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목차
목차
Ⅰ. 서론
1. 장애의 이해
Ⅱ. 본론
1. 장애인 복지의 개념
2. 장애 아동의 유형
3. 장애 아동 복지 사업의 개념
4. 유아 교육 기관의 장애아 통합 교육
5. 장애 아동 복지 사업의 현황
6. 장애 아동 복지 사업의 실태
7. 문제점 및 과제
8. 토의주제
Ⅲ. 결론
1. 결론 및 논의
2. 소감
Ⅳ. 참고문헌 및 사이트
Ⅰ. 서론
1. 장애의 이해
Ⅱ. 본론
1. 장애인 복지의 개념
2. 장애 아동의 유형
3. 장애 아동 복지 사업의 개념
4. 유아 교육 기관의 장애아 통합 교육
5. 장애 아동 복지 사업의 현황
6. 장애 아동 복지 사업의 실태
7. 문제점 및 과제
8. 토의주제
Ⅲ. 결론
1. 결론 및 논의
2. 소감
Ⅳ. 참고문헌 및 사이트
본문내용
들도 특수 교사의 도움이 절대적으로 필요한데, 장애 정도가 더 심한 아이들에게는 더 많은 인적 자원의 지원이 필요하리라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장애 아동들은 몸을 흔들거나 다리를 떨고, 지도교사의 말에 크게 흥미를 가지지는 못하는 것 같았다. 그러나 일반 유아들과의 사회적 행동은 별다른 문제가 없어 보이는 것이 커다란 교육적 성과가 있으리라 생각되었다. 이와 같이 통합된 환경 속에서 장애 아동에게 많은 것을 한꺼번에 바라기보다는 일반 유아들이 누릴 수 있는 교육적 혜택을 함께 누리고 그 기회를 잃어버리지 않는다는 것 자체가 큰 의미가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아직 우리나라는 장애 아동에 대한 교육적/경제적 등 모든 면에서의 지원이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우리가 본 경증 장애의 통합된 교육을 맛이라도 본 아이들은 행복한 것일지도 모르겠다.
나는 아동들의 교육과 복지, 행복의 증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사에 대한 지원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교사에 대한 경제적/사회적 처우는 물론이고 다양한 교사교육을 실시하여 교사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나 통합 교육을 맡게 될 일반 유아교사나 특수교사들에게는 이러한 도움이 더욱 절실 할 것이다.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지 못한다고 하였다. 교사 스스로도 장애 아동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장애아동을 위한 자기 개발에 더욱 힘써야 할 것이다. 또한 앞으로 교사의 길을 걷게 될 나부터도 지금까지 살아 온 것처럼 장애인에 대한 구태의연한 태도를 버리고, 적극적으로 그들과 함께 하고 그들에게 다가서기 위한 마음의 준비가 필요 한 때인 것 같다.
특수 교육 개론을 들으면서 ‘반편견 교육’에 매우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런데 이번 발표준비를 하면서 ‘반편견 교육’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하게 되었다. ‘반편견 교육’에 있어 특히 장애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갖기 위한 교육은 자체적으로 매우 필요한 교육이지만 어떤 유아를 맡을 지 모르는 예비 교사의 입장에서 장애아를 독립된 주체로 놓고 생각하기보다, 일반 유아들을 주체적으로 생각한 것을 알게 된 것이다.
예를 들어 반편견 교육에 있어 중요한 교구인 장애아 인형을 통한 교육을 보면 유아들이 장애아 인형을 갖고 놀면서 장애아들을 친숙하게 생각하게 되고 장애아들의 입장을 이해할 수 있게 되는 긍정적 측면이 있다. 그런데 만약 같은 반에 장애아가 있을 경우, 일반 유아들이 처음 장애아 인형을 대하면서 갖고 놀기를 꺼려하고, 인형에 대해 나쁜 말을 하게 되었을 때 같은 입장인 유아가 어떤 상처를 입을지는 모른다. 또한 인형과 더불어 장애아들이 놀림의 대상으로 될 가능성도 높다. 이러한 것들은 이전의 내 입장에서 생각할 수 없었던 것들이다.
지금까지 장애인들과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를 만든다고 많은 이들이 주창하면서도 정작 중요한 부분이 빠져 있었던 것 같다. 위의 반편견 교육처럼 장애와 연관된 정책이나 시설을 도입하고, 그들을 위한 환경을 제시할 때 마치 장애인들에게 선을 베푸는 것처럼 인식하고 뿌듯해 하게 된다. 정작 일반인들은 더 많은 혜택을 누리면서도 말이다.
사회적 편견에서 싹튼 장애인에 대한 복지 정책은 장애인들을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에서 하나의 객체로 놓고, 그들을 무조건적으로 동정하면서 그와 상반되게 꺼려하게 된 원인이 아닐까 싶다. 따라서 복지 정책이 진정 장애인을 위해 만들어 지기보다, 일반인들이 스스로 뿌듯함을 느끼기 위한 수단으로서 만들어 짐으로 인해 이 땅에 많은 장애인들이 국가와 사회로부터 소외된 채로 살아가게 되는 것 같다.
