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목차
Ⅰ. 서론
1) 성격의 개념
2) 성격 이론 및 학자
Ⅱ. 본론
1) 외향 & 내향의 특징
2) 성격과 행동
(1) 성격과 애정
(2) 성격과 여행
(3) 성격과 소비
(4) 성격과 건강
(5) 성격과 범죄
3) 성격에 영향을 주는 요인
(1) 유전적·생리적 기초와 성격형성
(2) 환경적 문화적 요인과 성격형성
1) 성격의 개념
2) 성격 이론 및 학자
Ⅱ. 본론
1) 외향 & 내향의 특징
2) 성격과 행동
(1) 성격과 애정
(2) 성격과 여행
(3) 성격과 소비
(4) 성격과 건강
(5) 성격과 범죄
3) 성격에 영향을 주는 요인
(1) 유전적·생리적 기초와 성격형성
(2) 환경적 문화적 요인과 성격형성
본문내용
시키는가를 설명하려했다. 반대로, 에릭슨은 생활에서 오는 정신사회적 위험을 이겨낼 수 있는 인간능력에 관심을 가졌다. 에릭슨은 인간이 여러 가지 중요한 인생문제를 어떻게 극복해 가는가 그리고 초기문제를 부적절하게 처리하면 이것이 어떻게 그가 성장한 후 문제를 처리하는데 어려움을 갖게 하는지를 앎으로써 우리의 삶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⑤ 프로이드와의 유사점 : 성격의 단계가 미리 예정되고 그 순서가 불변한 것으로 본다.
▶에릭슨의 이론은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 이론에서 출발한 것으로서, 에릭슨 자신도 초기에는 자신의 연구는 프로이드 이론을 적용하는 것이라고 말했을 만큼, 한 밑둥에서 나온 두 가지의 나무와 같이 이론의 기본적 틀은 서로 접목되어 있다. 두 이론의 분명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두 이론의 공통점과 상이점을 구체적으로 열거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 프로이드는 어린 시절의 꿈이나 사고, 기억의 분석을 통해서 이루어진 이론인데 비해, 에릭슨의 이론은 사회적 경험을 통해서 이루어진 자아의 분석을 기반으로 하여 형성된 이론이다.
그러나, 프로이드가 원초아를 중시하여 방어기제로 표출되는 여러 행동적 증상 뒤에 숨어있는 원초아의 모습을 파악하려고 애쓴 반면에, 에릭슨은 원초아를 소홀히 한 한편, 인간의 현실적 행동에서 보여지는 모습 즉 자아의 분석에 치중하였다. 다시 말하면, 프로이드가 해저에 비유되는 무의식의 흐름을 중시했다면, 에릭슨은 즉 해면에 비유되는 의식의 흐름에 관심을 보였다. 둘째, 프로이드 이론은 다섯 단계에 걸쳐서 완성되는 성격발달의 이론을 제시하였다. 그는 세 단계에 걸쳐 성인이 되면, 개인의 성격형성은 종결되는 것을 가정하고, 그 이후에는 성격이 변용되기 어려움을 시사하고 있다.
그런데, 에릭슨은 전 생애를 계속적인 발달의 단계로 보고, 이를 8단계로 구분하였다. 에릭슨에 따르면, 성인이란 발달이 완료된 상태가 아니라, 발달과정의 한 상태에 해당된다. 프로이드는 리비도가 부착되는 성감대의 부위에 따라서 세 단계를 나누고, 그 단계에서 일어나는 욕구를 충분히 만족시키면 밭달의 다음 단계로의 이행이 가능하지만,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했을 경우에는 그 단계에 고착된 성격이 형성된다고 한다. 이에 반해, 에릭슨은 자아의 발달에 따라 전 생애를 8단계로 나누었는데, 이것은 프로이드 이론의 다섯 단계 이후의 세 단계가 첨가된 셈이다. 각 단계별로 극복해야 할 위기와 성취해야 할 발달과업들이 있는데, 이들이 성취되었을 때와 안되었을 때를 양극 개념으로 설명하고 있다. 셋째로, 출생 후 초기에 아동이 겪는 경험이 중요하다는 사실에는 두 이론이 일치한다. 프로이드에 의하면 영아기에 어머니의 젖을 빨면서 따뜻하고 부드러운 몸과 신체적으로 접촉하는 것은 입의 빠는 욕구를 만족시키는 것이며, 에릭슨에 의하면 어머니에 대한 신뢰감을 형성하는 일이 된다.
