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중세미술 MIDDLE (A.D 5c - A.D 15c)>>
1)중세초기
2) 로마네스크 미술
3)고딕양식 (A.D13c-14c)
4) 르네상스
5) 바로크 BAROQUE(A.D 17C)
6) 프랑스식 고전주의 CLASSIC IN FRANCE (17C)
7) 로코코 ROCOCO(A.D 18C)
8) 신고전주의 NEO CLASSIC(A.D 18C말)
<<<근대미술>>>
1) 낭만주의 (A.D 19C 초)
2) 사실주의 (A.D 19C 중엽)
3) 인상주의 IMPRESSIONISM (A.D 19C 말)
<<<현대미술>>>
1) 야수파 (A.D 20C 초)
2) 입체파 (CUBISM A.D 1900 - 1914)
3) 표현주의 (EXPRESSIONISM A.D 1911 - 1920)
4) 미래파 (FUTURISM)
5) 다다이즘 (DADAISM)
6) 추상 표현주의 (ABSTACT EXPRESSIONISM )
7) 미니멀 아트 (MINIMAL ART)
8) 팝 아트 (POP ART)
9) 극사실주의 (HYPER REALISM)
10) 포스트모더니즘 (POSTMODERNISM)
참고
참고 문헌
1)중세초기
2) 로마네스크 미술
3)고딕양식 (A.D13c-14c)
4) 르네상스
5) 바로크 BAROQUE(A.D 17C)
6) 프랑스식 고전주의 CLASSIC IN FRANCE (17C)
7) 로코코 ROCOCO(A.D 18C)
8) 신고전주의 NEO CLASSIC(A.D 18C말)
<<<근대미술>>>
1) 낭만주의 (A.D 19C 초)
2) 사실주의 (A.D 19C 중엽)
3) 인상주의 IMPRESSIONISM (A.D 19C 말)
<<<현대미술>>>
1) 야수파 (A.D 20C 초)
2) 입체파 (CUBISM A.D 1900 - 1914)
3) 표현주의 (EXPRESSIONISM A.D 1911 - 1920)
4) 미래파 (FUTURISM)
5) 다다이즘 (DADAISM)
6) 추상 표현주의 (ABSTACT EXPRESSIONISM )
7) 미니멀 아트 (MINIMAL ART)
8) 팝 아트 (POP ART)
9) 극사실주의 (HYPER REALISM)
10) 포스트모더니즘 (POSTMODERNISM)
참고
참고 문헌
본문내용
우아함은 이 작품의 매력을 더해주고 있다.
회화에 있어 신고전주의 양식의 지도자라고 할 수 있는 다비드(Jacque Louis David, 1748-1825)의 경우, 초기 작품에는 18세기 프랑스의 관능적인 로코코 취미가 잔존하고 있었으나 1775-1871년 로마유학 시기 이후 신고전주의화풍을 발전시켰다. <호라티우스 형제의 맹세>(1785년), <소크라테스의 죽음>(1787년)은 푸생적인 요소-즉 구도는 화면과 평행해서 부조와같이 전개되며 인물은 彫像과도 같이 확고하고 부동의 느낌을 준다-뿐 아니라 예리하게 집중되어 정확한 음영을 이루는 채광법은 카라밧지오에게서 따온 것이다. 이 그림은 새로운 이상적 양식을 보여주는 동시에 삶의 생생한 모습을 담고 있다. 그는 프랑스 혁명 시기 그의 최고 걸작품인 <마라의 죽음>(1793년)을 그렸다. 프랑스혁명의 지도자중 하나였던 마라를 기념하기 위한 이 그림에는 헌신적인 심상과 역사적인 설명이 함께 녹아 있다.
