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질비용 사례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품질비용 사례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품질비용의 분류
Ⅰ. 예방비용
Ⅱ. 평가비용
Ⅲ. 실패비용

2. 사례적용
Ⅰ. 제작공정
Ⅱ. 품질비용(Q-COST) 현황
Ⅲ. 품질비용(Q-COST) 분석 정리
Ⅳ. 세부실패비용 현황
Ⅴ. 실패비용 관리현황
Ⅵ. 자재 실패비용 발생 내역
Ⅶ. 전체 품질비용(Q-COST)
Ⅷ. 예방 비용(P-COST)
Ⅸ. 평가 비용(A-COST)
Ⅹ. 실패 비용(F-COST)

3. 감상 및 평가

본문내용

91,120
1,379,851
-
-
200,000
2,400,000
600,000
200,000
10,011,155
TTL
410,069,972
290,513,233
1,064,817,734
1,968,665,685
507,610,772
945,489,491
1,148,057,645
1,700,814,988
472,307,847
314,052,923
8,822,400,290
Ⅴ. 실패비용 관리현황
품질비용(Q-COST) 대비 실패비용(F-COST) 점유율 추이도
구 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품질비용 (Q-COST)
N/A
N/A
573,830,949
485,052,924
1,268,631,541
2,164,041,633
1,233,874,775
1,276,514,509
1,705,853,222
2,015,287,353
1,661,340,625
669,132,702
실패비용 (F-COST)
N/A
N/A
410,069,972
290,513,233
1,064,817,734
1,968,665,685
507,610,772
945,489,491
1,148,057,645
1,700,814,988
472,307,847
314,052,923
점유율(%)
N/A
N/A
71.46%
59.89%
83.93%
90.97%
41.14%
74.07%
67.30%
84.40%
28.43%
46.93%
실패비용(F-COST)별 추이도
구 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내부실패비용
N/A
N/A
196,509,398
206,634,893
340,306,755
1,747,681,741
400,104,559
842,893,124
731,035,873
1,580,096,776
401,723,454
222,863,781
외부실패비용
N/A
N/A
213,560,574
83,878,340
724,510,979
220,983,944
107,506,213
100,525,214
417,021,772
120,718,212
70,584,393
91,189,142
Ⅵ. 자재 실패비용 발생 내역
품질비용 항목의 자재 사용 용도별 구분
구 분
REW
RET
R.P
A/S
IN-LINE 수리
TTL
자재 비용
-
-
42,990
-
84,692,037
84,735,027
점 유 율
0.00%
0.00%
0.05%
0.00%
99.95%
100.00%
IN-LINE(공정) 수리 자재비 구분
구 분
W.E
M.E
D.E
TTL
자재 비용
10,589,259
9,943,462
64,159,316
84,692,037
점 유 율
12.50%
11.74%
75.76%
100.00%
부서별 책임 구분 현황
생산1팀
생산2팀
외주
개발팀
품질관리팀
기타
TTL
10,540,070
88,253
3,926
64,159,316
,943,462
-
84,735,027
12.44%
0.10%
0.00%
75.72%
11.73%
0.00%
100.00%
공정수리자재 사용 팀별 현황
생산1팀
생산2팀
외주
벤더
TTL
3,713,828
351,813
626,396
-
84,692,037
98.84%
0.42%
0.74%
0.00%
100.00%
3. 감상 및 평가
.
품질의 통제는 지출수준이나 이로 인한 비용감축 기회를 제공하고 성과를 보다 효율적이고 과학적으로 평가해 줄 수 있는 척도나 기준을 제공할 뿐 품질비용 통제로써 품질비용이 절감되는 것은 아니였다. 지금까지 하지 않았던 품질비용 측정과 통제를 통해 개선이나 문제점을 찾아 개선활동이 뒤따라 주지 않으면
이전과 다를 것이 없다. 품질비용의 통제는 개선활동보다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첫걸음일 뿐임을 명시해야 한다.
이 기업의 품질비용 관리 내용들을 보면서 품질비용이라는 부분이 기업의 발전과 다음해의 계획에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느꼈다. 특히 기업의 품질향상에 영향을 많이 주고 있었다. 기업이 품질혁신이나 관리를 성공하여 지속적으로 고품질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면 브랜드 인지도 높아지고 이에 따라 같은 품질의 제품이나 서비스보다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업에서 출시하는 신제품이나 신사업의 시장에서 실패확률이 낮아진다. .같은 성능의 제품이라고 해도 기업의 품질 관련한 인지도에 따라 가격형성이 다를 수 있다. 이는 품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시장 가격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효과를 품질이 돈으로 환산되지 않는 또 다른 상승효과라고 느껴졌다.
또한 기업이 품질혁신이나 관리를 성공하여 지속적으로 고품질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면 고객이 불만족으로 인한 고객 이탈율을 .줄일 수 있었다. 고객 이탈율 증가의 주요 원인인 제품에 대한 품질의 불만족, 가격에 대한 불만족, 관련 서비스에 대한 불만족, 이상품질에 대한 조치에 대한 불만족, 고객의 요구에 의한 불만족 등 여러 가지 요인이 있다. 그러나 최상의 품질수준으로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면 고객이탈율 방지및 제3의 고객확보까지 이루어질 수 있다. \"하버드 비즈니즈 리뷰\"에 발표된 논문에 의하면 고객의 이탈율을 5% 줄이면 기업의 업종에 따라 25%~85%까지 수익이 증가한다고 한다.
기업의 최대 목표는 어떠한 기업이든 이익의 최대화 이다. 그러면에서 볼때 품질과 투자 수익률의 기업이 제공하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품질과 가격이 투자수익률(ROI) 미치는 영향력은 대단히 크다. 예를 들어
품질이 나쁜 제품을 싼 값으로 판매하는 기업 1
품질이나 가격이 시장의 흐름에 맞추는 기업 2
고품질의 제품을 비싼 값을 받고 파는 기업 3.
품질에 따라 여러 형태의 판매 가격 산출 방법이 있을 수 있지만 미국의 전략계획연구소에서 조사한 바에 의하면 아래의 그림과 같이 품질-가격-투자수익율은 상관성을 갖는다.
따라서 \"제품 또는 서비스의 성공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바로 품질 수준이다\" 라는 것을 이번 보고서 활동을 통해 더 한번 확인하게 되었다.
품질경영 2차보고서
-품질비용-
  • 가격3,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05.06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78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