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한국 교육열의 실태
* 긍정적 인면과 부정적 인면
* 우리나라 교육열의 긍정적인 측면
*교육열이 높은 이유
* 긍정적 인면과 부정적 인면
* 우리나라 교육열의 긍정적인 측면
*교육열이 높은 이유
본문내용
다.
이런 비극은 교육에 한이 맺힌 부모들이 자식의 적성이나 희망과는 상관없이 명문대 진학을 최고 가치로 자식을 몰아붙이는 풍토와 무관하지 않다는 것이 많은 사람들의 지적이다. 입시위주의 교육이 싫어, 엄청난 사교육비가 싫어 미국교육을 선택한 사람들이 이곳에서 또다시 한국식으로 경쟁을 하고 있다는 사실은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 정동식 특파원 -
*교육열이 높은 이유
교육열은 자녀를 <위한> 성취욕과 자녀를 <통한>성취욕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한국의 교육열이 100% 자녀를 위한 것은 아니다. 그 중에 일부는 부모 자신을 위해서이다. 즉 부모의 체면, 부모 도리의 다함, 노후에 돌아올 반대급부에 대한 기대치, 자녀들의 성공을 통한 대리 만족 등 까지도 포함되어 있다. 또한 숭문사상과 사농공상이라는 유교적인 사상에 뿌리를 두고 있기 때문입니다
교육열이 높으려면 여러 조건이 필요합니다. 일단 국토의 면적에 비해 인구가 많아야 합니다. 또 국가경제의 수준도 어느 정도 수준에 도달해야합니다. 국가에 천연자원이 없어야 합니다. 이런 국가는 필연적으로 가공공업이 발달하게 되고 학력이 필요 없는 농어촌 인구는 계속 줄어들고 너도나도 회사에 근무하길 희망하고 그렇게 되면 당연히 경쟁 사회가 되고 학벌이 필요해 지는 겁니다. 한국은 교육열이 점점 줄어들 것입니다. 이미 줄어들고 있습니다. IT 의 발달, 청소년들의 의식향상 등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가장 큰 이유는 고교 평준화입니다. 교육열이 줄어든다는 것은 국가적으로 좋은 것이 아닙니다. 교육열이 줄어든다는 것은 인력의 질이 하향 평준화된다는 뜻입니다.
이런 비극은 교육에 한이 맺힌 부모들이 자식의 적성이나 희망과는 상관없이 명문대 진학을 최고 가치로 자식을 몰아붙이는 풍토와 무관하지 않다는 것이 많은 사람들의 지적이다. 입시위주의 교육이 싫어, 엄청난 사교육비가 싫어 미국교육을 선택한 사람들이 이곳에서 또다시 한국식으로 경쟁을 하고 있다는 사실은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 정동식 특파원 -
*교육열이 높은 이유
교육열은 자녀를 <위한> 성취욕과 자녀를 <통한>성취욕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한국의 교육열이 100% 자녀를 위한 것은 아니다. 그 중에 일부는 부모 자신을 위해서이다. 즉 부모의 체면, 부모 도리의 다함, 노후에 돌아올 반대급부에 대한 기대치, 자녀들의 성공을 통한 대리 만족 등 까지도 포함되어 있다. 또한 숭문사상과 사농공상이라는 유교적인 사상에 뿌리를 두고 있기 때문입니다
교육열이 높으려면 여러 조건이 필요합니다. 일단 국토의 면적에 비해 인구가 많아야 합니다. 또 국가경제의 수준도 어느 정도 수준에 도달해야합니다. 국가에 천연자원이 없어야 합니다. 이런 국가는 필연적으로 가공공업이 발달하게 되고 학력이 필요 없는 농어촌 인구는 계속 줄어들고 너도나도 회사에 근무하길 희망하고 그렇게 되면 당연히 경쟁 사회가 되고 학벌이 필요해 지는 겁니다. 한국은 교육열이 점점 줄어들 것입니다. 이미 줄어들고 있습니다. IT 의 발달, 청소년들의 의식향상 등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가장 큰 이유는 고교 평준화입니다. 교육열이 줄어든다는 것은 국가적으로 좋은 것이 아닙니다. 교육열이 줄어든다는 것은 인력의 질이 하향 평준화된다는 뜻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