다비드는 \'미술이란 자연을 가장 아름답게, 완벽하게 모방하는 것이며 미술작품의 목적은 눈을 즐겁게 해줄뿐 아니라 영혼 속에 파고들어 현실 그 자체에서 얻어지는 인상을 마음속에 새겨준다\'고 하였다. 그러나 그의 <나폴레옹 대관식>(1805-7년)에서는 이전의 차가운 색, 엄격한 역사화 구성에서 벗어남으로써, 낭만주의 양식을 암시해주고 있다. 한편 그의 제자 앵그르(Jean-Auguste Dominique Ingres, 1780-1867)는 <루이 베르탱>(1832년)과 같은 작품에서 다비드의 <마라의 죽음>에서와 같은 엄격한 리얼리즘을 보여주고 있으며 그의 유채화는 강조와 비례와의 미묘한 변화에 의해서 엄중한 개성의 힘을 모델에 부여, 내면적 깊이와 외면적인 정확성의 통일을 이루고 있다. 그의 후계자들이 외관의 정확성에만 몰두한 것과는 대조적으로 그는 심리적 측면을 놓치지 않았음이 주목된다. 그밖에 이탈리아에 있어서는 로마의 Vincenzo Camuccini의 <시저의 살인>과 <버지니아의 죽음> 등이 유명하며 밀라노의 Andre Appiani는 초상화가로 유명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신고전주의 양식은 18세기 중후반 유럽 등지에서 순수하고 단순한 형태로 발전, 1)19세기 아카데미즘 예술의 기본 원리로서 오래 이어졌으나 그 영감(inspiration)을 상실, 기계적인 모방과 무의미한 복제로 나가면서 먼 고대나 이국에 대한 뜨거운 동경과 관능적인 경향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2)낭만주의 예술의 선구자로서의 구실도 하게 되었다. 그러나 앞서 라트르보나 다비드의 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신고전주의와 낭만주의는 명확하게 단절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연속선상에 있음을 알 수 있다.
<<<근대미술>>>
1) 낭만주의 (A.D 19C 초)
낭만주의는 18세기말부터 19세기에 걸쳐 전 유럽에 탄생한 예술적 경향이다. 개성을 구가하고 자아의 해방을 주장하며 상상과 무한적인 것을 동경하는 주관적·감정적인 태도가 두드러진 특색이다. 미술상으로는 고전주의, 바로크에 대해서도 이 경향은 언급되지만, 일정하고도 명확한 양식을 낳은 것은 아니다. 조각 분야에서는 프랑스와 뤼드, 건축에서는 이른바 신고딕 양식과 상통하는 바가 있는데, 회화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낭만주의\'란 용어는 \'영국식 풍경정원(English landscape garden)\'과 관련하여 처음으로 쓰이기 시작하였다. 즉 1745년에 프랑스人 르블랑(J. Leblanc)은 [일부 영국인들은 정원을 소위 낭만적인 모양으로 꾸미려고 애쓰는데, 이말은 생생하게 꾸민다는 것과 거의 같은 뜻이다.]라고 하였다. 이러한 풍경정원으로 인해 흔히 영국은 낭만주의의 발상지로 인정된다. 영국 풍경정원은 주로 끌로드 로렝의 그림에서 유래한 것으로, 구불 구불한 작은길, 불규칙한 수목 배치, 비스듬한 강둑, 무계획적으로 보이는 호수나 개천 등 \'계획된 불규칙성\'을 통해서 자연 그 자체 위에 그것을 투영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예로서는 헨리 플리트크로프트(Henry Flitcroft)와 헨리호어(Henry Hoare)의 [아폴로 신전이 있는 대정원](1744-65, 영국, 스투어헤드)을 들 수 있다. 이렇게 \'예술품답게 보이지 않도록 의도한 예술품\'인 풍경식 정원은 오랫동안 움직일 수 없었던 예술성과 현실성과의 구별을 불명확하게 하였으며, 단지 정원 설계의 새로운 방법으로서만이 아니라 낭만주의적 정서의 전달 수단으로서도 환영받았던 것이다.
낭만주의는 고전주의의 차가운 형식 존주에 대한 반동이라는 형태로, 프랑스의 그로에서 시작되어 제리코를 거쳐 들라크루아에 이르는 동안 분방한 색채, 유동적인 필치, 동감에 찬 구성을 갖춘 영웅적 작품을 남기고 있다.
특히 들라크루아의 「지옥의 단테와 베르길리우스」 를 비롯한 그의 작품은 들라크루아의 동방 취향 또는 이국 취미에 의한 후기 작업으로 낭만주의의 한 특색을 보여주고 있다. 낭만주의의 이와 같은 특색은 회화사상 독일 중세 혹은 초기 르네상스의 종교적 정열과 결합된 작품, 나잘레파, 룬게, 프리드리히의 범신론적 풍경화 속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한편 20세기 미술에 있어서 낭만주의는 보다 복잡다단해서 19세기의 그것처럼 크게 분류될 수는 없다. 비합리적이고 공상적인 예술은 어떤 면에서 낭만주의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는 듯이 보일지 모르나 결코 그렇지는 않다. 공상만을 즐기는 낭만적인 경향, 혹은 감상적이라는 의미에서 현대 미술의 낭만주의자를 든다면 장 뤼르사, 레오폴드 쉬르바지등이 있으나 이들의 공상은 초현실주의와 같이 비유, 암시, 변모가 아니라 단지 신선하고 아름다운 화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정도이다.