이와 같이, 어머니와의 초기 경험이 중요하다는 것은 일치하는 사실이나, 그 기본 기제에 대한 설명에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프로이드는 개인의 성격발달이 리비도에 의해 유발되는 욕구의 충족에 좌우된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에릭슨은 아기의 자아가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형성하는 신뢰감이 기틀이 된다고 말하고 있다. 특히 에릭슨이 부모뿐만 아니라 사회적 환경과 자아의 상호작용을 중시한 점은 프로이드와 크게 차이를 보이는 점이다. 이러한 사실은 아래에 인용하는 에릭슨의 글에서 분명히 읽을 수 있다.
8. 건강한 성격
에릭슨은 정신 사회적 위험(위기)을 이겨낼 수 있는 인간의 능력에 관심을 가졌다. 그러니까 위기를 잘 극복하는 인간이 건강한 셩격을 형성할 수 있다고 보았다. 즉, 전 일생을 통해 마주치게 되는 일련의 위기들을 그 때 그 때 잘 해결하고 극복함으로써 자기정체감 형성해 나가는 것이 건강한 성격의 기반이 된다. 위기를 잘 극복하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경험과 부정적인 경험이 균형을 잡아야 하며, 그 균형은 개인에 따라 다르다. 우리는 개인의 성장과 공동사회의 변화를 분리시킬 수 없으며, 또한 우리는 개인이 겪는 정체감의 위기와 역사의 발달 속에서 현대의 위기를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다. 왜냐하면 전자와 후자는 서로 도우며 실제로 서로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3. 기타 성격이론
①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이론
스위스 아동심리학자 Jean Piaget(1896-1980)는 1940년대 말 인지발달cognitive development을 발표하였으며, 이론은 소아정신의학과 정신분석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그는 인지발달을 조직 균형 순응같은 발달원리면에서 설명하고, 지능 지각 심상의 개념형성과정을 연구하였다.
인격이론 중 Piaget의 인지발달 이론은 매우 독특하다. 그의 이론은 ① 인간의 지능은 생물학적 적응의 연장이며, ② 적응에는 논리적 구조가 있고, ③ 인간의 지능은 또한 연령에 따라 단계별로 진화한다는 전제를 가지고 있다. 진화란 한단계에서 더 높은 단계로 발전하는 것이며, 다음 단계의 발전은 그 전단계의 기본 위에서 이루어진다. 또 다른 이론적 개념은 적응(adaptation)개념이다. 여기에는 두 과정이 있는데 동화(assimilation)와 순응 또는 조정(accommodation)이다. 동화과정이란 개체가 자신의 이미 확립된 지식체계 또는 정신구조를 통해 세계 또는 새로운 경험을 받아들이는 주관적 과정이다. 즉, 새로운 환경의 자극을 친숙한 것으로 여기고 친숙치 못한 것은 그의 조직에 맞도록 적응하여 과거에 친숙했던 것처럼 반응하는 것이다. 쉽게 말하면 동화란 무엇을 먹거나 소화시킬 때처럼 흡수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지적 영역에서 우리는 대상이나 정보를 우리의 인지구조에 동화시켜야 한다. 예를 들어, 성인들은 책을 읽음으로써 정보를 동화하며, 유아는 대상을 잡음으로써 그것을 동화시켜 자신의 파악도식에 집어넣으려 한다. 순응 또는 조정과정이란 동화과정과는 반대 작용으로 이미 전부터 가지고 있던 개념을 새로운 지각내용에 맞추어 변경시켜서 지니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개체가 환경으로부터 현실적 요구에 직면하여 기존 인지체계를 변화시키고 재조정함으로써 자신의 지식을 적응시키는 과정이다.
⑤ 프로이드와의 유사점 : 성격의 단계가 미리 예정되고 그 순서가 불변한 것으로 본다.
