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서론 ------------------------------------------- 2
본론
Ⅰ.민들레영토에 대한 소개 --------------------------- 2
Ⅱ.점포규모와 사업성 -------------------------------- 3
Ⅲ.민들레영토만의 차별화된 서비스 전략 --------------- 4
Ⅳ.민들레영토의 성공 요인 --------------------------- 7
Ⅴ.민들레영토 SWOT분석 ---------------------------- 10
Ⅵ.민들레영토 서비스의 보완점 및 비즈니스 전망 제시 --- 11
결론 ------------------------------------------ 12
<참고 자료> ---------------------------- 13
서론 ------------------------------------------- 2
본론
Ⅰ.민들레영토에 대한 소개 --------------------------- 2
Ⅱ.점포규모와 사업성 -------------------------------- 3
Ⅲ.민들레영토만의 차별화된 서비스 전략 --------------- 4
Ⅳ.민들레영토의 성공 요인 --------------------------- 7
Ⅴ.민들레영토 SWOT분석 ---------------------------- 10
Ⅵ.민들레영토 서비스의 보완점 및 비즈니스 전망 제시 --- 11
결론 ------------------------------------------ 12
<참고 자료> ---------------------------- 13
본문내용
가진 사람을 직원으로 채용했고, 철저한 교육을 통해 서비스 정신을 무장시켰다.
'E'는 항상 눈(eye)을 부릅뜨고 고객의 불편과 요구 사항을 살펴야 한다는 것이다. 겨울에 밖에서 1시간씩 기다리는 고객을 위해 가래떡·백설기·달고나를 준비해 따뜻한 차와 함께 제공했다.
'R'은 고객은 항상 옳다(right)는 의미다. 민토의 주문서에는 고객의 소리를 적는 공간이 있다. 손님의 요구 사항은 꼼꼼히 읽고 경영에 반영한다. 민토의 세미나실도 고객들이 카페에 모여서 공부하는 모습을 보고 만든 공간이다.
Ⅴ. 민들레영토 SWOT분석
Strength(강점)
-일반 카페와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매스컴의 빈번한 보도로 인지도가 높다
-긍정적인 입소문으로 인해 대학생들의 관심이 높다
-스타벅스와 같은 외국계 카페들에게 대항할 수 있는 국산 토종 카페로 각광받고 있다
-건물 외관과 인테리어가 특징적이다
-전국적으로 체인화된 브랜드 카페로서 카페 이용시 고객의 만족도가 높다
Weakness(약점)
-각 지점 간에 서비스품질 차이와 고객만족도 차이가 존재한다
-음식맛과 가격에 대한 일부 고객들의 지적이 있다
-너무 높은 사전 기대로 인해 도리어 실망하는 고객이 있을 수 있다
-타 카페와 다른 특이한 지불체계로 인해 사전 지식이 없는 경우 이용 결정이 쉽지 않다
-지역마다 대학 문화나 사람들의 성향이 다르다
Opportunity(기회)
-대학생의 욕구에 특화된 서비스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각 도시의 대학가에 지점을 세워서 고객을 창출할 수 있다
-현재 준비하고 있는 해외 지점이 성공하면 제 2의 창업 효과를 얻게 된다
Threats(위협)
-표적 고객이 대학생층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경제 불황시 매출이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
-해외 지점이 실패할 가능성이 있다
-유사한 형태의 카페 등장시 타격을 입을 수 있다
Ⅵ. 민들레영토 서비스의 보완점 및 비즈니스 전망 제시
1) 문제점과 그에 대한 보완점
체계적인 경영성과 측정방식의 도입 필요
지금까지의 민들레영토는 경영전반에 대하여 경영성과의 측정과 재무분석 차원에서 다소 주먹구구식으로 일관해 왔다. 초기 경영철학은 다른 유사업종이 추구하는 본질적인 경영이념, 경제적 이윤 단순한 돈벌이가 아닌 어머니의 품과 같은 편안함을 주는 문화 공간 형성에 중점을 두었고, 이러한 철학의 기치로 인해 체계적인 경영성과에 대한 평가에 있어 미흡한 점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체계화 되지 않은 주먹구구식 경영평가는 기업 형으로 탈바꿈하는 현시점에서 반드시 개선해야할 선결과제이다. 민들레영토의 폭발적인 성장과 신진 해외시장의 진출을 앞둔 지금 무엇보다도 경영목표, 과정 그리고 성과에 대한 체계적이고 투명한 평가 시스템의 도입과 실행은 필수적이다.
