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미생물이란?.............................................................-1-
실험재료 및 방법..............................................................-1-
1. 실험재료..........................................................................-1-
2. 실험방법..........................................................................-2-
가. 소독 전의 손.....................................................................-2-
나. 소독 후의 손...................................................................-3-
다. 어묵..............................................................................-3-
결과 및 고찰......................................................................-4-
1. 소독약물의 효과................................................................-4-
2. 어묵 내 대장균..................................................................-5-
실험소감.............................................................................-6-
실험재료 및 방법..............................................................-1-
1. 실험재료..........................................................................-1-
2. 실험방법..........................................................................-2-
가. 소독 전의 손.....................................................................-2-
나. 소독 후의 손...................................................................-3-
다. 어묵..............................................................................-3-
결과 및 고찰......................................................................-4-
1. 소독약물의 효과................................................................-4-
2. 어묵 내 대장균..................................................................-5-
실험소감.............................................................................-6-
본문내용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시행한다. )
결과 및 고찰
1. 소독약물의 효과
교내 기숙사의 손 소독기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건
배양시간
손 소독 전의 세균 수
손 소독 후의 세균 수
24시간
약 15만
약 12만
48시간
약 23만
약 20만
* 단위는 CFU/100ml (CFU(Coliform Forming Units): 세균의 밀도 측정 단위
【 소독 전 】 【 소독 후 】
기숙사의 손 소독약물의 효과는 표와 사진으로 나타내었다.
24시간과 48시간의 각각 경과를 지켜본 결과 소독약물은 큰 효과는 없었음을 알 수 있었다. 소독기의 위생상태가 불량한지 아니면 소독약물이 밀폐되지 않은 용기에 담겨 노출이 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신속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2. 어묵 내 대장균
교내 분식점내 판매되고 있는 어묵 10g의 대장균수는 다음과 같다.
재료
배양시간
어묵 1
어묵 2
24시간
약 700
약 900
48시간
약 2300
약 3000
* 단위는 MPN/100ml (MPN(Most Probable Number): 대장균군수
【 어묵 1 】 【 어묵 2 】
끓여서 파는 꼬지어묵에는 꼬지의 위생상태와 기기에 따라 대장균의 수가 달라질 수 있으나 끓이기 전 생 어묵에서는 비교적 소량의 대장균이 검출되어 위생상태는 양호하다고 할 수 있겠다. 제조회사에서 정밀검사를 거친 후 출고된 제품임이 확실한 듯 하고 인위적으로 변수가 작용하지 않는 이상 섭취해도 무난한 음식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식품위생과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므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결과 및 고찰
1. 소독약물의 효과
교내 기숙사의 손 소독기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건
배양시간
손 소독 전의 세균 수
손 소독 후의 세균 수
24시간
약 15만
약 12만
48시간
약 23만
약 20만
* 단위는 CFU/100ml (CFU(Coliform Forming Units): 세균의 밀도 측정 단위
【 소독 전 】 【 소독 후 】
기숙사의 손 소독약물의 효과는 표와 사진으로 나타내었다.
24시간과 48시간의 각각 경과를 지켜본 결과 소독약물은 큰 효과는 없었음을 알 수 있었다. 소독기의 위생상태가 불량한지 아니면 소독약물이 밀폐되지 않은 용기에 담겨 노출이 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신속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2. 어묵 내 대장균
교내 분식점내 판매되고 있는 어묵 10g의 대장균수는 다음과 같다.
재료
배양시간
어묵 1
어묵 2
24시간
약 700
약 900
48시간
약 2300
약 3000
* 단위는 MPN/100ml (MPN(Most Probable Number): 대장균군수
【 어묵 1 】 【 어묵 2 】
끓여서 파는 꼬지어묵에는 꼬지의 위생상태와 기기에 따라 대장균의 수가 달라질 수 있으나 끓이기 전 생 어묵에서는 비교적 소량의 대장균이 검출되어 위생상태는 양호하다고 할 수 있겠다. 제조회사에서 정밀검사를 거친 후 출고된 제품임이 확실한 듯 하고 인위적으로 변수가 작용하지 않는 이상 섭취해도 무난한 음식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식품위생과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므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추천자료
deoxycholate에 의한 평판배양법
바이오센서를 이용한 유독가스 측정기제작
세균성 식중독과 화학적 식중독 분류
상수도수질의 영향물질
재조합 단백질의 발현과 분리 정제 및 SDS PAGE를 이용한 확인
살균 및 소독의 종류와 방법
세균성 식중독에 관한 고찰
우리나라 수질오염원 배출실태와 처리능력 및 수질환경기준의 적정성 검토
단체급식소의 식중독 사고 해당 사고의 원인균의 특성 및 이러한 원인균에 의한 유사 식중독...
생명공학기술의 분야, 생명공학기술의 발전과정, 생명공학기술의 특허보호, 생명공학기술과 ...
식품위생 및 법규
IMViC 생화학적 검사
감염관리 간호 (감염에 대한 인체의 방어 기전, Infection 감염, 감염회로(chain of infectio...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