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본문내용
Ⅰ
6.27 地方選擧와 변모하는 選擧文化
☞ 앞으로 다가올 64地方選擧를 대비해 627地方選擧를 분석하고 또한 대선 이후 政勢의 變化를 가져온 地方選擧의 지형과 制度를 통해 앞으로의 變數들을 예측하고자 한다. 특히 15대 총선 이후의 달라지는 選擧文化를 통해 現實的인 選擧戰略을 수립하고자한다. <미래컨설팅 企劃室 1998.3.>
1. 627 지방선거 분석
2. 변화하는 지방선거 지형과 제도
3. 15대 총선이후 변화하는 선거문화
1. 6.27 지방선거 분석
1. 정당의 입김이 센 지방선거
일반적으로 지방선거와 중앙정치는 서로 분리되어야 한다고들 말한다. 그러나 現實的으로 그렇지 못하다 혹자는 중앙정치에 대한 중간 평가 라고도 말하고 地方에서조차 밀리면 안 된다는 식으로 정당간의 경쟁을 더욱 부치기는 것도 바로 이러한 現實을 반영하는 것이다.
우리의 地方自治는 중앙정치와 무관할 수가 없었다. 그러기에 지난 627 지방선거에서는 기초의원선거를 제외한 나머지 세 가지 선거, 즉 광역단체장, 기초단체장, 광역의원선거에서 정당들이 각각 후보자를 공천했던 것이다. 이는 공직선거법 및 정당법 등에서 공직선거 후보자를 추천 할 수 있다고 명시한 것과 관계가 있다.
정당공천, 후보경쟁, 정당득표 및 후보득표 등에 대한 분석에서 공통적으로 지적 할 수 있는 지방선거의 특성은 지역주의라고 할 것이다. 1995년 선거의 지역주의는 지방선거에 정당이 참여함으로써 빚어진 결과라고 하지만 이는 이미 대통령선거를 둘러싼 지역대결의 여파로 빚어진 것이었음을 분명히 인식해야 한다. 이는 단순히 정당이 참여하여 지역주의가 빚어졌다고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2. 본격적인 TV정치 실험
627 지방선거는 여러 면에서 기록적이었다. 지방화시대를 열고 통합선거법의 시험 무대라는 의의는 물론 전례 없는 4대 동시선거로 선거물량 면에서도 사상 최대였다. 더 하나 특징적이었던 것은 이번 대선에 서도 그 위력을 발휘하였던 TV정치가 1995년 당시의 지방선거에서 본격화되었다는 점이다. 다시말해 유세장 중심의 소모적인 선거운동을 TV등이 대체하는 이른바 미디어정치의 가능성을 높이게 되었던 것이다.
TV 유세는 돈 봉투를 뿌려 군중을 동원 세과시를 하던 구태(舊態)를 극복할수 있었다는 점에서 환영을 받을만했다. 그러나 TV를 통한 정책비교 자체가 거의 불가능한데다 거짓말을 하는 경우라도 검증할수 없는 치명적인 단점이 제기되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3. 컴퓨터 통신을 이용량 - 득표순위 일치
627 지방선거의 선거운동과정에서는 컴퓨터통신이 후보자들의 새로운 홍보매체로 떠오르기 시작했다. 20~30대 젊은 유권자들이 많이 이용하는 컴퓨터통신을 통한 온라인 선거운동은 후보자들의 동정등을 알리고 밤늦은 시간에도 선거운동이 가능하다는 長點을 갖고 있어 특히 단체장 후보들에게인기가 높았다.
비중있는 선거의 후보자별 득표순위는 컴퓨터통신에 개설된 각 후보자 코너에 대한 이용시간이나 조회건수의 순위와 같은 것으로 나타나 이용자들이 많이 조회해 본 후보자일수록 득표율이 높게 나타나는 상관성을 보여주기도 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1995년 지방선거는 유권자의 동향을 파악하는데 있어서나 선거운동을 해나가는데 있어서 컴퓨터통신이 중요한 준거틀로 작용할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4. 일련번호식 투표행태
4대선거가 동시에 이루어진 탓에 『일련번호식 투표』라는 새로운 투표행태가 생겨났다. 1995년의 지방선거 직후 중앙일보사가 전국의 유권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광역단체장에 대해 1번을 선택했을 경우 나머지 후보들의 경우에도 1번을 선택해버리는 이른바 1-1-1-1식 투표를 했다는 유권자가 16.3% 2-2-2-2식 투표를 했다는 유권자는 19.6%, 3-3-3-3식 투표를 했다느 유권자는 9.8%, 전언 무소속 후보를 찍었다는 유권자는 6.0%였다.
이로 볼 때 일련번호식 투표를 했다는 유권자가 51.7%나 되었다.48.3%만 네후보를 달리 구분해(조합형) 찍었을 정도이다. 이를테면 광역단체장 이외에는 출마 후보자가 누구인지도 잘 모르는상황에서 빛어진 동시선거의 폐해였다.