신체적, 정신적으로 아무런 장애를 갖고 살아오지 않았지만 내 가족 중에서도 갑작스럽게 장애를 입은 사람이 많다. 선천적으로 장애를 갖고 태어나지 않는다고 해도, 살아가면서 언제 장애를 얻을 지 모르고, 나뿐만 아니라 나의 가족, 지인 중에 누가 언제 장애인이 될 지도 모르는 일이다. 즉 누구나가 장애를 갖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장애인들은 더 이상 우리 사회의 소외된 계층이 아니라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이다. 특히 어려서부터 장애를 입고 사는 장애아들의 경우 다 성장하기도 전에 사회로부터 사각지대에 갇혀 사회로부터 또 하나의 마음의 장애를 얻게 된다.
사람들이 이제는 바쁘게 살기보다 마음의 행복을 얻을 수 있는 여가를 더욱 즐기고, 이에 맞춰 국가적으로 복지에 대한 인식이 새롭게 다져지고 있다. 장애인에 대한 인식도 새롭게 전환됨에 따라 장애인에 대한 복지 정책도 확산되고, 교육적인 면에서도 통합교육이 매우 긍정적으로 검토되어 시설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 있는 장애인의 수도 제대로 파악 안 되고, 그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교육할 만한 재원도 확보되지 않았으며, 일반적인 사회적 편견도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 현 상태에서 과연 국가에서 펴는 정책들이 진정한 의미를 갖고 효과를 볼 수 있을지 의문이다.
자료를 조사하면서 길게 나열된 장애인의 수만큼 장애인들의 아픔도 길게 느껴졌다. 특히 유아 교사가 될 입장에서 많은 유아들이 교육 받을 곳을 찾지 못 하고, 어려운 집안에서 힘겹게 살아가고 있을 것을 생각하니 마음이 아팠다.
어느 사회든지 약한 자와 힘없는 자가 행복한 사회가 진정으로 좋은 사회라고 할 수 있다. 기간이 오래 걸릴 지라도, 진정 장애인들이 행복하고 이 땅에서 함께 더불어 갈 수 있도록 우리나라가 좋아졌으면 좋겠다.
Ⅳ. 참고문헌 및 사이트
유아를 위한 복지의 이론과 실제 - 이경우, 이은화, 문미옥, 유희정
정신지체 아동을 위한 장애인종합복지관의 서비스에 관한 연구
- 김미옥 이화여자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994
통합 교육 실태의 국제 비교 - 국립 특수 교육원
http://children.seoul.go.kr/children/tonggae/symbols.html
http://www.seoulrehab.or.kr
- 서울 장애인 종합 복지관
http://www.welfare-center.or.kr
- 서대문 장애인 종합 복지관
http://www.ebs.co.kr
http://www.moe.go.kr
- 교육인적자원부
http://www.mohw.go.kr
- 보건복지부
나는 아동들의 교육과 복지, 행복의 증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사에 대한 지원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교사에 대한 경제적/사회적 처우는 물론이고 다양한 교사교육을 실시하여 교사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나 통합 교육을 맡게 될 일반 유아교사나 특수교사들에게는 이러한 도움이 더욱 절실 할 것이다.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지 못한다고 하였다. 교사 스스로도 장애 아동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장애아동을 위한 자기 개발에 더욱 힘써야 할 것이다. 또한 앞으로 교사의 길을 걷게 될 나부터도 지금까지 살아 온 것처럼 장애인에 대한 구태의연한 태도를 버리고, 적극적으로 그들과 함께 하고 그들에게 다가서기 위한 마음의 준비가 필요 한 때인 것 같다.
특수 교육 개론을 들으면서 ‘반편견 교육’에 매우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런데 이번 발표준비를 하면서 ‘반편견 교육’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하게 되었다. ‘반편견 교육’에 있어 특히 장애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갖기 위한 교육은 자체적으로 매우 필요한 교육이지만 어떤 유아를 맡을 지 모르는 예비 교사의 입장에서 장애아를 독립된 주체로 놓고 생각하기보다, 일반 유아들을 주체적으로 생각한 것을 알게 된 것이다.
예를 들어 반편견 교육에 있어 중요한 교구인 장애아 인형을 통한 교육을 보면 유아들이 장애아 인형을 갖고 놀면서 장애아들을 친숙하게 생각하게 되고 장애아들의 입장을 이해할 수 있게 되는 긍정적 측면이 있다. 그런데 만약 같은 반에 장애아가 있을 경우, 일반 유아들이 처음 장애아 인형을 대하면서 갖고 놀기를 꺼려하고, 인형에 대해 나쁜 말을 하게 되었을 때 같은 입장인 유아가 어떤 상처를 입을지는 모른다. 또한 인형과 더불어 장애아들이 놀림의 대상으로 될 가능성도 높다. 이러한 것들은 이전의 내 입장에서 생각할 수 없었던 것들이다.
