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분-갑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수업자 의도
2. 단원
3. 학생의 실태
4. 지도안의 주제연구
5. 단원 평가 계획
6. 본시 교수. 학습계획
7. 평가 계획
8. 판서계획
9. 참고자료

본문내용

요. 이제까지 여름에는 낮의 길이가 훨씬 더 길었답니다. 여러분 저녁이 되어도 훤했죠? 늦게 어두워졌죠? 그런데 요즘은 어때요? 6시만 되어도 어둑어둑해지죠. 추분부터 밤과 낮의 길이가 같아지니까 더 빨리 어두워지겠죠?
S: 네~ 신기해요!
T; 추분은 밤과 낮의 길이가 같아지는 절기라는 중요한 사실 기억해 두도록 합시다. 그리고 또 하나! 가을의 춘분과 마찬가지로, 겨울에 밤이 더 길다가 봄이 되어 밤낮의 길이가 같아진 절기로는 춘분이 있어요. 다음 시간에 자세히 배울 거예요. 자, 그러면 가을 들판의 모습은 어떠하죠?
S: 아까 노래에서처럼 벼들이 노랗고 빨갛게 익어갑니다.
S: 황금빛 들녘이 됩니다.
T: 맞아요. (가을 들판 사진 제시) 추분의 시기적 특징에 대해 여러분들이 말한 대로 이러한 것들이 있어요.
◆ 전개 2 ◆
T: 자, 그럼 농사일은 어떨까요? 24절기가 원래 농사일과 많은 관련이 있다고 지난 시간에 배웠죠?
지금부터 칠판에 있는 시기적 특징을 보면서 어떤 일을 하
는지 조별로 토의해 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어요. 자 선생
님이 지금부터 5분을 줄게요. 잘 토의해보고 발표해 보도록
합니다.
(조 별 토 의)
20분
추분의 시기적 특징을 알아보며 준비된 학습자료(사진)를 칠판에 붙인다.
조별토의가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진행한다.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자료 및 유의점
전개
T: 자 박수 3번 시작 (짝 짝 짝)
자 박수 5번 시작 (짝짝 짝짝짝)
자 여러분 선생님 보세요. 조별 토의 잘 해봤나요? 자 조별로 추분 때 하는 일에 대해서 토의한 결과를 발표해 보도록 합시다.
S: 네, 저희 ○조에서는 가을 들판이 노랗게 익어가니까 그 벼를 수확해야 할 추수를 준비해야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T: 아, 좋은 의견이에요.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고 하죠? 추분에는 벼가 노랗게 잘 익어서 고개를 숙이고 있어요. 곧 수확을 해야겠네요. (칠판에 판서한다.)
자, 다른 조 발표해 볼까요?
S: 저희○조에서 상현이 큰아버지 댁이 고추농사를 하시는데 얼마 전에 고추를 따서 말렸다고 보내주신 것으로 보아 고추를 따는 일을 한다고 생각했어요.
T: 아, 그래요. 고추를 따고 말리는 시기지요. (칠판에 판서한 다.) 혹시 또 다른 먹거리와 관련된 의견이 있는 모둠 있어
요?
S: 저희 엄마께서 요즘 버섯요리를 많이 해 주셨는데요. 우리 모둠 다른 친구들도 그렇다고 했습니다. 제 생각으로는 버섯을 많이 따는 것 같습니다.
T: 대단한 발견이에요! 버섯요리는 추분 때의 대표적인 음식이 에요. 요즘 버섯이 많이 나오죠? 버섯을 따고 말려서 시장 에 많이 내다 파는 일을 합니다.(판서한다.) 자, 또 다른 조 발표해 볼까요?
S: 네, 저희○조는 처음 조처럼 농사일과 관련된 일을 생각해 보았는데요. 수확하기 전 막바지 병충해, 잡초 제거에 힘쓸 것 같습니다.
T: (판서하면서) 아주 잘 말해주었어요.
