적 동기부여, 카리스마, 지적자극, 조직시민행동3, 성과와 정(+)의 관계가 있지만, 조직시민행동4와는 음(-)의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영감적 동기부여는 조직시민행동1, 조직시민행동3, 성과와 카리스마는 조직시민행동1, 조직시민행동3, 성과와 지적자극은 조직시민행동1, 성과와 정(+)의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다. 동료
감성조절
감성활용
감성인식
영감적 동기부여
카리스마
지적자극
시민행동1
시민행동2
성과
감성조절
1
감성활용
.326
1
감성인식
.530(**)
.494(**)
1
영감적 동기부여
.481(**)
.587(**)
.546(**)
1
카리스마
.229
.683(**)
.676(**)
.496(**)
1
지적자극
.304
.313
.476(**)
.312
.433(*)
1
시민행동1
.488(**)
.626(**)
.791(**)
.679(**)
.772(**)
.677(**)
1
시민행동2
-.422(*)
.113
.084
-.118
.249
-.170
.028
1
성과
.355
.584(**)
.633(**)
.700(**)
.628(**)
.417(*)
.753(**)
.081
1
** 상관계수는 0.01 수준(양쪽)에서 유의합니다.
* 상관계수는 0.05 수준(양쪽)에서 유의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가설 검증에 앞서 각 측정변수들 간의 기초적인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측정변수는 감성지능, 변혁적 리더십, 조직 유효성으로 각 측정 변수는 대부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상사 설문 상관관계 분석 결과는 위의 표와 같다. 감성조절은 영감적 동기부여, 조직시민행동1과 정(+)의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조직시민행동2와는 음(-)의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감성활용은 영감적 동기부여, 카리스마, 조직시민행동, 성과와 정(+)의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감성인식은 영감적 동기부여, 카리스마, 지적자극, 조직시민행동, 성과와 정(+)의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변
.048
.114
.179
1
N
.624**
.253
.605**
.678**
.148
.599**
.494**
-.233
.401*
.538**
.056
-.013
.019
1
본 연구에서는 가설 검증에 앞서 각 측정변수들 간의 기초적인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측정변수는 감성지능, 변혁적 리더십, 조직 유효성으로 각 측정 변수는 대부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감성지능과 변혁적 리더십의 관계에서 감정조절은 카리스마(.535*)과 관계가 있고, 감정활용은 영감적 동기부여(.671*), 카리스마(.372*), 지적자극(.411*)과 관계가 있고, 감정인식은 지적자극(.370*)과 감정표현은 카리스마(.631*), 지적자극(.595*)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 유효성의 관계에서는 영감적 동기부여는 역할지각2(.802*), 역할지각3(.520*)과 관계가 있고, 카리스마는 조직몰입(.734*), 역할지각1(.690*), 역할지각2(.483*), 전반적 성과(.599*)와 관계가 있으며, 지적자극은 역할지각1(.562*), 역할지각2(564*), 전반적 성과(494*)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개별적 고려는 조직 유효성과 유의미한 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지능과 조직 유효성의 관계에서는 감정조절은 조직몰입(.584*), 역할지각1(.543*), 전반적 성과(.624*)와 관련이 있고, 감정활용은 조직몰입(.482*), 역할지각2(.812*), 역할지각3(.487*)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정인식은 역할지각1(.436*), 역할지각4(.398*), 전반적 성과(.605*)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감정표현과 조직몰입(.440*), 역할지각1(.577*), 성과(.671*)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 상사