2) 비즈니스 전망
민토는 현재 기업으로의 성장을 준비하는 과정에 있다.
민토는 초창기 시절 '어머니가 보여 주는 무한정의 사랑을 느낄 수 있는 장소'를 무기 삼아 신촌 카페 거리를 평정했다. 지승룡 소장은 카페 초기에 손님의 이름을 일일이 기억할 정도로 손님과 아주 가깝게 지냈다. 그러나 운영하는 카페가 전국으로 확대되고 손님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하루 100명→13,000명, 종업원 및 직원 약 600여명), 초창기 시절과 같이 아기자기한 '어머니 마케팅'은 더 이상 불가능해 졌다. 따라서 향후 지속적인 성장과 고객서비스의 품질저하를 막기 위해서는 고객을 체계적으로 대접하는 매뉴얼과 시설을 갖춘 이른바 '기업형' 카페 경영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민토는 그에 대한 대안으로 직원서비스교육 강화, 고객 마일리지 서비스 도입, 충성고객 확보를 위한 전략구상, 고객 불만처리 팀의 운영(예정) 등 다양한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민토의 해외진출모색 과정
이제 민토는 국내시장의 성공적인 정착을 발판으로 해외시장 진출을 적극 준비하고 있다. 우선 중국 북경과 미국 LA에 신규지점을 설립 할 계획이며, 북경점은 시장 조사를 끝내고 올해 안으로 매장을 오픈할 계획이다. 아시아 지역에 한류열풍이 불고 있는 가운데 민토의 중국 진출은 기존의 문화 콘텐츠에 국한된 한류가 아닌 새로운 ‘경영 한류’ 바람을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해외시장 진출은 문화적 차이가 경쟁력이 될 것이며, 다른 곳에서 경험하지 못하는 독특한 카페 문화를 제공한다면 해외시장에서도 충분한 경쟁력을 확보할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
지금까지 대학가의 시장 중에서 앞으로 지속적인 발전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민들레 영토에 대해서 분석 해 보았다. 민들레 영토는 “고객 만족을 통한 이윤 창출”이라는 마케팅 개념과 가장 잘 합치되는 성공 사례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민들레 영토는 이전에 우리가 갖고 있던 소위 카페라는 개념- 집이나 직장 다음으로 편안한 장소, 사람들이 모일 수 있으며 직장이나 집에 대한 관심을 잊고 쉬며 이야기할 수 있는 비공식적인 공공장소-을 한 차원 뛰어 넘어, 소비자들에게 단순한 이야기 장소만이 아닌 일종의 총체적 문화공간으로써 그 자리 매김을 하고 있다. 이는 자칫 술과 지나친 소비문화로 대표되던 대학문화 속에서 내재되어 있었지만 표출되지 못한 욕구들의 정확한 수렴이 지금의 성과를 가능케 하였다.
이밖에도, 지금까지 보아왔던 거대한 자금력을 동원한 스타벅스등 외국기업들의 무차별적인 마케팅 속에서도 민들레 영토가 그 입지를 잃지 않고 꿋꿋이 버텨 낸 데에는 ‘5리를 가지려는 자에게 10리를 준다’는 매우 한국적인 고객만족을 통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즉, 민들레 영토는 이제는 잘 포장된 외적인 모습보다는 다양화되고 차별화 된 서비스를 통한 고객만족 시스템을 통해 ‘한번 고객은 영원한 고객’을 만드는 그들의 전략이 더 중요한 요소를 자리 잡았음을 일깨우게 된다.