여러분이 얘기한 것처럼 추분 때 농촌에서는 수확을 준비하고, 고추도 따서 말리지요. 또 아까 어느 모둠에서 말했듯이 버섯 요리도 많이 나오고, 산채를 말려 나물을 준비하기도 해요. 마지막 조에서 말한 것처럼 병충해와 잡초를 제거하는 일을 하는데요. 특히 논에는 벼가 아니고 벼처럼 생겼는데 벼에게 해로운 ‘피’라는 잡초가 있어요. 그 ‘피’를 뽑지 않으면 논에 ‘피’만 무성해지죠. 그 전에는 벼랑 피가 키가 비슷해서 잘 모르지만 이 때에는 잘 알아볼 수 있어서 빨리 다 뽑아주어야 한답니다. 이것을 ‘피 사리’한다고 해요. 추분에는 피사리를 한다는 사실도 기억하면 좋겠죠?
S: 네~
T: 그러면 선생님이 여러분이 발표한 내용과 정리한 내용을 칠판에 써 놓았는데 모두 다 같이 큰 소리로 읽어봅시다.
S: (함께 읽는다)
아이들의 자연스러운 발표를 유도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사진, 그림 자료 제시
단계
교수-학습 활동
시간
자료 및 유의점
정리
T: 자, 이번 시간에 학습 목표가 무엇이었죠? 그럼 이것도 모 두 함께 읽어보아요.
S: 추분의 시기적 특징과 하는 일을 알 수 있다.
T: 오늘 이 학습목표를 잘 성취했는지 지금부터 선생님이 준비 해 온 자료를 가지고 함께 확인해 보는 시간을 갖도록 할게 요.
자, 여기에 여러 가지 그림이 그려진 카드가 있어요. 이 많 은 그림카드 중에서 추분과 관련된 그림을 찾아서 여기 전 지에 붙여 보는 거예요. 여러분 잘 알았죠?
각 모둠에서 오늘 발표하지 않은 친구들이 한명씩 나와서 해 봅시다.
S: (아이들이 나와서 입하에 해당되는 사진이나 그림을 골라 서 전지에 붙인다.)
T: (학생들이 붙인 자료를 보면서 다시 한번 추분의 시기적 특징과 하는 일을 총 정리한다)
T: 자, 여러분 오늘 추분에 대해서 배워보았는데 어땠어요? 가장 기억에 남는 내용 있나요?
S: 밤과 낮의 길이가 같아진다는 사실이 놀라웠습니다.
S: 들판이 노랗게 물들어가는 것이 추분이라는 사실을 몰랐다 가 알게 되었습니다. 그럼 매년마다 벼가 노랗게 익어가고 고개를 숙이면 추분이라고 알 수 있을 것 같아요.
T: 그래요. 재미있게 잘 공부해본 여러분 모두 박수~
S: (모두 손뼉을 친다)
T: 이 다음 국어시간에는 추분에 대해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시를 지어보도록 하겠어요.
S: 네~
T: 여러분 모두 오늘 수업 참 잘했습니다. 이것으로 실과 수업 을 마치겠습니다.
S: 열심히 공부했습니다. (박수 세 번 짝짝짝)
10분
그림 카드 8장
평가가 이루어진다.
실과와 국어를 통합, 연계한다.
6. 평가계획
평 가 관 점
평가방법
평가시기
절기에 대한 호기심과 흥미를 가지면서 수업에 임하는가?
사전 학습과제를 충실히 이행했는가?
모둠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자신의 역할을 다하고 적극 협력하는가?
관 찰
학습 활동 중
여러 가지 절기에 대한 그림카드를 보고 오늘 배운 추분에 대한 것만 골라 낼 수 있는가?
문 답
정리 단계
7. 판서계획
秋分
<학습 목표>
추분의 시기적 특징과
하는 일을 알아보자.
<추분에 하는 일>
사진 자료 그림 카드
●학습자료●
자료 1. 노래와 악보
출처: 풀잎 동요마을 (http://pullip.ktdom.com/)

키워드

교육대,   추분,   갑안,   지도안,   을안,   광주교대,   실과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05.13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03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