감성 조절
감성 활용
감성 인식
감성 표현
영감적 동기부여
카리 스마
지적 자극
개별적고려
시민 행동1
시민 행동2
시민 행동3
시민 행동4
성과
A
B
C
D
E
F
G
H
I
J
K
L
M
A
1
B
.157
1
C
.635**
.285
1
D
.430*
.488**
.573**
1
E
.384*
.533**
.487**
.868**
1
F
.399*
.537**
.640**
.716**
.666**
1
G
.817**
.206
.628**
.561**
.505**
.503**
1
H
.112
.122
.367
.345
.283
.232
.152
1
I
.706**
.156
.504**
.336
.418*
.404*
.709**
-.368*
1
J
.129
.570**
-.017
.102
.158
.060
.137
-.014
.221
1
K
.433*
.286
.341
.515**
.623**
.409*
.344
-.206
.384*
.308
1
L
-.015
-.255
-.349
-.389*
-.296
-.309
-.229
-.147
-.048
.054
.226
1
M
.409*
.550**
.439*
.685**
.786**
.427*
.501**
.083
.518**
.304
.430*
-.339
1
** 상관계수는 0.01 수준(양쪽)에서 유의합니다.
* 상관계수는 0.05 수준(양쪽)에서 유의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가설 검증에 앞서 각 측정변수들 간의 기초적인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측정변수는 감성지능, 변혁적 리더십, 조직 유효성으로 각 측정 변수는 대부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상사 설문 상관관계 분석 결과는 위의 표와 같다. 감성조절은 영감적 동기부여, 카리스마, 지적자극, 조직시민행동1, 조직시민행동3 성과와 정(+)의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감성활용은 영감적 동기부여, 카리스마, 조직시민행동2, 성과와 정(+)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감성인식은 영감적 동기부여, 카리스마, 지적자극, 조직시민행동1, 성과와 정(+)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감성표현은 영감적 동기부여, 카리스마, 지적자극, 조직시민행동3, 성과와 정(+)의 관계가 있지만, 조직시민행동4와는 음(-)의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영감적 동기부여는 조직시민행동1, 조직시민행동3, 성과와 카리스마는 조직시민행동1, 조직시민행동3, 성과와 지적자극은 조직시민행동1, 성과와 정(+)의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다. 동료
감성조절
감성활용
감성인식
영감적 동기부여
카리스마
지적자극
시민행동1
시민행동2
성과
감성조절
1
감성활용
.326
1
감성인식
.530(**)
.494(**)
1
영감적 동기부여
.481(**)
.587(**)
.546(**)
1
카리스마
.229
.683(**)
.676(**)
.496(**)
1
지적자극
.304
.313
.476(**)
.312
.433(*)
1
시민행동1
.488(**)
.626(**)
.791(**)
.679(**)
.772(**)
.677(**)
1
시민행동2
-.422(*)
.113
.084
-.118
.249
-.170
.028
1
성과
.355
.584(**)
.633(**)
.700(**)
.628(**)
.417(*)
.753(**)
.081
1
** 상관계수는 0.01 수준(양쪽)에서 유의합니다.
* 상관계수는 0.05 수준(양쪽)에서 유의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가설 검증에 앞서 각 측정변수들 간의 기초적인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측정변수는 감성지능, 변혁적 리더십, 조직 유효성으로 각 측정 변수는 대부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상사 설문 상관관계 분석 결과는 위의 표와 같다. 감성조절은 영감적 동기부여, 조직시민행동1과 정(+)의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조직시민행동2와는 음(-)의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감성활용은 영감적 동기부여, 카리스마, 조직시민행동, 성과와 정(+)의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감성인식은 영감적 동기부여, 카리스마, 지적자극, 조직시민행동, 성과와 정(+)의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변
추천자료
감성적인 인터넷쇼핑몰 디자인에 대한 연구( 감성공학 홈페이지)
18세기 독일 문학 예술이론의 근본동기로서의 감성의 계몽 - 미의 감성론과 숭고의 감성론을...
감성디자인 감성브랜딩
감성마케팅 분석(감성이라는 코드를 읽어라)
감성(Emotional)마케팅 『감성이라는 코드를 읽어라』
감성 디자인 감성 브랜딩(emotional brandig) 사람과 브랜드를 연결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
감성리더쉽의 등장과 감성리더 만들기
필룩스의감성조명과제품전략해외진출_차별화된 제품과 감성조명 시스템을 통한 해외 진출 사례
감성 마케팅 감성마케팅 오감마케팅 PPT
CK 향수의 감성마케팅 전략,케빈클라인향수,향수시장분석,CK향수마케팅전략,향수마케팅전략,...
인지광고와 감성광고의 특징과 비교 (인지광고 - 냉장고, 껌, 화장품, 유제품, 과자 부문 vs ...
[감성마케팅 사례연구 PPT] 감성마케팅 개념과 효과및 감성마케팅 기업성공사례분석및 향후전망
[감성마케팅 연구] 감성마케팅 개념과 기업성공사례(애플,스타벅스,오리온,대한항공)분석과 ...
감성마케팅 개념특징성공요소장단점분석과 감성마케팅 기업사례연구및 미래방향제언 -감성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