2) 사실주의 (A.D 19C 중엽)
19C 이전까지는 자연주의로서 사실주의가 정의되어왔다. 그것은 성실하고 정확한 \'자연의 모방\' 더 나아가 그것의 \'완벽한 이상화된 재현\'으로서 사실주의 였다. 19C 이르러 사실주의는 새로운 의미를 부여받는다. 사실주의 등장 이전의 낭만주의는 그 개념적인 면에서 대조가 된다. 낭만주의는 \'감정\'이 중요하고 따라서 작가의 상상력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그 결과 낭만주의 회화는 격정적이며 현실을 떠난 이상향을
회화에 있어 신고전주의 양식의 지도자라고 할 수 있는 다비드(Jacque Louis David, 1748-1825)의 경우, 초기 작품에는 18세기 프랑스의 관능적인 로코코 취미가 잔존하고 있었으나 1775-1871년 로마유학 시기 이후 신고전주의화풍을 발전시켰다. <호라티우스 형제의 맹세>(1785년), <소크라테스의 죽음>(1787년)은 푸생적인 요소-즉 구도는 화면과 평행해서 부조와같이 전개되며 인물은 彫像과도 같이 확고하고 부동의 느낌을 준다-뿐 아니라 예리하게 집중되어 정확한 음영을 이루는 채광법은 카라밧지오에게서 따온 것이다. 이 그림은 새로운 이상적 양식을 보여주는 동시에 삶의 생생한 모습을 담고 있다. 그는 프랑스 혁명 시기 그의 최고 걸작품인 <마라의 죽음>(1793년)을 그렸다. 프랑스혁명의 지도자중 하나였던 마라를 기념하기 위한 이 그림에는 헌신적인 심상과 역사적인 설명이 함께 녹아 있다.
다비드는 \'미술이란 자연을 가장 아름답게, 완벽하게 모방하는 것이며 미술작품의 목적은 눈을 즐겁게 해줄뿐 아니라 영혼 속에 파고들어 현실 그 자체에서 얻어지는 인상을 마음속에 새겨준다\'고 하였다. 그러나 그의 <나폴레옹 대관식>(1805-7년)에서는 이전의 차가운 색, 엄격한 역사화 구성에서 벗어남으로써, 낭만주의 양식을 암시해주고 있다. 한편 그의 제자 앵그르(Jean-Auguste Dominique Ingres, 1780-1867)는 <루이 베르탱>(1832년)과 같은 작품에서 다비드의 <마라의 죽음>에서와 같은 엄격한 리얼리즘을 보여주고 있으며 그의 유채화는 강조와 비례와의 미묘한 변화에 의해서 엄중한 개성의 힘을 모델에 부여, 내면적 깊이와 외면적인 정확성의 통일을 이루고 있다. 그의 후계자들이 외관의 정확성에만 몰두한 것과는 대조적으로 그는 심리적 측면을 놓치지 않았음이 주목된다. 그밖에 이탈리아에 있어서는 로마의 Vincenzo Camuccini의 <시저의 살인>과 <버지니아의 죽음> 등이 유명하며 밀라노의 Andre Appiani는 초상화가로 유명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신고전주의 양식은 18세기 중후반 유럽 등지에서 순수하고 단순한 형태로 발전, 1)19세기 아카데미즘 예술의 기본 원리로서 오래 이어졌으나 그 영감(inspiration)을 상실, 기계적인 모방과 무의미한 복제로 나가면서 먼 고대나 이국에 대한 뜨거운 동경과 관능적인 경향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2)낭만주의 예술의 선구자로서의 구실도 하게 되었다. 그러나 앞서 라트르보나 다비드의 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신고전주의와 낭만주의는 명확하게 단절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연속선상에 있음을 알 수 있다.
