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찰과상
2.창상
3.자상
4.타박상
5 .골절
6.치아
7.복통
8.두통
1)감기 :
2)유행성 감기 :
9.눈
1)눈의 외상과 이물이 들어갔을때
2)눈의 이상증상
10.발열
11.비출혈
12.귀의 문제
13.쇼크
14.질식
15.염좌
16.화상
17.물림, 쏘임
+물림, 쏘임에 대한 응급처치+
2.창상
3.자상
4.타박상
5 .골절
6.치아
7.복통
8.두통
1)감기 :
2)유행성 감기 :
9.눈
1)눈의 외상과 이물이 들어갔을때
2)눈의 이상증상
10.발열
11.비출혈
12.귀의 문제
13.쇼크
14.질식
15.염좌
16.화상
17.물림, 쏘임
+물림, 쏘임에 대한 응급처치+
본문내용
, 지혈 시킨후 니라민산 가루를 뿌려 지혈 및 상처부위의 건조-감염 방지 의 효 과를 이용 한다.
2.창상
-칼에 베어서 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소독후 1회용 반창고를 붙여두면 쉽게 치유 된다.상처부위가 깊고 넣어서 흉터가 생길 가능성이 있는 경우는 봉합을 위해 병원에 데리고 가서 의뢰한다.
3.자상
-송곳이나 못 등에 찔리거나 연필 , 샤프심 등으로 장난 하다가 찔리는 경우이며 마룻바닥 ,목재, 걸상, 문틈 등에서 찔려서 오는 경우가 있다.
-알코올 로 주변을 소독후 가시를 빼주고 소독 드레싱을 한다.
4.타박상
-넘어지거나 충돌 등의 외력으로 피하조직이 손상된 것으로서 두부, 흉부, 복부, 타 박시 뇌나 내장의 손상 등 합병증에 주의 하도록 한다.
-요드를 발라주고 상처부위를 올리고 안정 취하게 한다.
5 .골절
전신 상태를 검진한다.즉 활력징후 측정, 의식확인 하고 의식있는 환자면 환자로부터 충분한 애기를 듣는다.(어떻게, 어디서 떨어졌는지, 신체의 어느 부위로 떨어졌으며, 어느곳이 아픈지, 환자의 생각으로 어느곳이 다친 것 같은지, 환자의 기타 반응)그리고 관찰로 골절부위를 확인한다. 그러나 골절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다리를 마구 움직여 본다거나, 걸어보도록 시도하지는 말아야 한다. 상지, 하지, 골반뼈의 골절은 골절여부가 알기가 매우 힘들다. 환자가 움직이지 못하는 것이 단 하나의 알아볼 수 있는 증상이기도 하다.
+응급처치+
-환자를 따뜻하고 조용하게 유지시킨다. 환자가 흥분해 있다면 침착할수 있도록 안정시킨다.
-환자가 의식이 없을때는 쇽에 대한 간호를 먼저 한다.
-출혈이 있으면 출혈에 대한 간호를 한다. 즉 개방적 골절시 세적→지혈→무균포 덮기→부목적용(고정) 순으로 응급처치 한다.
-통증이 심하면 환부를 식히고 (냉 요법 적용)심장보다 높게 올린다. 몸은 보온하도록 신경쓴다.
-골절된 뼈가 움직여서 인접한 관절이나 근육을 손상시키지 않게 한다. 즉 절대 골절 부위를 잡아당기거나 정복시키거나 골편들을 제거하지 않도록 한다.
-환부를 고정시키고 환자를 운반한다.
-환자의 골절부위에 부목을 대고 붕대를 감은후, 골절부위를 받쳐서 움직이지 않게 하고, 안전하게 옮긴다.
+부위별 고정방법+
-체간에 가까운 곳은 체간과 함께 고정한다.
-장관절은 양쪽의 관절과 함께 고정한다.
-손가락은 몇 개를 같이 고정하고 다리 부분은 싸듯이 고정한다.