지금까지 장애인들과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를 만든다고 많은 이들이 주창하면서도 정작 중요한 부분이 빠져 있었던 것 같다. 위의 반편견 교육처럼 장애와 연관된 정책이나 시설을 도입하고, 그들을 위한 환경을 제시할 때 마치 장애인들에게 선을 베푸는 것처럼 인식하고 뿌듯해 하게 된다. 정작 일반인들은 더 많은 혜택을 누리면서도 말이다.
사회적 편견에서 싹튼 장애인에 대한 복지 정책은 장애인들을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에서 하나의 객체로 놓고, 그들을 무조건적으로 동정하면서 그와 상반되게 꺼려하게 된 원인이 아닐까 싶다. 따라서 복지 정책이 진정 장애인을 위해 만들어 지기보다, 일반인들이 스스로 뿌듯함을 느끼기 위한 수단으로서 만들어 짐으로 인해 이 땅에 많은 장애인들이 국가와 사회로부터 소외된 채로 살아가게 되는 것 같다.
신체적, 정신적으로 아무런 장애를 갖고 살아오지 않았지만 내 가족 중에서도 갑작스럽게 장애를 입은 사람이 많다. 선천적으로 장애를 갖고 태어나지 않는다고 해도, 살아가면서 언제 장애를 얻을 지 모르고, 나뿐만 아니라 나의 가족, 지인 중에 누가 언제 장애인이 될 지도 모르는 일이다. 즉 누구나가 장애를 갖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장애인들은 더 이상 우리 사회의 소외된 계층이 아니라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이다. 특히 어려서부터 장애를 입고 사는 장애아들의 경우 다 성장하기도 전에 사회로부터 사각지대에 갇혀 사회로부터 또 하나의 마음의 장애를 얻게 된다.
사람들이 이제는 바쁘게 살기보다 마음의 행복을 얻을 수 있는 여가를 더욱 즐기고, 이에 맞춰 국가적으로 복지에 대한 인식이 새롭게 다져지고 있다. 장애인에 대한 인식도 새롭게 전환됨에 따라 장애인에 대한 복지 정책도 확산되고, 교육적인 면에서도 통합교육이 매우 긍정적으로 검토되어 시설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 있는 장애인의 수도 제대로 파악 안 되고, 그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교육할 만한 재원도 확보되지 않았으며, 일반적인 사회적 편견도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 현 상태에서 과연 국가에서 펴는 정책들이 진정한 의미를 갖고 효과를 볼 수 있을지 의문이다.
자료를 조사하면서 길게 나열된 장애인의 수만큼 장애인들의 아픔도 길게 느껴졌다. 특히 유아 교사가 될 입장에서 많은 유아들이 교육 받을 곳을 찾지 못 하고, 어려운 집안에서 힘겹게 살아가고 있을 것을 생각하니 마음이 아팠다.
어느 사회든지 약한 자와 힘없는 자가 행복한 사회가 진정으로 좋은 사회라고 할 수 있다. 기간이 오래 걸릴 지라도, 진정 장애인들이 행복하고 이 땅에서 함께 더불어 갈 수 있도록 우리나라가 좋아졌으면 좋겠다.
Ⅳ. 참고문헌 및 사이트
유아를 위한 복지의 이론과 실제 - 이경우, 이은화, 문미옥, 유희정
정신지체 아동을 위한 장애인종합복지관의 서비스에 관한 연구
- 김미옥 이화여자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994
통합 교육 실태의 국제 비교 - 국립 특수 교육원
http://children.seoul.go.kr/children/tonggae/symbols.html
http://www.seoulrehab.or.kr
- 서울 장애인 종합 복지관
http://www.welfare-center.or.kr
- 서대문 장애인 종합 복지관
http://www.ebs.co.kr
http://www.moe.go.kr
- 교육인적자원부
http://www.mohw.go.kr
- 보건복지부
추천자료
보육사업과 아동복지
보육사업 - 아동복지론
[보육사업]아동복지와 영유아 보육서비스에 관한 고찰
(아동복지) 가정위탁보육사업, 가정위탁양육, 가정위탁 서비스, 입양기관(홀트, 성가정, 대한...
[아동복지론] 가정위탁사업
일반 아동복지 사업
보충적 아동복지 사업
[아동복지론] 시설보호사업 및 공동생활가정사업
아동복지 분야에서 지지적 서비스에 대한 사례를 들어 논하시오 - 드림스타트 사업
[아동복지] 본인이 생각하는 아동복지의 실제 중 보육아동을 위한 사업에 대한 정책제안 및 ...
[사회복지social welfare개론]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이해 - 사회복지협의회, 사회복지공동모...
[아동복지론 兒童福祉論] 실종아동정책의 현황 - 예방사업, 실종아동 찾기 사업, 실종아동 가...
우리나라의 여성가족부에서 실시하는 아동복지서비스 사업에서 아이돌보미 활동대상 선정 시 ...
지역아동복지센터 -사업계획서 및 실습소감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