<<<근대미술>>>
1) 낭만주의 (A.D 19C 초)
낭만주의는 18세기말부터 19세기에 걸쳐 전 유럽에 탄생한 예술적 경향이다. 개성을 구가하고 자아의 해방을 주장하며 상상과 무한적인 것을 동경하는 주관적·감정적인 태도가 두드러진 특색이다. 미술상으로는 고전주의, 바로크에 대해서도 이 경향은 언급되지만, 일정하고도 명확한 양식을 낳은 것은 아니다. 조각 분야에서는 프랑스와 뤼드, 건축에서는 이른바 신고딕 양식과 상통하는 바가 있는데, 회화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낭만주의\'란 용어는 \'영국식 풍경정원(English landscape garden)\'과 관련하여 처음으로 쓰이기 시작하였다. 즉 1745년에 프랑스人 르블랑(J. Leblanc)은 [일부 영국인들은 정원을 소위 낭만적인 모양으로 꾸미려고 애쓰는데, 이말은 생생하게 꾸민다는 것과 거의 같은 뜻이다.]라고 하였다. 이러한 풍경정원으로 인해 흔히 영국은 낭만주의의 발상지로 인정된다. 영국 풍경정원은 주로 끌로드 로렝의 그림에서 유래한 것으로, 구불 구불한 작은길, 불규칙한 수목 배치, 비스듬한 강둑, 무계획적으로 보이는 호수나 개천 등 \'계획된 불규칙성\'을 통해서 자연 그 자체 위에 그것을 투영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예로서는 헨리 플리트크로프트(Henry Flitcroft)와 헨리호어(Henry Hoare)의 [아폴로 신전이 있는 대정원](1744-65, 영국, 스투어헤드)을 들 수 있다. 이렇게 \'예술품답게 보이지 않도록 의도한 예술품\'인 풍경식 정원은 오랫동안 움직일 수 없었던 예술성과 현실성과의 구별을 불명확하게 하였으며, 단지 정원 설계의 새로운 방법으로서만이 아니라 낭만주의적 정서의 전달 수단으로서도 환영받았던 것이다.
낭만주의는 고전주의의 차가운 형식 존주에 대한 반동이라는 형태로, 프랑스의 그로에서 시작되어 제리코를 거쳐 들라크루아에 이르는 동안 분방한 색채, 유동적인 필치, 동감에 찬 구성을 갖춘 영웅적 작품을 남기고 있다.
특히 들라크루아의 「지옥의 단테와 베르길리우스」 를 비롯한 그의 작품은 들라크루아의 동방 취향 또는 이국 취미에 의한 후기 작업으로 낭만주의의 한 특색을 보여주고 있다. 낭만주의의 이와 같은 특색은 회화사상 독일 중세 혹은 초기 르네상스의 종교적 정열과 결합된 작품, 나잘레파, 룬게, 프리드리히의 범신론적 풍경화 속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한편 20세기 미술에 있어서 낭만주의는 보다 복잡다단해서 19세기의 그것처럼 크게 분류될 수는 없다. 비합리적이고 공상적인 예술은 어떤 면에서 낭만주의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는 듯이 보일지 모르나 결코 그렇지는 않다. 공상만을 즐기는 낭만적인 경향, 혹은 감상적이라는 의미에서 현대 미술의 낭만주의자를 든다면 장 뤼르사, 레오폴드 쉬르바지등이 있으나 이들의 공상은 초현실주의와 같이 비유, 암시, 변모가 아니라 단지 신선하고 아름다운 화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정도이다.
2) 사실주의 (A.D 19C 중엽)
19C 이전까지는 자연주의로서 사실주의가 정의되어왔다. 그것은 성실하고 정확한 \'자연의 모방\' 더 나아가 그것의 \'완벽한 이상화된 재현\'으로서 사실주의 였다. 19C 이르러 사실주의는 새로운 의미를 부여받는다. 사실주의 등장 이전의 낭만주의는 그 개념적인 면에서 대조가 된다. 낭만주의는 \'감정\'이 중요하고 따라서 작가의 상상력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그 결과 낭만주의 회화는 격정적이며 현실을 떠난 이상향을
추천자료
아치, 볼트, 돔
서양 음악사 연구, 고대에서 현대까지
건축의 발달과정및 각 건축의 특징
서양 음악사
중세 기독교 시대 음악
서양미술사 감상수업자료 100
서양미술사 총정리 - 선사시대~추상표현주의 까지
[중세의 미술][중세의 예술][중세의 과학][중세의 선박][중세의 자연법][중세의 장원][중세의...
프랑스 패션
2013년 2학기 서양복식문화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4년 2학기 서양복식문화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4년 2학기 서양복식문화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5년 2학기 서양복식문화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5년 2학기 서양복식문화 기말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