▶에릭슨의 이론은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 이론에서 출발한 것으로서, 에릭슨 자신도 초기에는 자신의 연구는 프로이드 이론을 적용하는 것이라고 말했을 만큼, 한 밑둥에서 나온 두 가지의 나무와 같이 이론의 기본적 틀은 서로 접목되어 있다. 두 이론의 분명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두 이론의 공통점과 상이점을 구체적으로 열거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 프로이드는 어린 시절의 꿈이나 사고, 기억의 분석을 통해서 이루어진 이론인데 비해, 에릭슨의 이론은 사회적 경험을 통해서 이루어진 자아의 분석을 기반으로 하여 형성된 이론이다.
그러나, 프로이드가 원초아를 중시하여 방어기제로 표출되는 여러 행동적 증상 뒤에 숨어있는 원초아의 모습을 파악하려고 애쓴 반면에, 에릭슨은 원초아를 소홀히 한 한편, 인간의 현실적 행동에서 보여지는 모습 즉 자아의 분석에 치중하였다. 다시 말하면, 프로이드가 해저에 비유되는 무의식의 흐름을 중시했다면, 에릭슨은 즉 해면에 비유되는 의식의 흐름에 관심을 보였다. 둘째, 프로이드 이론은 다섯 단계에 걸쳐서 완성되는 성격발달의 이론을 제시하였다. 그는 세 단계에 걸쳐 성인이 되면, 개인의 성격형성은 종결되는 것을 가정하고, 그 이후에는 성격이 변용되기 어려움을 시사하고 있다.
그런데, 에릭슨은 전 생애를 계속적인 발달의 단계로 보고, 이를 8단계로 구분하였다. 에릭슨에 따르면, 성인이란 발달이 완료된 상태가 아니라, 발달과정의 한 상태에 해당된다. 프로이드는 리비도가 부착되는 성감대의 부위에 따라서 세 단계를 나누고, 그 단계에서 일어나는 욕구를 충분히 만족시키면 밭달의 다음 단계로의 이행이 가능하지만,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했을 경우에는 그 단계에 고착된 성격이 형성된다고 한다. 이에 반해, 에릭슨은 자아의 발달에 따라 전 생애를 8단계로 나누었는데, 이것은 프로이드 이론의 다섯 단계 이후의 세 단계가 첨가된 셈이다. 각 단계별로 극복해야 할 위기와 성취해야 할 발달과업들이 있는데, 이들이 성취되었을 때와 안되었을 때를 양극 개념으로 설명하고 있다. 셋째로, 출생 후 초기에 아동이 겪는 경험이 중요하다는 사실에는 두 이론이 일치한다. 프로이드에 의하면 영아기에 어머니의 젖을 빨면서 따뜻하고 부드러운 몸과 신체적으로 접촉하는 것은 입의 빠는 욕구를 만족시키는 것이며, 에릭슨에 의하면 어머니에 대한 신뢰감을 형성하는 일이 된다.
이와 같이, 어머니와의 초기 경험이 중요하다는 것은 일치하는 사실이나, 그 기본 기제에 대한 설명에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프로이드는 개인의 성격발달이 리비도에 의해 유발되는 욕구의 충족에 좌우된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에릭슨은 아기의 자아가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형성하는 신뢰감이 기틀이 된다고 말하고 있다. 특히 에릭슨이 부모뿐만 아니라 사회적 환경과 자아의 상호작용을 중시한 점은 프로이드와 크게 차이를 보이는 점이다. 이러한 사실은 아래에 인용하는 에릭슨의 글에서 분명히 읽을 수 있다.