특히 유권자들은 일단 지지후보를 결정하고 나면 잘 변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85.7%가 처음에 후보를 찍었다고 하고 14.3%만이 선거기간중 지지하는 후보자가 바뀌었다는 것이다. 이는 후보자로 되려는 경우 평소에 이미지 관리를 잘해야하고 입후보 초기에는 더욱 유의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홍보물 제작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여론조사 결과이다. 선거전 초반에 결정지워지는 후보들은 일련식번호 또는 포스터 혹은 명함형,소형책자를 통해 유권자들에게 알려지게 된다.
5. 정치인 배경이 가장 높다
광역기초 단체장과 광역의원 당선자 중에는 정당에 소속되거나 아니면 각종 형태로 정치권에 관여하고 있는 정치인이 가장 많았는데 각각 73.3%, 32.6%, 23.2%를 나타냈다. 이는 1991년 6월에 실시된 광역의회선거의 당선자중 정치인이 7.7%에 머물렀던 것보다 훨씬 높은 비율이었다.
이들은 현직 광역기초 의원과 지구당부위원장, 정당연락소장, 정당원이란 직책을 직업으로 가지고 있는 이들이다. 이른바 정치권에서 ‘정당인’이라고 부르는 경우이다. 전체적으로 이러한 ‘정치인밀집’은 정당의 공천과 관련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상당수의 지역에서 지구당부위원장, 자문위원과 같은 정당활동을 한사람이 공천을 받고 당선이 되었다.48.3%만 네후보를 달리 1995년 지방선거에서는 각 선거마다 다수의 후보가 출마해 후보자들에 대한 식별이 쉽지가 않았다. 그러기에 많은 지역에서 유권자들
6.27 地方選擧와 변모하는 選擧文化
☞ 앞으로 다가올 64地方選擧를 대비해 627地方選擧를 분석하고 또한 대선 이후 政勢의 變化를 가져온 地方選擧의 지형과 制度를 통해 앞으로의 變數들을 예측하고자 한다. 특히 15대 총선 이후의 달라지는 選擧文化를 통해 現實的인 選擧戰略을 수립하고자한다. <미래컨설팅 企劃室 1998.3.>
1. 627 지방선거 분석
2. 변화하는 지방선거 지형과 제도
3. 15대 총선이후 변화하는 선거문화
1. 6.27 지방선거 분석
1. 정당의 입김이 센 지방선거
일반적으로 지방선거와 중앙정치는 서로 분리되어야 한다고들 말한다. 그러나 現實的으로 그렇지 못하다 혹자는 중앙정치에 대한 중간 평가 라고도 말하고 地方에서조차 밀리면 안 된다는 식으로 정당간의 경쟁을 더욱 부치기는 것도 바로 이러한 現實을 반영하는 것이다.
우리의 地方自治는 중앙정치와 무관할 수가 없었다. 그러기에 지난 627 지방선거에서는 기초의원선거를 제외한 나머지 세 가지 선거, 즉 광역단체장, 기초단체장, 광역의원선거에서 정당들이 각각 후보자를 공천했던 것이다. 이는 공직선거법 및 정당법 등에서 공직선거 후보자를 추천 할 수 있다고 명시한 것과 관계가 있다.
정당공천, 후보경쟁, 정당득표 및 후보득표 등에 대한 분석에서 공통적으로 지적 할 수 있는 지방선거의 특성은 지역주의라고 할 것이다. 1995년 선거의 지역주의는 지방선거에 정당이 참여함으로써 빚어진 결과라고 하지만 이는 이미 대통령선거를 둘러싼 지역대결의 여파로 빚어진 것이었음을 분명히 인식해야 한다. 이는 단순히 정당이 참여하여 지역주의가 빚어졌다고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2. 본격적인 TV정치 실험
627 지방선거는 여러 면에서 기록적이었다. 지방화시대를 열고 통합선거법의 시험 무대라는 의의는 물론 전례 없는 4대 동시선거로 선거물량 면에서도 사상 최대였다. 더 하나 특징적이었던 것은 이번 대선에 서도 그 위력을 발휘하였던 TV정치가 1995년 당시의 지방선거에서 본격화되었다는 점이다. 다시말해 유세장 중심의 소모적인 선거운동을 TV등이 대체하는 이른바 미디어정치의 가능성을 높이게 되었던 것이다.
TV 유세는 돈 봉투를 뿌려 군중을 동원 세과시를 하던 구태(舊態)를 극복할수 있었다는 점에서 환영을 받을만했다. 그러나 TV를 통한 정책비교 자체가 거의 불가능한데다 거짓말을 하는 경우라도 검증할수 없는 치명적인 단점이 제기되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3. 컴퓨터 통신을 이용량 - 득표순위 일치
627 지방선거의 선거운동과정에서는 컴퓨터통신이 후보자들의 새로운 홍보매체로 떠오르기 시작했다. 20~30대 젊은 유권자들이 많이 이용하는 컴퓨터통신을 통한 온라인 선거운동은 후보자들의 동정등을 알리고 밤늦은 시간에도 선거운동이 가능하다는 長點을 갖고 있어 특히 단체장 후보들에게인기가 높았다.