<참고 자료>
[참고 문헌]
김영한 지승룡, 『민들레영토의 희망스토리』랜덤하우스중앙, 2005
문규현 홍정효 『경영학원론』대명, 2003
이훈섭 『마케팅원론』글로벌, 2001
지승룡 『민들레 영토에 핀 사랑』골든북, 2001
[참고 사이트]
민들레 영토 홈페이지 (http://www.minto.co.kr)
네이버 지식인 (http://naver.com)
'E'는 항상 눈(eye)을 부릅뜨고 고객의 불편과 요구 사항을 살펴야 한다는 것이다. 겨울에 밖에서 1시간씩 기다리는 고객을 위해 가래떡·백설기·달고나를 준비해 따뜻한 차와 함께 제공했다.
'R'은 고객은 항상 옳다(right)는 의미다. 민토의 주문서에는 고객의 소리를 적는 공간이 있다. 손님의 요구 사항은 꼼꼼히 읽고 경영에 반영한다. 민토의 세미나실도 고객들이 카페에 모여서 공부하는 모습을 보고 만든 공간이다.
Ⅴ. 민들레영토 SWOT분석
Strength(강점)
-일반 카페와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매스컴의 빈번한 보도로 인지도가 높다
-긍정적인 입소문으로 인해 대학생들의 관심이 높다
-스타벅스와 같은 외국계 카페들에게 대항할 수 있는 국산 토종 카페로 각광받고 있다
-건물 외관과 인테리어가 특징적이다
-전국적으로 체인화된 브랜드 카페로서 카페 이용시 고객의 만족도가 높다
Weakness(약점)
-각 지점 간에 서비스품질 차이와 고객만족도 차이가 존재한다
-음식맛과 가격에 대한 일부 고객들의 지적이 있다
-너무 높은 사전 기대로 인해 도리어 실망하는 고객이 있을 수 있다
-타 카페와 다른 특이한 지불체계로 인해 사전 지식이 없는 경우 이용 결정이 쉽지 않다
-지역마다 대학 문화나 사람들의 성향이 다르다
Opportunity(기회)
-대학생의 욕구에 특화된 서비스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각 도시의 대학가에 지점을 세워서 고객을 창출할 수 있다
-현재 준비하고 있는 해외 지점이 성공하면 제 2의 창업 효과를 얻게 된다
Threats(위협)
-표적 고객이 대학생층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경제 불황시 매출이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
-해외 지점이 실패할 가능성이 있다
-유사한 형태의 카페 등장시 타격을 입을 수 있다
Ⅵ. 민들레영토 서비스의 보완점 및 비즈니스 전망 제시
1) 문제점과 그에 대한 보완점
체계적인 경영성과 측정방식의 도입 필요
지금까지의 민들레영토는 경영전반에 대하여 경영성과의 측정과 재무분석 차원에서 다소 주먹구구식으로 일관해 왔다. 초기 경영철학은 다른 유사업종이 추구하는 본질적인 경영이념, 경제적 이윤 단순한 돈벌이가 아닌 어머니의 품과 같은 편안함을 주는 문화 공간 형성에 중점을 두었고, 이러한 철학의 기치로 인해 체계적인 경영성과에 대한 평가에 있어 미흡한 점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체계화 되지 않은 주먹구구식 경영평가는 기업 형으로 탈바꿈하는 현시점에서 반드시 개선해야할 선결과제이다. 민들레영토의 폭발적인 성장과 신진 해외시장의 진출을 앞둔 지금 무엇보다도 경영목표, 과정 그리고 성과에 대한 체계적이고 투명한 평가 시스템의 도입과 실행은 필수적이다.
2) 비즈니스 전망
민토는 현재 기업으로의 성장을 준비하는 과정에 있다.