8. 건강한 성격
에릭슨은 정신 사회적 위험(위기)을 이겨낼 수 있는 인간의 능력에 관심을 가졌다. 그러니까 위기를 잘 극복하는 인간이 건강한 셩격을 형성할 수 있다고 보았다. 즉, 전 일생을 통해 마주치게 되는 일련의 위기들을 그 때 그 때 잘 해결하고 극복함으로써 자기정체감 형성해 나가는 것이 건강한 성격의 기반이 된다. 위기를 잘 극복하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경험과 부정적인 경험이 균형을 잡아야 하며, 그 균형은 개인에 따라 다르다. 우리는 개인의 성장과 공동사회의 변화를 분리시킬 수 없으며, 또한 우리는 개인이 겪는 정체감의 위기와 역사의 발달 속에서 현대의 위기를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다. 왜냐하면 전자와 후자는 서로 도우며 실제로 서로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3. 기타 성격이론
①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이론
스위스 아동심리학자 Jean Piaget(1896-1980)는 1940년대 말 인지발달cognitive development을 발표하였으며, 이론은 소아정신의학과 정신분석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그는 인지발달을 조직 균형 순응같은 발달원리면에서 설명하고, 지능 지각 심상의 개념형성과정을 연구하였다.
인격이론 중 Piaget의 인지발달 이론은 매우 독특하다. 그의 이론은 ① 인간의 지능은 생물학적 적응의 연장이며, ② 적응에는 논리적 구조가 있고, ③ 인간의 지능은 또한 연령에 따라 단계별로 진화한다는 전제를 가지고 있다. 진화란 한단계에서 더 높은 단계로 발전하는 것이며, 다음 단계의 발전은 그 전단계의 기본 위에서 이루어진다. 또 다른 이론적 개념은 적응(adaptation)개념이다. 여기에는 두 과정이 있는데 동화(assimilation)와 순응 또는 조정(accommodation)이다. 동화과정이란 개체가 자신의 이미 확립된 지식체계 또는 정신구조를 통해 세계 또는 새로운 경험을 받아들이는 주관적 과정이다. 즉, 새로운 환경의 자극을 친숙한 것으로 여기고 친숙치 못한 것은 그의 조직에 맞도록 적응하여 과거에 친숙했던 것처럼 반응하는 것이다. 쉽게 말하면 동화란 무엇을 먹거나 소화시킬 때처럼 흡수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지적 영역에서 우리는 대상이나 정보를 우리의 인지구조에 동화시켜야 한다. 예를 들어, 성인들은 책을 읽음으로써 정보를 동화하며, 유아는 대상을 잡음으로써 그것을 동화시켜 자신의 파악도식에 집어넣으려 한다. 순응 또는 조정과정이란 동화과정과는 반대 작용으로 이미 전부터 가지고 있던 개념을 새로운 지각내용에 맞추어 변경시켜서 지니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개체가 환경으로부터 현실적 요구에 직면하여 기존 인지체계를 변화시키고 재조정함으로써 자신의 지식을 적응시키는 과정이다.
추천자료
[정신분석이론][행동주의이론] 정신분석이론과 행동주의이론 비교 고찰(정신분석이론과 행동...
[프로이드][프로이트][프로이드이론][프로이트이론][자아][본능][초자아][성격발달이론][정신...
성격심리이론정리 - 행동주의적, 인지주의,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적,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융...
정신분석이론, 심리사회이론, 분석심리이론, 개인심리이론 중 하나의 성격이론을 선 택하여...
성격이론을 총 정리하는 의미에서 8가지 성격이론에 대한 특징을 간략히 기술하고 이 중 가장...
프로이드Freud, 분석심리이론, 자아심리이론, 인지발달이론, 행동주의이론, 행동주의적 성격...
성격이론 - 8가지 성격이론의 주요 내용 및 특징 & 에릭슨(Erikson)의 심리사회이론
[에릭슨 성격발달이론 콜버그 도덕성 발달이론] 에릭슨(Erikson) 성격발달이론과 콜버그(Kohl...
정신역동이론은 인간의 성격을 이해하려는 많은 연구자와 실천가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쳐 다...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인본주의 성격이론 (人本主義性格理論)≫ (인본주의 성격이론의 기본 ...
아들러(Alfred Adler) 이론 중에 가족구도 및 출생순위와 성격의 특징을 정리하시오. 그리고,...
[성격구분이론]성격유형론-프레스더스(Presthus) 이론, 맥클리랜드(McClelland) 이론, 다운즈...
[성격이론] 성격의 유형론, 특성론, 발달론(프로이드의 심리성적 발달이론, 에릭슨의 심리사...
벡의 인지적 성격이론과 로저스의 현상학적 성격이론을 중요한 개념을 키워드로 하여 각 이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