비중있는 선거의 후보자별 득표순위는 컴퓨터통신에 개설된 각 후보자 코너에 대한 이용시간이나 조회건수의 순위와 같은 것으로 나타나 이용자들이 많이 조회해 본 후보자일수록 득표율이 높게 나타나는 상관성을 보여주기도 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1995년 지방선거는 유권자의 동향을 파악하는데 있어서나 선거운동을 해나가는데 있어서 컴퓨터통신이 중요한 준거틀로 작용할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4. 일련번호식 투표행태
4대선거가 동시에 이루어진 탓에 『일련번호식 투표』라는 새로운 투표행태가 생겨났다. 1995년의 지방선거 직후 중앙일보사가 전국의 유권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광역단체장에 대해 1번을 선택했을 경우 나머지 후보들의 경우에도 1번을 선택해버리는 이른바 1-1-1-1식 투표를 했다는 유권자가 16.3% 2-2-2-2식 투표를 했다는 유권자는 19.6%, 3-3-3-3식 투표를 했다느 유권자는 9.8%, 전언 무소속 후보를 찍었다는 유권자는 6.0%였다.
이로 볼 때 일련번호식 투표를 했다는 유권자가 51.7%나 되었다.48.3%만 네후보를 달리 구분해(조합형) 찍었을 정도이다. 이를테면 광역단체장 이외에는 출마 후보자가 누구인지도 잘 모르는상황에서 빛어진 동시선거의 폐해였다.
특히 유권자들은 일단 지지후보를 결정하고 나면 잘 변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85.7%가 처음에 후보를 찍었다고 하고 14.3%만이 선거기간중 지지하는 후보자가 바뀌었다는 것이다. 이는 후보자로 되려는 경우 평소에 이미지 관리를 잘해야하고 입후보 초기에는 더욱 유의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홍보물 제작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여론조사 결과이다. 선거전 초반에 결정지워지는 후보들은 일련식번호 또는 포스터 혹은 명함형,소형책자를 통해 유권자들에게 알려지게 된다.
5. 정치인 배경이 가장 높다
광역기초 단체장과 광역의원 당선자 중에는 정당에 소속되거나 아니면 각종 형태로 정치권에 관여하고 있는 정치인이 가장 많았는데 각각 73.3%, 32.6%, 23.2%를 나타냈다. 이는 1991년 6월에 실시된 광역의회선거의 당선자중 정치인이 7.7%에 머물렀던 것보다 훨씬 높은 비율이었다.
이들은 현직 광역기초 의원과 지구당부위원장, 정당연락소장, 정당원이란 직책을 직업으로 가지고 있는 이들이다. 이른바 정치권에서 ‘정당인’이라고 부르는 경우이다. 전체적으로 이러한 ‘정치인밀집’은 정당의 공천과 관련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상당수의 지역에서 지구당부위원장, 자문위원과 같은 정당활동을 한사람이 공천을 받고 당선이 되었다.48.3%만 네후보를 달리 1995년 지방선거에서는 각 선거마다 다수의 후보가 출마해 후보자들에 대한 식별이 쉽지가 않았다. 그러기에 많은 지역에서 유권자들
추천자료
(경영분석)사례기업 선정(LG데이콤) 기업경영분석 - 기업이 속한 산업의 파악, 재무제표의 제...
사교육문제와 행정인턴의 실태분석 - 환경분석과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남양유업 17차 마케팅 성공사례분석 - swot분석, S/T/P 전략, 마케팅믹스(4p)전략 을 이용한 ...
렉서스의 SWOT 분석 및 BCG Matrix, 렉서스의 STP 분석, 렉서스의 4P MIX 전략, 렉서스의 성...
번의 상호교류 분석이론을 설명하고 자신의 성격을 번의 상호교류분석을 근거로 분석하고 자...
정신건강론,정신분석이론-고전적 정신분석치료, 정신분석의 치료과정, 대상관계적 접근의 정...
[경제학원론] 경제분석과 산업분석의 필요성과 분석방법
칼 융의 분석심리학 이론과 지그문트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의 차이점을 간단히 설명하고 ...
메가스터디,메가스터디시장분석,메가스터디전략분석,온라인교육시장,교육시장분석,공교육과사...
[지구과학시료분석] 분광분석용 암석, 광물의 시료전처리 (암석, 광물시료를 중심으로 AAS, I...
제주항공 기업분석,제주항공 항공마케팅,항공사 경영전략사례,항공산업분석,브랜드마케팅,서...
<도요타와 현대의 마케팅 비교분석> 토요타, 도요타의 마케팅 전략, 기업 환경분석, 4P 믹스 ...
[정책 분석] 1, 2차 이라크 파병 정책 분석, Allison 모형을 적용한 정책 사례, 앨리슨(Allis...
[사회복지정책 분석틀] 사회(복지)정책을 분석하는 세 가지 분석방법(3Ps)에 대해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