민토는 초창기 시절 '어머니가 보여 주는 무한정의 사랑을 느낄 수 있는 장소'를 무기 삼아 신촌 카페 거리를 평정했다. 지승룡 소장은 카페 초기에 손님의 이름을 일일이 기억할 정도로 손님과 아주 가깝게 지냈다. 그러나 운영하는 카페가 전국으로 확대되고 손님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하루 100명→13,000명, 종업원 및 직원 약 600여명), 초창기 시절과 같이 아기자기한 '어머니 마케팅'은 더 이상 불가능해 졌다. 따라서 향후 지속적인 성장과 고객서비스의 품질저하를 막기 위해서는 고객을 체계적으로 대접하는 매뉴얼과 시설을 갖춘 이른바 '기업형' 카페 경영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민토는 그에 대한 대안으로 직원서비스교육 강화, 고객 마일리지 서비스 도입, 충성고객 확보를 위한 전략구상, 고객 불만처리 팀의 운영(예정) 등 다양한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민토의 해외진출모색 과정
이제 민토는 국내시장의 성공적인 정착을 발판으로 해외시장 진출을 적극 준비하고 있다. 우선 중국 북경과 미국 LA에 신규지점을 설립 할 계획이며, 북경점은 시장 조사를 끝내고 올해 안으로 매장을 오픈할 계획이다. 아시아 지역에 한류열풍이 불고 있는 가운데 민토의 중국 진출은 기존의 문화 콘텐츠에 국한된 한류가 아닌 새로운 ‘경영 한류’ 바람을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해외시장 진출은 문화적 차이가 경쟁력이 될 것이며, 다른 곳에서 경험하지 못하는 독특한 카페 문화를 제공한다면 해외시장에서도 충분한 경쟁력을 확보할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
지금까지 대학가의 시장 중에서 앞으로 지속적인 발전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민들레 영토에 대해서 분석 해 보았다. 민들레 영토는 “고객 만족을 통한 이윤 창출”이라는 마케팅 개념과 가장 잘 합치되는 성공 사례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민들레 영토는 이전에 우리가 갖고 있던 소위 카페라는 개념- 집이나 직장 다음으로 편안한 장소, 사람들이 모일 수 있으며 직장이나 집에 대한 관심을 잊고 쉬며 이야기할 수 있는 비공식적인 공공장소-을 한 차원 뛰어 넘어, 소비자들에게 단순한 이야기 장소만이 아닌 일종의 총체적 문화공간으로써 그 자리 매김을 하고 있다. 이는 자칫 술과 지나친 소비문화로 대표되던 대학문화 속에서 내재되어 있었지만 표출되지 못한 욕구들의 정확한 수렴이 지금의 성과를 가능케 하였다.
이밖에도, 지금까지 보아왔던 거대한 자금력을 동원한 스타벅스등 외국기업들의 무차별적인 마케팅 속에서도 민들레 영토가 그 입지를 잃지 않고 꿋꿋이 버텨 낸 데에는 ‘5리를 가지려는 자에게 10리를 준다’는 매우 한국적인 고객만족을 통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즉, 민들레 영토는 이제는 잘 포장된 외적인 모습보다는 다양화되고 차별화 된 서비스를 통한 고객만족 시스템을 통해 ‘한번 고객은 영원한 고객’을 만드는 그들의 전략이 더 중요한 요소를 자리 잡았음을 일깨우게 된다.
<참고 자료>
[참고 문헌]
김영한 지승룡, 『민들레영토의 희망스토리』랜덤하우스중앙, 2005
문규현 홍정효 『경영학원론』대명, 2003
이훈섭 『마케팅원론』글로벌, 2001
지승룡 『민들레 영토에 핀 사랑』골든북, 2001
[참고 사이트]
민들레 영토 홈페이지 (http://www.minto.co.kr)
네이버 지식인 (http://naver.co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