6.치아
1)치아탈구
-운동이나 싸움 등으로 넘어지거나 부
2.창상
-칼에 베어서 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소독후 1회용 반창고를 붙여두면 쉽게 치유 된다.상처부위가 깊고 넣어서 흉터가 생길 가능성이 있는 경우는 봉합을 위해 병원에 데리고 가서 의뢰한다.
3.자상
-송곳이나 못 등에 찔리거나 연필 , 샤프심 등으로 장난 하다가 찔리는 경우이며 마룻바닥 ,목재, 걸상, 문틈 등에서 찔려서 오는 경우가 있다.
-알코올 로 주변을 소독후 가시를 빼주고 소독 드레싱을 한다.
4.타박상
-넘어지거나 충돌 등의 외력으로 피하조직이 손상된 것으로서 두부, 흉부, 복부, 타 박시 뇌나 내장의 손상 등 합병증에 주의 하도록 한다.
-요드를 발라주고 상처부위를 올리고 안정 취하게 한다.
5 .골절
전신 상태를 검진한다.즉 활력징후 측정, 의식확인 하고 의식있는 환자면 환자로부터 충분한 애기를 듣는다.(어떻게, 어디서 떨어졌는지, 신체의 어느 부위로 떨어졌으며, 어느곳이 아픈지, 환자의 생각으로 어느곳이 다친 것 같은지, 환자의 기타 반응)그리고 관찰로 골절부위를 확인한다. 그러나 골절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다리를 마구 움직여 본다거나, 걸어보도록 시도하지는 말아야 한다. 상지, 하지, 골반뼈의 골절은 골절여부가 알기가 매우 힘들다. 환자가 움직이지 못하는 것이 단 하나의 알아볼 수 있는 증상이기도 하다.
+응급처치+
-환자를 따뜻하고 조용하게 유지시킨다. 환자가 흥분해 있다면 침착할수 있도록 안정시킨다.
-환자가 의식이 없을때는 쇽에 대한 간호를 먼저 한다.
-출혈이 있으면 출혈에 대한 간호를 한다. 즉 개방적 골절시 세적→지혈→무균포 덮기→부목적용(고정) 순으로 응급처치 한다.
-통증이 심하면 환부를 식히고 (냉 요법 적용)심장보다 높게 올린다. 몸은 보온하도록 신경쓴다.
-골절된 뼈가 움직여서 인접한 관절이나 근육을 손상시키지 않게 한다. 즉 절대 골절 부위를 잡아당기거나 정복시키거나 골편들을 제거하지 않도록 한다.
-환부를 고정시키고 환자를 운반한다.
-환자의 골절부위에 부목을 대고 붕대를 감은후, 골절부위를 받쳐서 움직이지 않게 하고, 안전하게 옮긴다.
+부위별 고정방법+
-체간에 가까운 곳은 체간과 함께 고정한다.
-장관절은 양쪽의 관절과 함께 고정한다.
-손가락은 몇 개를 같이 고정하고 다리 부분은 싸듯이 고정한다.
6.치아
1)치아탈구
-운동이나 싸움 등으로 넘어지거나 부
추천자료
성인병 예방과 관리 및 응급처치
치매 ․ 중풍어르신의 이해와 문제행동에 대한 대처방안
Drug Intoxication case study
[과학실험실사고][과학실험실안전]과학실험실의 위험성, 과학실험실사고의 원인, 과학실험실...
[천식][천식 정의][천식 원인][천식 증상][천식 진단][천식 예방법][천식 치료][천식 응급처...
응급처치 강사과정 개정된 교육안 - 중독
응급처치 강사과정 개정된 교육안 - 자동제세동기의 사용
[골절][경골골절][상완골골절][골절치료][뼈][골격]골절의 정의와 양상, 골절의 유형, 경골 ...
일반 아동복지 사업
아동의 발달단계에 따른 부모의 역할 및 고찰
2014년 1학기 아동안전관리 멀티미디어 강의 핵심요약노트
건강ㆍ영양ㆍ안전의 보육,건강관리
건강관리 & 영양관리 & 안전관리 PPT자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